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1/06 09:37:28
Name grrrill
Subject [질문] 미국은 물가 상승률이 왜그렇게 높은가요?
안녕하세요~

우리나라도 요 근래 물가가 많이 오른것 같긴 한데

뉴스를 보면 미국은 우리나라 보다 물가가 너무 많이 오른것 같더라구요.

미국 물가 상승률이 우리나라 대비 그렇게 높은데 이유가 있을까요?

과잉 유동성 / 공급충격 이런건 우리나라가 더 심할것 같은데 말이에요.


제가 뭘 잘못 알고 있는건지..

아니면 실제로는 미국 물가 상승은 우리나라랑 비슷한 수준인데

뉴스만 봐서 착각을 하고 있는건지.. 모르겠어요.

정말 미국 물가 상승률이 높긴 할까요? 그러면 그 이유는 뭘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도라지
23/01/06 09:44
수정 아이콘
코로나때 돈을 많이 풀었던게 원인중에 하나라고 알고 있습니다.
23/01/06 09:45
수정 아이콘
코로나 시기에 미국정부에서 돈을 엄청나게 풀었고, 그렇게 되자 사람들이 돈을 벌기 위한 노동을 하지 않게 되고, 사람을 못구하니까 임금이 올라가고, 결과적으로 물가가 올라갔다고 알고 있습니다.
23/01/06 09:53
수정 아이콘
미국이 돈을 많이 풀기도 했지만 우리나라는 공산품이 아닌 서비스 재화 대부분을 국가에서 가격을 통제하기 때문입니다. 의료 교통 에너지 등등요.
23/01/06 09:54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보면 의외로(?) 돈을 덜 풀었던 편입니다.
연준 대차대조표만 봐도 08년 위기 이후 10년 가까이 진행해왔던 양적완화보다 코로나 이후 증가폭이 더 높습니다
다만 미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는 YoY를 기준으로 물가상승률을 발표하고 있으며 MoM으로 볼 때는 상승세가 많이 완화된 상황입니다.
YoY 기준으로도 점차적으로 빠지고 있구요. 다음주 발표될 미국 12월 CPI 예상치는 어느덧 6.7%네요

물론 우리나라 물가상승률의 꽤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전기, 가스 등 통제 가능한 변수를 작년엔 많이 억제시켰고
올해는 이러한 부분을 상당 부분 현실화할 것이기 때문에 YoY 기준으로는 올 하반기 쯤 우리나라와 미국의 CPI가 역전될 가능성도 높습니다.
망고베리
23/01/06 10:13
수정 아이콘
중국, 베트남같은 공급망 옆에 있는 것도 크죠
23/01/06 11:04
수정 아이콘
미국은 어려우니까 돈을 미친듯이 풀었고 - 그거 받고 일을 안 하고 - 사람이 부족하니 임금이 오르고 - 임금이 오르니 물가가 오르고의 반복이었습니다.
반면 우리나라는 돈을 미친듯이 풀지도 않았고, 그거 받고 일을 다 했고, 그래서 사람이 부족하지 않았죠. 임금 상승은 있었지만 일반적인 범위였구요.
그래서 우리나라의 물가 상승 요인은 내부적 요인보단 대부분 에너지 등의 외부적 요인이었습니다.
반면 미국은 외부적 요인은 우리나라보다 적더라도 거기에 내부적 요인이 크게 들어가니 물가상승률이 커진거라 볼 수 있습니다.
샤르미에티미
23/01/07 11:07
수정 아이콘
미국은 진짜 너무 할 정도로 돈을 풀어서... 어려워? 돈 풀자, 힘들어? 돈풀자, 애매해? 돈풀자, 활황이야? 돈풀자 때됐네? 돈풀자 이 짓을 그냥 끊임 없이 해왔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8274 [질문] 핸드폰 유심칩민 기기변경 관련한 질문입니다! [4] EnzZ8079 23/01/06 8079
168273 [질문] 옛날 게임인데 미래 잠수함을 주제로 한 게임 찾을 수 있을까요? [5] 안녕!곤12070 23/01/06 12070
168272 [질문] 달러 환전 질문드립니다 [2] 더치커피7655 23/01/05 7655
168271 [질문] 제가 들고있는 보험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8] Ahri12464 23/01/05 12464
168270 [질문] 노트북 마지막 질문입니다ㅠ(링크 있음) [4] 사이시옷11288 23/01/05 11288
168269 [질문] 차털이 합의 하려고 합니다. [2] 고등어3마리17755 23/01/05 17755
168268 [질문] 어렸을 때 외국에서 살면 특별한 노력 안 해도 외국어를 쉽게 익히는지요...? [31] nexon10642 23/01/05 10642
168267 [질문] 전세보증금 반환 민사소송 청구취지 작성 질문 [9] Honestly7932 23/01/05 7932
168266 [질문] 슬램덩크 더빙 자막 다 보신분 계신가요? [3] 껌정9995 23/01/05 9995
168265 [질문] 일본 도쿄 여행 코스 [8] 우메보시13095 23/01/05 13095
168264 [질문] 중고거래 문자 안되는 시간은 몇시부터 몇시라고 보시나요? [11] 마르키아르11866 23/01/05 11866
168263 [질문] 신작과 구작이 함께 서비스하고 있는 게임들이 궁금합니다. [15] GoThree9779 23/01/05 9779
168261 [질문] 일본 도쿄 디즈니랜드 여행을 계획하고있습니다. 언제쯤이 좋을까요? [1] Secundo12486 23/01/05 12486
168260 [질문] 워렌 버핏이 타계하면 버크셔 해서웨이 주가는 어떻게 될까요? [15] 보리야밥먹자10199 23/01/05 10199
168259 [질문] 계묘년은 왜 검은토끼인가요? [11] goldfish10992 23/01/05 10992
168258 [질문] PC견적질문 [17] 카오루9719 23/01/05 9719
168257 [질문] 8년 지기 친구인데 축의금 10만원이면 괜찮겠죠? [18] 돈척11586 23/01/05 11586
168256 [질문] 연말 정산 질문입니다 - 자녀 교육비 [16] 모나크모나크9024 23/01/05 9024
168255 [질문] 노트북 둘 중 골라주세요ㅠ [4] 사이시옷10841 23/01/05 10841
168253 [질문] [데이트]합정역 근처 분위기 좋고 소주 마실 수 있는데 있을까요? [4] 불대가리8185 23/01/05 8185
168252 [질문] 아이패드 9세대 질문드려요(아이용) [3] 가테갓겜59분전8999 23/01/05 8999
168251 [질문] 전자상가 구경할만한 곳 있나요? [4] 그때가언제라도9411 23/01/05 9411
168249 [질문] 외국 서비스 환불 [4] 어센틱9095 23/01/05 909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