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12/01 08:58:03
Name Rei
File #1 Screenshot_20221201_084419_Samsung_Health.jpg (381.9 KB), Download : 125
Subject [질문] 달리기 무리해서 하면 근손실 나는건가요?


일단 헬스같은건 거의 안해서 근손실이 어떤 개념인지 정확히 뭔지는 모릅니다. ^^;

매일 아침, 저녁으로 1km 씩, 그러니까 하루에 2km 를 달리고 있는데요. 갤워치가 생겨서 차고 해봤더니 심박수가 위에 스샷처럼 나와서,지인께 보여줬더니 이거 너무 무리해서 운동하는거 아니냐고 하시네요. 너무 격하게 운동하면 지방, 탄수화물이 빠지는게 아니라 근육에 있는 단백질이 빠져서 오히려 안하니만 못하다고 하시는데...

음.. 일단 달리는 거리를 좀 줄여보는게 좋을까요? 아침 저녁으로 뛴지는 꽤 되었고, 심박수는 수치상으론 높게 나오는 것 같기는 한데 실제로 크게 힘들다거나 그러지는 않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라온하제
22/12/01 08:59
수정 아이콘
매일 8키로내외 뛰는데 그런것 전혀없습니다..
식욕이 좋아지거든요
알카즈네
22/12/01 09:02
수정 아이콘
매일 2km가 아니라 2시간은 달려야 근손실 걱정이 필요한 듯 합니다.
페로몬아돌
22/12/01 09:07
수정 아이콘
오히려 근육이 생깁니다.
22/12/01 09:09
수정 아이콘
1. 평소에 운동안하는 사람이 심박수가 저렇게 올라가는 행동을 하면 근육은 성장하면 성장했지 손실이 날 리는 없습니다. 근손실은 근육이 많은 사람들이 걱정하는 겁니다.
2. 평소 운동 안하시는 분이 갑자기 1km에 저정도 심박수를 찍으면 무리하는건 맞는데, 다른것보다 요즘 같이 추울 때 제대로 몸풀지 않고 냅다 달리면 부상 위험이 있습니다. 심박수를 120-140 정도로 30-60분 정도 유지 가능한 운동을 충분한 준비운동 이후에 하는걸 추천드립니다.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실내 자전거와 수영이 도움이 됩니다.
유료도로당
22/12/01 09:19
수정 아이콘
(수정됨) 평소에 헬스같은거 안하시는 분이라고 하셨으니.... 사실 근손실은 커녕 오히려 달리기 동작으로 인해서 근육이 더 생기셨을겁니다. 그래도 걱정되시면 단백질 위주로 식사 잘 챙겨드시고, 너무 추운날엔 무리하시자마시고 쉬시는것도 좋겠습니다.
리얼월드
22/12/01 09:29
수정 아이콘
바디빌딩용 근육을 원하시면 근손실이 맞고
달리기용 근육을 원하시면 근성장이 맞고...
22/12/01 09:39
수정 아이콘
2키로는 워밍업하는 정도의 거리라.. 근손실 걱정 안하셔도됩니다
iPhoneXX
22/12/01 09:42
수정 아이콘
근손실은 운동 초입자들이 생각할 부분이 아닙니다. 누가 봐도 진짜 우락부락한 분들의 경우나 가능한 이야기고..지금 1km 운동도 그렇게 격한 운동이 아니라서 걱정 안하셔도 되요..최소 달리기 30분 이상 강도 있게 하면서 BB식 운동할때나 걱정할 내용입니다.
22/12/01 09:47
수정 아이콘
강도와 거리를 낮추시는걸 추천드립니다.
22/12/01 10:56
수정 아이콘
거리를 낮추면 그냥 안뛰는수준 아닌가요??
고오스
22/12/01 11:04
수정 아이콘
그건 20대 이하 사람들 얘기고 피쟐 연령 평균대라고 가정하고 운동 안한 사람이라고 보면 쿨럭님 조언이 맞습니다

30대 이상에서 운동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이 자기 몸 상태도 제대로 모르고 막 달리면 무릎, 발목이 아작납니다

특히 PT나 운동 오래한 사람과 같이하는게 아닌 혼자서 달리는 거라면 더더욱요
정공법
22/12/01 12:37
수정 아이콘
1km면 걸어도 15분안쪽인데
10분뛰고 몸 아작나는거면 병원부터 가야하는거 아닌가요,,,크크
무냐고
22/12/01 15:41
수정 아이콘
운동 안하던 사람들은 무릎 발목 아작날때까지 못 뛸건데요. 종아리랑 심폐부터 신호와서
HighlandPark
22/12/01 10:09
수정 아이콘
2km로 근손실 걱정하시는건 어불성설입니다. 10km 쯤은 되어야 근손실 운운할 수 있는건데 그것도 바디빌딩용 근육 만드는 사람이나 할법한 소리지, 일반인은 오히려 근성장이 옵니다.
Just do it
22/12/01 10:21
수정 아이콘
(수정됨) 격하게 운동해야 지방과 탄수화물이 빠집니다. 지인이 어디서 본건 있는데 어설프게 알고 있는 듯 하네요.
저도 군대에서 3km구보할 때가 체력이 좋고 살이 잘 빠졌던거 같해서 맘 같해선 하고 싶습니다.
또 저런류 사람이 잘못 알고 있을 수 있는게 자위행위하면 단백질 빠져 나간다고 할듯도 한데
정액에는 단백질이 아주 소량이고 80프로이상이 수분입니다. 칼로리는 1kcal쯤이라고 하고요
한번에 2km로 봤는데 아침저녁으로 1km씩이네요. 3km이상으로 늘려보세요.
고오스
22/12/01 11:0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달리기 얘기 나올 때 수 키로 뛰어도 문제가 없다는 댓글들이 많이 달리는데 장담하는데 이런 댓글은 운동 초보자에게 매우 해롭습니다

