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9/20 15:38:29
Name 베요네타
File #1 그림2.png (36.5 KB), Download : 11
Subject [질문] 침전 효율 비교 방법.. (수정됨)


안녕하세요

어떤 수조에 흙탕물이 유입되는데

1. 수조가 비어 있는 경우

2. 깨끗한 물이 이미 차 있는 경우

위 2가지 경우에

동일한 시간 동안 흙탕물을 유입시켰다면, (유입량도 동일함)

침전으로 제거되는 흙의 양이 어느쪽이 많을 까요?

어느 한쪽의 양이 많이 많다면 이유는 무엇이고, 그 차이는 클까요??

아무리 생각해봐도 모르겠네요. 어디에 물어봐야 할지도 모르겠어서 피식인에 물어봅니다..

* 당연히, 2의 경우가 희석에 의해서 유출수의 수질은 더 깨끗하겠지만,
   궁금한 것은 수조 내에서 침전으로 제거되는 탁질의 양 입니다.

※ (추가설명) 3,000톤 용량의 작은 저수지를 운영하는데
비가 많이 오면 몇일간 500ntu정도의 탁수가
200톤/hr 유량으로 유입됩니다
(주로 논밭에서 유실된 흙)
평소 저수지 탁도는 5ntu 정도 입니다

저수지에서 흙을 최대한 가라앉혀서
하류 하천으로 흘러가는 흙의 양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민 중인 상황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Phlying Dolphin
23/09/20 15:45
수정 아이콘
침전으로 제거되는 흙의 양의 의미가 무엇인지, 유입되는 탁수의 양은 얼마인지, 침전되는 메커니즘은 무엇인지가 없어서, 뭐라 이야기할 수 없지 않을까요? 위 조건에 따라 다 달라질 것 같습니다.
베요네타
23/09/20 16:05
수정 아이콘
3,000톤 용량의 작은 저수지를 운영하는데
비가 많이 오면 몇일간 500ntu정도의 탁수가
200톤/hr 유량으로 유입됩니다
(주로 논밭에서 유실된 흙)
평소 저수지 탁도는 5ntu 정도 입니다

저수지에서 흙을 최대한 가라앉혀서
하류 하천으로 흘러가는 흙의 양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민 중인 상황입니다
Phlying Dolphin
23/09/20 18:52
수정 아이콘
이틀 정도에 용량의 2배 가까운 물이 흘러 들어오며, 그 기간 중 침전되는 양은 적은 상황으로 근사해 보겠습니다. 아래는 많은 가정 하의 추론이지만, 첫번째 경우가 유출되는 흙의 양이 적을 것 같습니다.
두번째 경우는 첫날에도 상당한 양의 탁수가 기존 청수와 혼합될 것이기 때문에 중간 농도의 혼합수를 통해 이미 많은 흙이 흘러 나가고, 둘째날쯤 되면 quasi-steady state로 볼 수 있을 것 같아 유입되는 탁수와 비슷한 농도로 같은 양의 물이 흘러 나갈 것 같습니다.
반면 첫번째 경우는 첫날에는 탁수가 흘러 나가지 않고, 둘째날에도 저수지 탁수의 농도 자체는 더 높아지지 않은 상태에서 그대로 흘러 나가는 것과 비슷하지 않을까 합니다.
즉, 저수지 내에서 탁수의 상당한 혼합이 이루어지고 침전은 긴 시일이 소요된다고 보았을 때 첫째날에 저수지에서 중간 농도의 혼합수의 유출이 없는 만큼 더 유리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무냐고
23/09/20 15:50
수정 아이콘
짧은 생각입니다만 case2가 효율이 더 좋을것 같습니다.
그림상으로 보면 case1은 흙탕물이 충분히 차기 전까지는 유입되는 물의 위치에너지때문에 난류가 생겨서 침전되려고 하는 것들도 다시 일어날것같아요.
23/09/20 15:51
수정 아이콘
저도 딱 이 생각
23/09/20 15:53
수정 아이콘
222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4199 [질문] 티원은 혹시 전화번호가 없나요? [4] 그 닉네임7498 23/12/27 7498
174198 [질문] 미국 일하러 가는 친형에게 도움이 될 선물이 있을까요? [6] 삭제됨6526 23/12/27 6526
174197 [질문] 위처3 질문입니다. [9] 알카즈네6533 23/12/27 6533
174196 [질문] 구피치어 맞을까요? [10] Grundia6314 23/12/27 6314
174195 [질문] 노트북 선택 조언 부탁 드립니다. [6] HOoN7296 23/12/27 7296
174194 [질문] 운전시 길양보 차량에 경적울리는건 비매널까요? [78] goldfish9277 23/12/27 9277
174193 [질문] 리디 마크다운 살 거 추천 부탁드립니다! [4] 사람되고싶다6520 23/12/27 6520
174192 [질문] 조립피씨 조립 질문입니다 [4] 세인트루이스7298 23/12/27 7298
174191 [질문] 효도용 컴퓨터 구매 질문 드립니다. [6] Dr.박부장7415 23/12/26 7415
174190 [질문] 세종문화회관(광화문역) 근처 맛집이 있을까요?? [7] 원스6546 23/12/26 6546
174189 [질문] 30대 건강관리 어떻게 해야하나요?? [10] 마제스티8144 23/12/26 8144
174188 [질문] 공사대금을 못받고 있습니다. [3] 쏘군7569 23/12/26 7569
174187 [질문] 허리 통증 지금이라도 병원 가보는게 좋을까요? [9] wersdfhr6971 23/12/26 6971
174186 [질문] 7800x3d 견적 이륙 해도 되나요? 조립 질문도 있습니다. [17] 면역7592 23/12/26 7592
174185 [질문] 실전에서 낭심공격을 잘 안 하나요? [12] monkeyD8642 23/12/26 8642
174184 [질문] 지금 4070ti를 사도 될까요? [4] 하쿠쿠6915 23/12/26 6915
174183 [질문] 행시 사무관은 요새 결혼시장 선호도가 어떻게 되나요? [6] 공부안하고왜여기8811 23/12/26 8811
174182 [질문] 앞으로의 인생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요? [7] 김치와라면6948 23/12/26 6948
174181 [질문] 주택담보대출 5억 받으려면 연봉이? [10] 잠이오냐지금8289 23/12/26 8289
174180 [질문] 자녀 있는 집 아기매트 추천부탁드려요 [9] 쿄우가7236 23/12/26 7236
174179 [질문] 서울 운전 및 주차 질문 [34] 개좋은빛살구7890 23/12/26 7890
174178 [질문] 한컴오피스 새 창으로 보기 기능 지원 여부 칠리콩까르네6998 23/12/26 6998
174177 [질문] 회사에서 권고사직 당할 경우, 실업급여 신청하려면 뭔가 준비해야하는 서류가 있을까요? [8] LG의심장박용택7159 23/12/26 715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