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2/04 14:25:07
Name 소금물
Subject [질문] 720p와 4k를 구분 못하는 사람이 많나요?

스트리밍급 비트레이트가 아니라, 블루레이 비트레이트라면

720p와 4k 간 차이를 구분하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고 하더라고요.

아무리 비트레이트가 높아도 저거 차이를 모르긴 힘들 거 같은데

주장하는 분이 굉장히 확신을 가지고 말씀하셔서 의문이 드네요.  사실인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다시마두장
24/02/04 14:33
수정 아이콘
블루레이 비트레이트가 어떻게 되는지는 모르겠지만 무압축 이미지파일로 비교를 해도 720과 4k 해상도는 바로 눈에 띄게 다르지 않나요?
'막눈인 사람들은 해상도가 720p라도 별 불편함없이 컨텐츠를 즐길 수 있다'라는 주장이라면 제가 이런 케이스라 납득을 하겠지만
저같은 사람도 720p와 4k를 구분 못할 것 같지는 않은데...
모니터를 작은 걸 쓴다고 했을 때를 기준으로 삼는거려나요?
다른 분들의 의견이 궁금해지네요.
소금물
24/02/04 14:41
수정 아이콘
블루레이의 비트레이트는 유튜브같은 저질과는 차원이 달라서 비교 못하는 사람이 많다고 하시더라구요. 문맥상 모니터 이런거 문제가 아닌거 같은데... 저도 상식적으로 좀 이해가 안가서;
회색사과
24/02/04 14:40
수정 아이콘
모니터 해상도 이상의 소스를 재생하고 있거나… 티비를 멀리서 보는게 아니면 720하고 4k 는 차이가 크지 않나요..
소금물
24/02/04 14:44
수정 아이콘
문맥상 그런 건 아니고, 블루레이의 비트레이트면 그렇다는게 그 분의 주장이라서요. 집에 블루레이가 없으니 아니라고 장담은 못하겠는데 상식선에서 좀 이상한..
알카즈네
24/02/04 14:45
수정 아이콘
720p와 4k의 차이를 구분하지 못한다기 보다 아예 그런 화질 개념 자체가 없어서 지금 보고 있는 화면이 뭐냐 물어보면 모른다 할 사람도 많을 거에요. 두 화면을 나란히 놓고 뭐가 더 화면이 좋냐 물어보면 대부분 4K를 고르겠죠.
부르즈할리파
24/02/04 17:29
수정 아이콘
저도 이쪽에 한표네요. 생각보다 신경안쓰는 사람 많더군요.
24/02/04 14:49
수정 아이콘
무엇으로 볼 때요?
대중교통에서 핸드폰으로 볼 땐 별 구분 안 가는 거 같기도 합니다.
구분은 가도 신경이 안 쓰이거나요.
제가 일할 때 쓰는 32인치 모니터나 거실 4k tv에선 어마어마한 차이가 나는데요
소금물
24/02/04 14:53
수정 아이콘
집에서 영화볼대, 720p 블루레이나 아님 그 이상의 화질이랑 구분을 못한다는게 그 분의 주장입니다. 근데 비트레이트가 아무리 좋아봐야 영상의 최선은 사진 모음일테고, 720해상도 사진과 고해상도 사진 비교하면 차이가 커서, 아무리 영상이라고 해도 그건 아닌 것 같아서 여쭤봤어요.
느낌이좋아
24/02/04 14:51
수정 아이콘
블루레이 720p 4k를 같이 보질 못해서 모르겠지만 단순 픽셀수만 따져도 720p가 9개를 나란히 붙여야 4k인데 말이 안된다고 생각해요
24/02/04 14:53
수정 아이콘
1080p 블루레이 비트레이트가 넷플 4k 비트레이트 보다 2배가량 높죠. 720p도 아마 스트리밍 사이트 4k 비트레이트와 비슷할 수도 있겠네요.
그렇다면 작은 모니터에서는 크게 차이나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물론 코덱따라 다르고 원소스가 무언지에 따라서도 차이가 많이 납니다.
