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3/18 13:54:26
Name 상록일기
Subject [질문] 삼국지 시대에 지역별로 언어가 통했나요?
삼국지를 읽으면 파촉지방이든 오 지방이든 대화에 어려움을 겪는 묘사가 없습니다.

그런데 현대 중국에도 지역별로 언어가 달라 서로 의사소통이 어려워 만다린을 별도로 배우지 않는다면 대화가 안되는걸로 알아요

그 당시에는 더 교류도 적고 언어의 이질성이 심했을 것 같은데 삼국지에선 그와 관련한 언급이 없으니 아리송합니다.

당시에 중국의 지역별로 언어로 별반 차이가 없었던 걸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음속의빛
23/03/18 14:18
수정 아이콘
좁은 땅의 우리나라조차 언어가 달라지는 걸 생각해보면,
그 당시의 중국도 마찬가지라 생각해봅니다. (대화 자체가 불가능했던 제주도...)

다만 한나라 400년 통치 덕분에 세계관 중심 언어(오늘날 영어처럼)가 표준어로 잡혀있어서
학문을 배운 사람은 기본적인 의사소통은 가능했을 거 같네요.
23/03/18 14:32
수정 아이콘
대부분의 학자,작가들이 필담(서로 말이 통하지 않거나 입으로 말을 할 수 없는 경우에, 글을 써 가며 의견이나 생각을 주고받는 것)

을 사용했을거라고 추측합니다.
23/03/18 15:03
수정 아이콘
안 통했다고 봐야죠..
현대 중국조차도 말이 잘 안통한다고 하는데..지방 방언이든 뭐든간에 심해서..
계층방정
23/03/18 15:1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삼국지는 지배계층 위주고, 지배계층의 문어는 상당히 동질적이지 않았나 싶습니다. 이미 춘추전국시대 때부터 남방의 초나라 사람인 굴원도 중원식 한문으로 걸작을 남겼으니까요. 그리고 지금은 유교 경전으로 취급되는 시경은 춘추시대에는 각국 외교 사절이 서로 대화할 때에 공통 예문 사전같이 쓰였습니다. 가국 사신이 시경의 한 구절로 말을 열면 나국 사신은 다른 구절로 답하는 식으로요. 이런 것을 볼 때 지배계층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언어가 있었다고 추측합니다.
아발란체
23/03/18 15:58
수정 아이콘
예전에 어떤 책에서 봤는데 사천지방인가 반란 진압할 때 혹시 내통할까봐 말 안 통하는 산동지방 병력 동원했다는 이야기를 본 적이 있습니다.
23/03/18 16:57
수정 아이콘
사실 1회성 이야기가 아니라 중국의 전통적 반란진압 방식에 가깝습니다. 천안문 사태 때도 신장자치구쪽 병력을 동원했다 하죠.
상록일기
23/03/18 17:40
수정 아이콘
답변 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더미짱
23/03/22 11:40
수정 아이콘
보통 사람들끼린 대화 안됐겠지만 외교전문가들은 됐을겁니다
한나라라는 종실이 있고 결국 외교란게 한나라 종실과 지방제후간의 문제니 전문외교관은 낙양 표준어를 구사할 수 있었을 겁니다
또 필담이라는 보조수단도 존재하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9629 [질문] 개그 웹툰/웹소설 추천해주세요~ [19] 나혼자만레벨업10440 23/03/18 10440
169628 [질문] 스타크래프트가 튕깁니다. [4] 저무는오후16407 23/03/18 16407
169627 [질문] 삼국지 시대에 지역별로 언어가 통했나요? [8] 상록일기9195 23/03/18 9195
169626 [질문] PGR에서 본 군대 괴담 글을 찾습니다. [2] 지금이대로7531 23/03/18 7531
169625 [질문] 여동생이랑 볼 만한 애니나 영화 뭐 없을까요? [9] 실제상황입니다7330 23/03/18 7330
169624 [질문] 아파트 건물 철거시 포크레인 사용 [4] 2'o clock9282 23/03/18 9282
169623 [질문] PGR21 글쓸때 오류가 많이 발생해요. [4] 오후2시8346 23/03/18 8346
169622 [질문] 곰팡이 제거 업체 관련 문의드립니다 코지마7739 23/03/18 7739
169621 [질문] 컴퓨터 본체 이륙 허가 부탁드립니다 [8] Aqours8264 23/03/18 8264
169620 [질문] 미국에서 새 차를 사려고 하는데 따로 좋은 시기가 있을까요? [3] 휵스6872 23/03/18 6872
169619 [질문] 재테크 자문을 구합니다. [14] MC_윤선생6879 23/03/18 6879
169616 [질문] 30대 중반 소개팅 질문! [8] 마다오12845 23/03/17 12845
169615 [질문] 해리포터3에서 기숙사 문의 그림을 훼손한 인물 [2] 무한도전의삶7491 23/03/17 7491
169614 [질문] 경제, 산업, 외교 관련 양질의 글 볼 수 있는 곳 있을까요? [9] 사람되고싶다7429 23/03/17 7429
169613 [질문] 해외직구 애플워치6 셀룰러 문의입니다 드문5525 23/03/17 5525
169611 [질문] 갤럭시북3프로 가격 지금도 메리트 있는건가요?? [3] 7716 23/03/17 7716
169610 [질문] 키보드 인식불량관련 질문 [2] 콘칩콘치즈6708 23/03/17 6708
169609 [질문] 30대부터라도 배웠으면 좋았을 걸 하는 것들 추천해주세요 [18] La_vie11028 23/03/17 11028
169608 [질문] ppt 질문입니다 [9] DogSound-_-*7051 23/03/17 7051
169607 [질문] 아파트 승강기 교체 건으로 논란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19] 지금이대로10258 23/03/17 10258
169606 [질문] (NBA) 90년대 센터 질문입니다. [6] 인민 프로듀서6515 23/03/17 6515
169605 [질문] 부산 기장 쪽 먹거리나 놀거리가 있을까요? [8] 클레멘티아9271 23/03/17 9271
169604 [질문] 갤럭시 폴드 쓰시는 분들께 질문드립니다. (은행어플관련) [7] 브이올렛8007 23/03/17 800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