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12/01 23:09:51
Name 얼음숨결
Subject [질문] 벽에 크랙 퍼티(빠데)로 메꾸는 방법 질문 드립니다.
제가 들어오는 인터넷 사이트가 pgr 밖에 없어 여기 올립니다...

집에 대피실이 있는데 거기에 3방향 벽 모두에 금이 심하게 가 있습니다.
photo_2022-12-01_22-51-48.jpg
photo_2022-12-01_22-51-56.jpg
photo_2022-12-01_22-51-52.jpg
다행히(?) 다 내부 끼리 맞닿은 가벽(석고 벽?) 같은 거라 안전 문제는 아닐 거라 생각 되지만
저걸 어떻게 좀 하고 싶은데요,
관리실에 물어보니 본인들이 해 줄 수는 없고 빠데를 사다가 메꾸라고 하네요.
빠데가 뭔지 몰라 이것저것 찾아보고 메꾸는 방법도 찾아보았습니다만,
일단 지금 보니 가장 크고 심하게 금 간 부분이 애초에 틈이 있는 부분에
조인트 테이프를 붙이고 그 위에 퍼티를 발라 놓은 것 같네요.
저 부분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1. 조인트 테이프를 떼어내고 다시 붙여야 할지
  - 두께가 더 두꺼워지지는 않을 것 같으나, 테이프를 떼다가 더 지저분해지거나 크랙이 심해질 수도 있을 것 같아요.
2. 그 위에 그냥 퍼티를 발라야 할지
  - 잘 붙을 지도 모르겠고, 이미 떨어져 나간 조인트 테이프 위에 붙이는 게 맞는지도 모르겠고, 붙어도 두께가 두꺼워질 것 같아요.
3. 혹은 다른 방법이 있는지?

많은 고수 분들의 좋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ㅠㅠ

미리 감사 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his-Plus
22/12/01 23:15
수정 아이콘
퍼티를 바르려면 일단 사포나 끌같은 도구로 걸리는 부분을 전부 쳐내야 합니다.
최대한 사포질 해서 면을 깨끗하게 걸리는 거 없이 밀어준 후
퍼티 적당량을 펴바르고
퍼티가 마르면 최대한 평평하게 사포질.
그러면 퍼티 바른 부분의 컬러가 티가 나니
마지막에 페인트 도색.
유튜브 먼저 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얼음숨결
22/12/01 23:19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 드립니다.
유튜브 보고 공부는 했는데 저 조인트 테이프의 존재가 걸려서요..

글 아랫 부분의 조인트 테이프가 있던 부분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가 핵심 질문입니다
평평하게 한 다음 조인트 테이프를 붙이고 그 위에 퍼티 작업을 하란 얘기도 봤는데
예전에 작업을 그렇게 해 놨던 것 같아서요.

조인트 테이프가 이미 붙어 있으니 그 위에 해도 되는 건지,
떼어내고 다시 해야 할지,
떼어내다가 석고 벽이 작살나는 거 아닌지
잘 모르겠네요...
This-Plus
22/12/01 23:27
수정 아이콘
테이프 너덜거리는 부분만 최대한 잘 제거하고
그 위에 퍼티 충분히 올리는 게 좋아보입니다.
사포질 앞에 다 평등해서요.
22/12/01 23:56
수정 아이콘
눈에 거슬리고 짜증나고 뭐 이참에 한번 해보겠다면 짧은 생각으로는 조인트테이프 싸악 걷어내시구요. 뗀부위랑 주변부 사포(180방정도면 뭐 충분히 가능할겁니다)질하시고 크랙간 부분에 목공본드를 채우시구요 조인트테이프 발라서 퍼티를 2번정도하시는데 마르고 또 바르고 해서 최대한 평평하게 뭐 헤라로 하시면 되요. 그 다음 사포로 손으로 문댔을때 평평하다는 느낌이 오도록 살살 사포질 하시구요.
그다음 페인트 도색 두번여

한번 해보시면 귀찮지만 재미삼아 해보세요. 그리고 페인트 도색할때는 커버링테이프 잘 바르세염. 마스킹테이프랑 같이 하시면 편해요. 테이프 바르는데 이물질 먼지등이 있으면 잘때어지니 불어서 날리시면 되세여