소금물
24/02/04 14:59
수정 아이콘
블루레이 vs 스트리밍 이런건 아니고, 같은 비트레이트 기준에서, 블루레이의 영상이면 720p만 되도 그 이상 화질과 구분 못하는 사람이 많다고 합니다
24/02/04 15:23
수정 아이콘
그렇다면 핸드폰정도의 작은 크기의 모니터가 아니라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화질을 구분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근데 제대로 인코딩한 720p의 화질은 생각보다 훌륭합니다. 구분은 가능하겠지만 우리가 보통 보는 tv화질이나 스트리밍사이트의 1080p의 화질보다는 더 낫게 보일거고, 4k와 비교해도 큰 차이없을거에요.
김삼관
24/02/04 14:55
수정 아이콘
저같은 경우는 핸드폰으로 볼 때 버벅거리면 1080p나 4K 맞구나 하며 생각하고 평소에 720p(자동)로 틀어져있어도 그냥저냥 보는 편입니다.
엄청 민감하게 차이를 느끼진 않는데 다르긴 다르네 하고 느껴요. 게임영상이 아닌 4K + 자연영상이면 확 느껴질 것 같네요.
The)UnderTaker
24/02/04 15:12
수정 아이콘
같은조건하에 개별적으로 틀면 이게 720인지 4k인지 확실하게 대답못하는 사람이 꽤 있을수있습니다.
근데 동시에 틀면 무조건 구분가능하죠
이민들레
24/02/04 15:36
수정 아이콘
720이랑 1080도 백퍼 구분할걸요. 1080이랑 4k는 구분못할지도
24/02/04 17:07
수정 아이콘
720이 진짜 심해서 차이 알 거 같은데요
인방볼때 체감을 좀 심하게 해서
BlueTypoon
24/02/04 17:11
수정 아이콘
민감하지 않은사람도 있고 4k수준이 아닌데 4k인 영상도 있고 고해상도 티 안나는 콘텐츠일수도 있고 하지만 해상도 차이는 넘사입니다.
BlueTypoon
24/02/04 17:17
수정 아이콘
제 전전폰이 720p였나 그런데 뭔짓을 해도 화질 구렸어요. 720, 1080만 해도 차이가 큽니다.
24/02/04 17:42
수정 아이콘
그렇게 주장하는 사람은 그냥 돈없으신분의 정도를 넘어선 자기 합리화인거 같습니다. 720p랑 4K는....좀 예시가 심하지 않나 싶어요.
크로플
24/02/04 17:42
수정 아이콘
핸드폰에서 애니메이션 화질 비교하면 구분 힘들 수 있을거 같은데
24/02/04 18:20
수정 아이콘
피지알에서 비슷한 댓글 본 거 같은데... 정말 둔한 사람이 있긴 하지만 대체로 구분 가능하죠.
24/02/04 18:27
수정 아이콘
유튜브로 lck 볼때
720 이랑 1080 차이도 엄청 크던데...
수금지화목토천해
24/02/04 19:15
수정 아이콘
화면 크기와 해상도를 고려하지 않으면 의미가 없는 것 같습니다
극단적으로 1.5인치 1280*720 디스플레이에서 재생하는 비트레이트 6만의 720p와 4K는 차이를 구분하기 어려울 것 같아요
소금물
24/02/04 19:18
수정 아이콘
AI 그래픽 처리같은게 아니고서야 원본 소스에서 더 좋아지는건 아니고 각 단계별로 나빠질 일만 있으니 아무래도 망한게 한 군데라도 있으면 그렇게 되긴 하겠죠. 내용은 소장용 블루레이 관련 이야기였으니, 하이엔드급 홈시어터는 아니더라도 어느정도 괜찮은 사양을 기준으로 하면 될 것 같아요.
VictoryFood
24/02/04 20:38
수정 아이콘
720과 4K 구분 가능합니다.
4K는 끊기거든요.
블래스트 도저
24/02/04 22:37
수정 아이콘
당연히 구별하고, 재생 디스플레이가 크면 클수록 티 나죠

