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12/01 08:58:03
Name Rei
File #1 Screenshot_20221201_084419_Samsung_Health.jpg (381.9 KB), Download : 125
Subject [질문] 달리기 무리해서 하면 근손실 나는건가요?


일단 헬스같은건 거의 안해서 근손실이 어떤 개념인지 정확히 뭔지는 모릅니다. ^^;

매일 아침, 저녁으로 1km 씩, 그러니까 하루에 2km 를 달리고 있는데요. 갤워치가 생겨서 차고 해봤더니 심박수가 위에 스샷처럼 나와서,지인께 보여줬더니 이거 너무 무리해서 운동하는거 아니냐고 하시네요. 너무 격하게 운동하면 지방, 탄수화물이 빠지는게 아니라 근육에 있는 단백질이 빠져서 오히려 안하니만 못하다고 하시는데...

음.. 일단 달리는 거리를 좀 줄여보는게 좋을까요? 아침 저녁으로 뛴지는 꽤 되었고, 심박수는 수치상으론 높게 나오는 것 같기는 한데 실제로 크게 힘들다거나 그러지는 않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라온하제
22/12/01 08:59
수정 아이콘
매일 8키로내외 뛰는데 그런것 전혀없습니다..
식욕이 좋아지거든요
알카즈네
22/12/01 09:02
수정 아이콘
매일 2km가 아니라 2시간은 달려야 근손실 걱정이 필요한 듯 합니다.
페로몬아돌
22/12/01 09:07
수정 아이콘
오히려 근육이 생깁니다.
22/12/01 09:09
수정 아이콘
1. 평소에 운동안하는 사람이 심박수가 저렇게 올라가는 행동을 하면 근육은 성장하면 성장했지 손실이 날 리는 없습니다. 근손실은 근육이 많은 사람들이 걱정하는 겁니다.
2. 평소 운동 안하시는 분이 갑자기 1km에 저정도 심박수를 찍으면 무리하는건 맞는데, 다른것보다 요즘 같이 추울 때 제대로 몸풀지 않고 냅다 달리면 부상 위험이 있습니다. 심박수를 120-140 정도로 30-60분 정도 유지 가능한 운동을 충분한 준비운동 이후에 하는걸 추천드립니다.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실내 자전거와 수영이 도움이 됩니다.
유료도로당
22/12/01 09:19
수정 아이콘
(수정됨) 평소에 헬스같은거 안하시는 분이라고 하셨으니.... 사실 근손실은 커녕 오히려 달리기 동작으로 인해서 근육이 더 생기셨을겁니다. 그래도 걱정되시면 단백질 위주로 식사 잘 챙겨드시고, 너무 추운날엔 무리하시자마시고 쉬시는것도 좋겠습니다.
리얼월드
22/12/01 09:29
수정 아이콘
바디빌딩용 근육을 원하시면 근손실이 맞고
달리기용 근육을 원하시면 근성장이 맞고...
22/12/01 09:39
수정 아이콘
2키로는 워밍업하는 정도의 거리라.. 근손실 걱정 안하셔도됩니다
iPhoneXX
22/12/01 09:42
수정 아이콘
근손실은 운동 초입자들이 생각할 부분이 아닙니다. 누가 봐도 진짜 우락부락한 분들의 경우나 가능한 이야기고..지금 1km 운동도 그렇게 격한 운동이 아니라서 걱정 안하셔도 되요..최소 달리기 30분 이상 강도 있게 하면서 BB식 운동할때나 걱정할 내용입니다.
22/12/01 09:47
수정 아이콘
강도와 거리를 낮추시는걸 추천드립니다.
22/12/01 10:56
수정 아이콘
거리를 낮추면 그냥 안뛰는수준 아닌가요??
고오스
22/12/01 11:04
수정 아이콘
그건 20대 이하 사람들 얘기고 피쟐 연령 평균대라고 가정하고 운동 안한 사람이라고 보면 쿨럭님 조언이 맞습니다

30대 이상에서 운동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이 자기 몸 상태도 제대로 모르고 막 달리면 무릎, 발목이 아작납니다

특히 PT나 운동 오래한 사람과 같이하는게 아닌 혼자서 달리는 거라면 더더욱요
정공법
22/12/01 12:37
수정 아이콘
1km면 걸어도 15분안쪽인데
10분뛰고 몸 아작나는거면 병원부터 가야하는거 아닌가요,,,크크
무냐고
22/12/01 15:41
수정 아이콘
운동 안하던 사람들은 무릎 발목 아작날때까지 못 뛸건데요. 종아리랑 심폐부터 신호와서
HighlandPark
22/12/01 10:09
수정 아이콘
2km로 근손실 걱정하시는건 어불성설입니다. 10km 쯤은 되어야 근손실 운운할 수 있는건데 그것도 바디빌딩용 근육 만드는 사람이나 할법한 소리지, 일반인은 오히려 근성장이 옵니다.
Just do it
22/12/01 10:21
수정 아이콘
(수정됨) 격하게 운동해야 지방과 탄수화물이 빠집니다. 지인이 어디서 본건 있는데 어설프게 알고 있는 듯 하네요.
저도 군대에서 3km구보할 때가 체력이 좋고 살이 잘 빠졌던거 같해서 맘 같해선 하고 싶습니다.
또 저런류 사람이 잘못 알고 있을 수 있는게 자위행위하면 단백질 빠져 나간다고 할듯도 한데
정액에는 단백질이 아주 소량이고 80프로이상이 수분입니다. 칼로리는 1kcal쯤이라고 하고요
한번에 2km로 봤는데 아침저녁으로 1km씩이네요. 3km이상으로 늘려보세요.
고오스
22/12/01 11:0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달리기 얘기 나올 때 수 키로 뛰어도 문제가 없다는 댓글들이 많이 달리는데 장담하는데 이런 댓글은 운동 초보자에게 매우 해롭습니다

