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9/20 15:38:29
Name 베요네타
File #1 그림2.png (36.5 KB), Download : 11
Subject [질문] 침전 효율 비교 방법.. (수정됨)


안녕하세요

어떤 수조에 흙탕물이 유입되는데

1. 수조가 비어 있는 경우

2. 깨끗한 물이 이미 차 있는 경우

위 2가지 경우에

동일한 시간 동안 흙탕물을 유입시켰다면, (유입량도 동일함)

침전으로 제거되는 흙의 양이 어느쪽이 많을 까요?

어느 한쪽의 양이 많이 많다면 이유는 무엇이고, 그 차이는 클까요??

아무리 생각해봐도 모르겠네요. 어디에 물어봐야 할지도 모르겠어서 피식인에 물어봅니다..

* 당연히, 2의 경우가 희석에 의해서 유출수의 수질은 더 깨끗하겠지만,
   궁금한 것은 수조 내에서 침전으로 제거되는 탁질의 양 입니다.

※ (추가설명) 3,000톤 용량의 작은 저수지를 운영하는데
비가 많이 오면 몇일간 500ntu정도의 탁수가
200톤/hr 유량으로 유입됩니다
(주로 논밭에서 유실된 흙)
평소 저수지 탁도는 5ntu 정도 입니다

저수지에서 흙을 최대한 가라앉혀서
하류 하천으로 흘러가는 흙의 양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민 중인 상황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Phlying Dolphin
23/09/20 15:45
수정 아이콘
침전으로 제거되는 흙의 양의 의미가 무엇인지, 유입되는 탁수의 양은 얼마인지, 침전되는 메커니즘은 무엇인지가 없어서, 뭐라 이야기할 수 없지 않을까요? 위 조건에 따라 다 달라질 것 같습니다.
베요네타
23/09/20 16:05
수정 아이콘
3,000톤 용량의 작은 저수지를 운영하는데
비가 많이 오면 몇일간 500ntu정도의 탁수가
200톤/hr 유량으로 유입됩니다
(주로 논밭에서 유실된 흙)
평소 저수지 탁도는 5ntu 정도 입니다

저수지에서 흙을 최대한 가라앉혀서
하류 하천으로 흘러가는 흙의 양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민 중인 상황입니다
Phlying Dolphin
23/09/20 18:52
수정 아이콘
이틀 정도에 용량의 2배 가까운 물이 흘러 들어오며, 그 기간 중 침전되는 양은 적은 상황으로 근사해 보겠습니다. 아래는 많은 가정 하의 추론이지만, 첫번째 경우가 유출되는 흙의 양이 적을 것 같습니다.
두번째 경우는 첫날에도 상당한 양의 탁수가 기존 청수와 혼합될 것이기 때문에 중간 농도의 혼합수를 통해 이미 많은 흙이 흘러 나가고, 둘째날쯤 되면 quasi-steady state로 볼 수 있을 것 같아 유입되는 탁수와 비슷한 농도로 같은 양의 물이 흘러 나갈 것 같습니다.
반면 첫번째 경우는 첫날에는 탁수가 흘러 나가지 않고, 둘째날에도 저수지 탁수의 농도 자체는 더 높아지지 않은 상태에서 그대로 흘러 나가는 것과 비슷하지 않을까 합니다.
즉, 저수지 내에서 탁수의 상당한 혼합이 이루어지고 침전은 긴 시일이 소요된다고 보았을 때 첫째날에 저수지에서 중간 농도의 혼합수의 유출이 없는 만큼 더 유리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무냐고
23/09/20 15:50
수정 아이콘
짧은 생각입니다만 case2가 효율이 더 좋을것 같습니다.
그림상으로 보면 case1은 흙탕물이 충분히 차기 전까지는 유입되는 물의 위치에너지때문에 난류가 생겨서 침전되려고 하는 것들도 다시 일어날것같아요.
23/09/20 15:51
수정 아이콘
저도 딱 이 생각
23/09/20 15:53
수정 아이콘
222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4407 [질문] 일본어 회화 빨리 좋아지는방법이 있을까요? [16] 콩순이6237 24/01/10 6237
174406 [질문] 유사과학을 흘러듣는 자세 [11] Beam87095 24/01/10 7095
174405 [질문] 데이터함께쓰기 유심을 꽂은 폰으로 테더링 사용 가능한가요? [2] 오드폘6451 24/01/10 6451
174404 [질문] 서울 일식당 추천 부탁드닙니다 [4] 무딜링호흡머신4898 24/01/10 4898
174403 [질문] 컴퓨터 견적좀 봐주세요! [4] 쪼아7559 24/01/10 7559
174402 [질문] 임기제 공무원에 대해? [5] 흰둥7503 24/01/10 7503
174401 [질문] 갤럭시 워치를 선물하려고 합니다. [8] 종말메이커6451 24/01/10 6451
174400 [질문] 새해맞이 다이어트 질문 [9] 쿄우가6871 24/01/10 6871
174399 [질문] 갤럭시탭 G304 사용 가능 여부 [7] allin137470 24/01/10 7470
174398 [질문] 2월에 싱가폴 여행 다녀오려하는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24] 완성형폭풍저그7846 24/01/10 7846
174397 [질문] 에버랜드 판다 관람시간 알수 있을까요? [4] 학교를 계속 짓자6533 24/01/10 6533
174396 [질문] 노래 하나 찾습니다 [2] 코스운6206 24/01/10 6206
174395 [질문] 해운대와 부산 여행 고수분을 찾습니다 [5] 오호6103 24/01/10 6103
174394 [질문] 전세 계약서 수정 관련 질문입니다. [2] 클레멘티아6858 24/01/10 6858
174393 [질문] 태블릿으로 이북을 많이 보면 시력이 나빠질까요? [6] 목캔디6463 24/01/10 6463
174392 [질문] 4-6월 정도에 도쿄 vs 홋카이도 어디가 좋을까요? [19] 김유라8072 24/01/10 8072
174391 [질문] 게임 구매 추천 부탁드립니다!! [4] 고무고무냥냥펀치6544 24/01/10 6544
174390 [질문] 윈도우11에서 스팀 문명5 실행이 안 됩니다 전자수도승6754 24/01/10 6754
174388 [질문] 네이버영화 사이트를 대신할 만한 사이트가 혹시 있을까요? [7] 보로미어6856 24/01/09 6856
174387 [질문] 01년대 일본 혼성 듀오를 찾고 있습니다. [6] 이니6877 24/01/09 6877
174386 [질문] 네이버 라이브 스트리밍 무한설치현상 겪으시는분 계신가요? [5] lasd2418802 24/01/09 8802
174385 [질문] HP 오멘 16 슬림 u0037TX (SSD 1TB) 어떨까요? [7] TheMoon6737 24/01/09 6737
174384 [질문] [스타1] 아주아주 오래된 영상을 찾고있습니다. 인텔삼성전자배 4대통신 최강전 [2] 그게말이야방구야7149 24/01/09 714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