그냥 블루레이 영화 같은거 보면
부가영상이 가끔 FHD로 들어간 제품들이 있는데 영상 재생되면 바로 압니다
이혜리
24/02/05 00:42
수정 아이콘
휴대폰으로만 봐도 720 이랑 1080만 되어도 구분이 갑니다............
아무리 동태눈깔이어도, 이상함을 느낄텐데요.
앙금빵
24/02/05 17:44
수정 아이콘
전 720p 1080p는 비슷해서 다운받아 영상보던 시절에 용량 작은 720으로 봤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4842 [질문] 발목 삔 이후 발등이 갑자기 아픕니다 [2] K-15505 24/02/10 5505
174841 [질문] 저글링 싸움으로 설명 가능한 이론 [8] 이혜리6071 24/02/10 6071
174840 [질문] 어머니가 독감에 걸린 후로 몸상태가 안좋습니다. [9] SlowCar7024 24/02/10 7024
174839 [질문] 동해안 쪽 갈만한 장소 추천 부탁드립니다. [5] 어제본꿈5877 24/02/10 5877
174838 [질문] 스위치 다른 프로필은 온라인 사용이 안 되나요? [2] 귀여운호랑이6043 24/02/10 6043
174837 [질문] 만 4세정도에 유익하고 교육될만한 영상들 추천 부탁드립니다. [5] will6227 24/02/10 6227
174836 [질문] 모니터가 사망했습니다. 32인치 4k 모니터 추천 부탁드려요. [8] 아케르나르6410 24/02/10 6410
174835 [질문] 스팀게임중 캐릭터가 성장하는 재미가 큰 게임 있을까요? [4] 스물다섯대째뺨6060 24/02/10 6060
174834 [질문] 에어 매트 추천 부탁 드립니다 [1] Alfine4923 24/02/09 4923
174833 [질문] 골린이 골프채 구입 질문입니다. [9] Good5267 24/02/09 5267
174832 [질문] 넷플릭스 일본어 한국어 동시 적용 가능할지요? [6] 오하이오6102 24/02/09 6102
174831 [질문] 설연휴 교통질문입니다 [2] rDc664959 24/02/09 4959
174830 [질문] 페이커의 '점프킹' 이거 새로 업데이트 된 건가요? [1] 마음속의빛5243 24/02/09 5243
174829 [질문] 차 네비에서 애플카플레이 사용 질문이요 [2] 리코타홀릭6501 24/02/09 6501
174828 [질문] 기계식 키보드 저소음 적축 추천부탁드립니다. [4] I.O.I5876 24/02/09 5876
174827 [질문] 대장암 절제 수술 후 회복 관련 [1] 하늘의이름7231 24/02/09 7231
174826 [질문] 후쿠오카 jr 규슈 패스 질문입니다. [4] 보급보급6657 24/02/09 6657
174825 [질문] 출시 전에 기대감이 가장 컸던 게임이 뭘까요? [25] Rays7328 24/02/09 7328
174824 [질문] 연휴에 시간 보낼만한 스팀게임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8] 2506194 24/02/09 6194
174823 [질문] 작품 하나를 찾습니다 [10] LG우승5658 24/02/09 5658
174822 [질문] 손웅정씨 인터뷰도 클린스만 돌려까기 였을까요? [9] 공부맨6744 24/02/08 6744
174821 [질문] 의대 증원은 일시적인가요? [10] 한국안망했으면6936 24/02/08 6936
174820 [질문] 로켓프레시 최소금액 왜 사라졌나요? [9] 바람의바람14391 24/02/08 1439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