헬스로 비유하면 헬창들이 3대 300은 몸 멀쩡하면 다 하는 거야 라고 말하는것과 같죠 (실제로는 운동 안하던 사람이 저래들면 몸 박살납니다)

그분들이 악의를 가지고 적은게 아니고 오랫동안 달리기를 꾸준히 해오면서 매일 10키로를 뛰어도 몸에 무리는커녕 몸이 좋아지는 단계여서 그런겁니다 (올챙이적 시절이 너무 오래되서 까먹은 분들 =_=;;)

피쟐 평균 연령대에서 운동 시작하는 분들은 이런 조언 듣지말고 내 몸의 한계를 파악하면서 살살 운동해야 합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달리기는 유산소지만 운동을 안하는 사람이 하면 근손실은 커녕 하체 근력이 보강되는 운동이죠

문제는 운동 안하는 사람이 달리기를 갑자기 하면 온 몸, 특히 무릎, 발목, 발에 많은 충격을 받게 됩니다

처음부터 무리하지 마시고 가볍게, 대신 꾸준히 하면서 본인의 몸 상태를 체크하고 달리기 방법, 신발 등을 조정하면서 점점 거리 및 속도를 늘려보세요
옥동이
22/12/01 11:02
수정 아이콘
하루 6킬로씩 달리는데 다리랑 팔에 근육이 붙고 있습니다..
22/12/01 11:06
수정 아이콘
안녕하세요. 글쓴이입니다. 그냥 하던데로 하면 될 것 같네요 ^^ 많은 분들 리플 도움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22/12/01 11:17
수정 아이콘
본인이 힘들다는 느낌 크지 않으면 별 문제 없어 보입니다. 운동량 자체가 많지 않아요.

뭐든지 심한 운동은 해롭고 러닝이 과하면 무릎등 하체 관절에 문제가 올수 있어요. 근데 근손실은 신박하네요;;

소위 말하는 헬창급 아닌 이상 근손실 이라는 단어는 신경쓸 필요가 없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7654 [질문] 재벌집 막내아들 ost 중 한 음절이 페르소나5 ost 한 음절과 비슷하게 들려서 질문글 올려요 [4] 보로미어12093 22/12/05 12093
167653 [질문] 임산부 관련 정보는 어디에서 얻으면 괜찮을까요? [8] 도전과제8785 22/12/05 8785
167652 [질문] 월드컵 선수들 몸에 있다는 센서는 어디 붙어있나요? [7] 내돈은꿈많은백수11126 22/12/05 11126
167651 [질문] 대전류? 보드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21] 레너블10373 22/12/05 10373
167649 [질문] 화물연대 업무개시명령은 인권 침해 아닌가요? [54] 멜로13231 22/12/05 13231
167648 [질문] 바(Bar)에서 눈탱이를 맞았습니다. [11] 관심좀12442 22/12/05 12442
167647 [질문] 해외여행 가기 전에 백신 접종을 해야 될까요? [10] 실버벨10070 22/12/05 10070
167646 [질문] 스타크래프트1 유닛 관련입니다. [4] 더히트11911 22/12/05 11911
167645 [질문] 현 30중반 ~ 40중반 사이로 방탄의 다이너마이트를 모른다면 [38] Cand9885 22/12/05 9885
167644 [질문] 음악 질문입니다. up8203 22/12/05 8203
167643 [질문] 유튜브 쇼츠는 방금 본 것도 알고리즘 적용되나요? 무한도전의삶9145 22/12/05 9145
167642 [질문] 남자아이돌은 침체기인가요? [17] AKbizs12599 22/12/05 12599
167641 [질문] 완본체를 보고 있는데 너무 싸서 질문드립니다 [13] 삭제됨11663 22/12/05 11663
167640 [질문] 30대후반 남자 염색 색상 질문입니다. [6] Haru11114 22/12/05 11114
167638 [질문] 호날두 왜 피한건가요? [21] 니체14634 22/12/05 14634
167637 [질문] 티비 사운드바 구매하려고 합니다 (30만원 내외) [6] BlueSKY--9035 22/12/05 9035
167636 [질문] 서울 근처 파인다이닝 오마카세 추천 부탁드립니다 [6] 유유할때유10577 22/12/05 10577
167635 [질문] 피지알처럼 중계불판달리는 사이트가 또 있을까요? [6] 한국안망했으면8764 22/12/04 8764
167634 [질문] 맥북 초기화 안하고 애플계정만이동 [2] 하늘이어두워8313 22/12/04 8313
167633 [질문] QHD 144 모니터가 필요할지에 대한 고민 + 컴퓨터 [11] 사람되고싶다12017 22/12/04 12017
167632 [질문] 배우 이름이 생각이 도저히 안 납니다. [4] 버드맨9467 22/12/04 9467
167631 [질문] 취업난이도가 계속 어려워지고있는게 맞나요? [32] 빵떡유나14343 22/12/04 14343
167630 [질문] 중국에 오덕 인구 비율이 많은가요? [11] 모르골11345 22/12/04 1134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