페인트양은 올도색에 두번 하실꺼면 1갤런(4리터, 1가롱으로도 말하긴 합니다)로 부족할 수 있으니 집주변 페인트가게 가셔서 1통 사셔서 발라보시고 모질라면 한번더 가셔서 사세여. 비싸봐야 2~5000원정도 차이 날껍니다.
얼음숨결
22/12/02 10:28
수정 아이콘
채울 때는 퍼티가 아니라 목공 본드로 채우는 게 낫나요? 어디 보니까 그냥 다 퍼티로 채우고 테이프 붙이고 그 위에 다시 퍼티 붙여 마무리 이렇게 하던데 목공 본드로 하면 더 튼튼할까요?
22/12/02 12:35
수정 아이콘
퍼티로 해도 본드로 해도 실리콘으로 해도 그건 각자의 성향인거 같아요.
올퍼티 보통 3번 하는 혹은 더하는 경우인데 신경써서 하는곳(돈 많이 혹은 잘 주는곳등) 첫번째 퍼티는 핸디퍼티는 안쓰고 다른퍼티씁니다
조과장
22/12/02 08:47
수정 아이콘
정석대로 시공하시면 좋으시겠지만 사포질하시면 먼지가 엄청 많이 나오고
셀프시공이란 것이 노력하신 것에 비해 품질이 생각하신 만큼 안나올 수 있습니다.
차라리 해당 면 전체를 시트지로 붙여버리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평소에 벽에 습기나 이상 징후가 없으시다면...
StayAway
22/12/02 09:41
수정 아이콘
저도 여기 한표..
사포질에 퍼티질에 도색에 생각보다 매우 귀찮은 작업인데
미세먼지까지 어마어마하게 나오는거 생각하면
시트지나 폼보드로 덮는게 나을거 같아요.
얼음숨결
22/12/02 10:20
수정 아이콘
대피실이라 사진에 찍힌 3면 제외하고 바로 반대쪽이 바깥으로 창이 달려 있어서 외부의 영향을 좀 받을 것 같은데 괜찮을까요?
올리지 않은 하나의 벽에는 곰팡이가 생겨 있습니다... ㅠ_ㅠ
이런 경우에도 시트지가 가능할까요?
조과장
22/12/02 10:43
수정 아이콘
일단 제 의견입니다만,
곰팡이는 습기나 결로 때문인것 같은데 그 위에 바로 시트지나 인테리어 단열 필름 종류를 붇이시면,
눈으로 안보인다는 것 외에는 좋은점이 없을듯 합니다.
저라면, 사진 없는 쪽 벽면이 크랙없이 곰팡이만 있다면, 곰팡이 제거제로 깨끗이 청소하고, 나머지 벽면에
시트지나 StayAway님 말씀대로 단열 폼보드를 붇이고, 창문단열까지 한 후 곰팡이 상태를 보겠습니다.
그리고 향후 결로나 이상이 없으면 그대로 사용하시거나, 시트지 시공을 하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7636 [질문] 서울 근처 파인다이닝 오마카세 추천 부탁드립니다 [6] 유유할때유10553 22/12/05 10553
167635 [질문] 피지알처럼 중계불판달리는 사이트가 또 있을까요? [6] 한국안망했으면8721 22/12/04 8721
167634 [질문] 맥북 초기화 안하고 애플계정만이동 [2] 하늘이어두워8291 22/12/04 8291
167633 [질문] QHD 144 모니터가 필요할지에 대한 고민 + 컴퓨터 [11] 사람되고싶다11978 22/12/04 11978
167632 [질문] 배우 이름이 생각이 도저히 안 납니다. [4] 버드맨9442 22/12/04 9442
167631 [질문] 취업난이도가 계속 어려워지고있는게 맞나요? [32] 빵떡유나14314 22/12/04 14314
167630 [질문] 중국에 오덕 인구 비율이 많은가요? [11] 모르골11327 22/12/04 11327
167629 [질문] 영등포, 여의도, 마포 회식장소 추천 [5] Genius8012 22/12/04 8012
167628 [질문] 웹소설 보시는 분들께 질문드립니다. [18] 개떵이다9389 22/12/04 9389
167627 [질문] 카카오톡 계정 질문입니다 구글 계정 관련 [2] luvsic7687 22/12/04 7687
167626 [질문] 중국, 홍콩, 일본 주식시장이 최소 100주단위 거래만 가능한 이유는 뭔가요? [3] 보리야밥먹자10819 22/12/04 10819
167625 [질문] 월악산 가려는데 필요한 장비가 있을까요 [11] 이리세10222 22/12/04 10222
167624 [질문] 나이키랑 아디다스 선수들 광고 어떻게 찍는건가요?? [4] 아이폰128865 22/12/04 8865
167623 [질문] 치과 질문입니다. [7] 개떵이다8833 22/12/04 8833
167622 [질문] ebten.jp에서 카드를 쓸 수 없습니다. [4] PGR안내인10415 22/12/04 10415
167621 [질문] 휘발유 품절관련해서 [7] 만우11426 22/12/03 11426
167620 [질문] 수술용장갑 사이즈7 의 세부사이즈 궁금합니다. [6] 이민들레13902 22/12/03 13902
167619 [질문] 뻔한 질문이지만... 이럴 경우 후자겠죠? [14] 무한도전의삶9960 22/12/03 9960
167618 [질문] 엘지 티비 OLED65C2FNA 인터넷 최저가로 구매하려고 합니다 [3] BlueSKY--9972 22/12/03 9972
167616 [질문] [LOL]유튜브에서 우연히 본 썸네일입니다(drx관련) [3] 재입대9525 22/12/03 9525
167615 [질문] 한국과 일본 피파랭킹이 얼마나 올라갈까요? [6] 화작확통생윤사문10597 22/12/03 10597
167614 [질문] 폰 저장 용량 무엇이 많이 차있는걸까요? [4] 포커페쑤7493 22/12/03 7493
167613 [질문] 음악 MP3 다운받기 좋은 사이트 추천 부탁드립니다. [18] 리클라이너8850 22/12/03 885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