헬스로 비유하면 헬창들이 3대 300은 몸 멀쩡하면 다 하는 거야 라고 말하는것과 같죠 (실제로는 운동 안하던 사람이 저래들면 몸 박살납니다)

그분들이 악의를 가지고 적은게 아니고 오랫동안 달리기를 꾸준히 해오면서 매일 10키로를 뛰어도 몸에 무리는커녕 몸이 좋아지는 단계여서 그런겁니다 (올챙이적 시절이 너무 오래되서 까먹은 분들 =_=;;)

피쟐 평균 연령대에서 운동 시작하는 분들은 이런 조언 듣지말고 내 몸의 한계를 파악하면서 살살 운동해야 합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달리기는 유산소지만 운동을 안하는 사람이 하면 근손실은 커녕 하체 근력이 보강되는 운동이죠

문제는 운동 안하는 사람이 달리기를 갑자기 하면 온 몸, 특히 무릎, 발목, 발에 많은 충격을 받게 됩니다

처음부터 무리하지 마시고 가볍게, 대신 꾸준히 하면서 본인의 몸 상태를 체크하고 달리기 방법, 신발 등을 조정하면서 점점 거리 및 속도를 늘려보세요
옥동이
22/12/01 11:02
수정 아이콘
하루 6킬로씩 달리는데 다리랑 팔에 근육이 붙고 있습니다..
22/12/01 11:06
수정 아이콘
안녕하세요. 글쓴이입니다. 그냥 하던데로 하면 될 것 같네요 ^^ 많은 분들 리플 도움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22/12/01 11:17
수정 아이콘
본인이 힘들다는 느낌 크지 않으면 별 문제 없어 보입니다. 운동량 자체가 많지 않아요.

뭐든지 심한 운동은 해롭고 러닝이 과하면 무릎등 하체 관절에 문제가 올수 있어요. 근데 근손실은 신박하네요;;

소위 말하는 헬창급 아닌 이상 근손실 이라는 단어는 신경쓸 필요가 없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7628 [질문] 웹소설 보시는 분들께 질문드립니다. [18] 개떵이다9390 22/12/04 9390
167627 [질문] 카카오톡 계정 질문입니다 구글 계정 관련 [2] luvsic7701 22/12/04 7701
167626 [질문] 중국, 홍콩, 일본 주식시장이 최소 100주단위 거래만 가능한 이유는 뭔가요? [3] 보리야밥먹자10839 22/12/04 10839
167625 [질문] 월악산 가려는데 필요한 장비가 있을까요 [11] 이리세10246 22/12/04 10246
167624 [질문] 나이키랑 아디다스 선수들 광고 어떻게 찍는건가요?? [4] 아이폰128874 22/12/04 8874
167623 [질문] 치과 질문입니다. [7] 개떵이다8847 22/12/04 8847
167622 [질문] ebten.jp에서 카드를 쓸 수 없습니다. [4] PGR안내인10443 22/12/04 10443
167621 [질문] 휘발유 품절관련해서 [7] 만우11446 22/12/03 11446
167620 [질문] 수술용장갑 사이즈7 의 세부사이즈 궁금합니다. [6] 이민들레13916 22/12/03 13916
167619 [질문] 뻔한 질문이지만... 이럴 경우 후자겠죠? [14] 무한도전의삶9976 22/12/03 9976
167618 [질문] 엘지 티비 OLED65C2FNA 인터넷 최저가로 구매하려고 합니다 [3] BlueSKY--9982 22/12/03 9982
167616 [질문] [LOL]유튜브에서 우연히 본 썸네일입니다(drx관련) [3] 재입대9540 22/12/03 9540
167615 [질문] 한국과 일본 피파랭킹이 얼마나 올라갈까요? [6] 화작확통생윤사문10610 22/12/03 10610
167614 [질문] 폰 저장 용량 무엇이 많이 차있는걸까요? [4] 포커페쑤7494 22/12/03 7494
167613 [질문] 음악 MP3 다운받기 좋은 사이트 추천 부탁드립니다. [18] 리클라이너8855 22/12/03 8855
167612 [질문] 대형마트 / 온라인 가격차이가 줄어든거 같습니다 [18] 공부맨10280 22/12/02 10280
167611 [질문] 고대 컴퓨터 페가트론 ipmsb-h61 잘 아시는 분 크크크 [6] 페로몬아돌9673 22/12/02 9673
167609 [질문] 눈으로 보는 색과 같은 색 찾기(?) [4] 마다오10602 22/12/02 10602
167608 [질문] 일본 여행 백신 관련 질문드립니다 [7] 순무12375 22/12/02 12375
167607 [질문] pc 케이스 하드가이드 분리하는 방법? [2] 세종8551 22/12/02 8551
167606 [질문] 해외에서 월드컵 보는 방법이 있을까요? [16] 서지훈'카리스10674 22/12/02 10674
167605 [질문] 현재 민주당은 리버럴 정당이 맞습니까? [20] 상록일기9557 22/12/02 9557
167604 [질문] 카카오 80퍼 이상 초콜릿 추천 부탁드려요 [4] 티아라멘츠11157 22/12/02 1115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