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11/26 23:11:28
Name 키작은나무
Subject [질문] 은퇴하는데 필요한 금액
안녕하세요.

최근 보게 된 기사가 하나 있는데요
한 가구 기준으로 부동산 + 부채 + 현금 등의 자산을 모두 더했을 때 30억이면 우리나라 상위 1%라고 하더라구요(22년 기준).
개인으로는 0.4% 정도이구요.

그러다가 든 생각인데, 우리나라 상위 1%라면 일을 하지 않아도 될까요?

부동산을 대략 15억 정도를 잡고(주거지),  
나머지 15억으로 사는건데  은행 이자 금리가 어떻게 변할지도 모르고, 주식에 박기에는 불안할거 같은데요...
근데 또 생각해보면 30억이면 저를 포함한 직장인들의 생애소득보다 훠어어얼씬 많기도 하고요.

연령대별 적정 은퇴를 위한 자산은 얼마로 생각하시는지가 궁금합니다.
ex. 40대 은퇴를 위한 자산 30억, 50대 은퇴를 위한 자산 20억,, 이런식으루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먼산바라기
22/11/26 23:15
수정 아이콘
제 소견으론.. 사바사 예요.

자기가 원하는 미래의 모습에 따라 원하는 은퇴금액이 달라지더라구요.
누구는 10억 누구는 20억 이렇게 바뀝니다.

가장 큰 이유가 거주지인데요. 강남살면서 은퇴를 꿈꾸시려면 부동산 30억. 현금 자산 20억. 이렇게 될거구요.
수도권에 사실거면 부동산15억 현금 15억 이렇게 될거예요.

주거지가 어디냐. 그리고 그 주거지 이웃 사촌들의 평균적인 소비수준이 얼마냐에 따라 은퇴 가능 자산이 달라집니다.
22/11/26 23:24
수정 아이콘
본인 씀씀이 따라 다르겠지요.
This-Plus
22/11/26 23:25
수정 아이콘
큰 병 걸리면 답도 없죠...
그게 무서워서 계속 일을 하는 거고
키작은나무
22/11/26 23:47
수정 아이콘
우문현답이군요. 감사합니다 ;)
22/11/26 23:48
수정 아이콘
진짜 사바사라 연령 별 적정 은퇴 자산이 나올 수가 없죠.
죽을 때까지 1인 가구 + 부모님을 부양하지 않아도 됨 이라면 어떻게 의견이 모일지는 모르겠으나
상위1%가 솔로로 사는 건 연예인 말곤 거의 못 봐서
22/11/26 23:5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말씀들대로 금액이야 케바케고..근데 40대 은퇴가능금액있고 50대은퇴가능금액있듯이 비슷한 계산식으로 60대은퇴가능금액도 있을건데
실제로 그 은퇴자금들고 은퇴하는 사람이 얼마나 있겠어요

다 보수적인 기준으로(위에도 적힌 큰병걸릴때라던지) 잡을때 은퇴가능해서 은퇴할수있는 사람 별로없죠
그래서 40대 은퇴 얼마? 50대 은퇴가능얼마? 이런거 얘기할때도 너무 보수적인거도 크게 의미가 있나 싶어요. 어차피 그런 기준으로는 평생일해도 대부분은 자발적 은퇴못함..
22/11/26 23:53
수정 아이콘
케바케지만 25년치 생활비 정도로 많이들 보더군요.
꿀깅이
22/11/26 23:53
수정 아이콘
제가 은퇴하려고 했다가

재산세 2천넘고
종부세도 2천정도
건보료 매달 70
아파트 관리비
자동차 보험료
등등 하니까 1년에 고정비용이 5천~6천 나오더라고요

은퇴는 아니고 반은퇴정도로 노선을 잡았습니다 ㅠㅠ
소사이어티게임
22/11/27 00:02
수정 아이콘
위에 분도 쓰셨지만,
사람마다 다르지만.. 대부분 아래같이 흐릅니다.

1.투자 or 소득으로 자기에게는 충분한 돈을 범
2,근데 그대로 돈을 가지고 있으면 물가상승률 때문에 마이너스 라는 생각을 하게 됨
3.부동산 or 주식 같은 곳에 투자하게 됨
4. 재산세, 보유세 같은 고정비가 늘거나 경기하락기에 들어서면 자기가 투자한 금액이 확 줄어듬
5, 그래서 쉬지 못하고 대부분 다시 일함.
6. 1~5 무한반복. 그리고 자기자식 조금이라도 편하게 살라고 멈출수가 없죠,.
오피셜
22/11/27 00:08
수정 아이콘
파이어족 책들에서 공통적으로 얘기하는 4%룰이 있습니다. 한해 생활비를 전체 은퇴자금의 4%이하로만 쓴다면 은퇴자금이 줄어들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하는 룰입니다. 예를 들어 은퇴자금이 10억이라면 10억의 4%인 4천만원만 생활비만 빼서 쓰면 은퇴재산이 안 줄어듭니다. 매달333만원정도.
물론, 은퇴자금을 안정적으로 우상향하는 주식같은 것에 묻어둬서 물가 같은 인플레이션 고려해서 증가해야 하는 걸 전제로 합니다.

파이어족 은퇴자금 계산법은 '매달 생활비 x12개월x25' 입니다.
한달에 생활비 300만원을 쓰겠다면 300만원x12x25=9억이 필요합니다. 한국은 자산의 대부분이 주택인 부동산에 집중돼 있으므로
주택10억+현금성 자산9억해서 최소 20억 이상은 있어야 될 겁니다. 하지만 인플레이션과 노년의 병원비로 생활비가 더 많이 필요할 테니 20억으로는 부족해 보입니다.
22/11/27 00:11
수정 아이콘
예상 수명, 유지하고자 하는 생활 수준에 따라서 달라지겠죠.
개인적으론 얼마들고 있느냐 보다는 현금흐름이 어느정도냐가 중요하겠네요.
월 직장인 월급정도 나온다면 평생 놀아도 되겠죠?
키작은나무
22/11/27 00:29
수정 아이콘
답글들 감사합니다.
파이어족이라는 키워드가 있었군요. 사실 저와 상관없는 먼나라 이야기라 이런 단어가 나온것도 모르고 살았었습니다.
찾아보니 위에 말씀해주신 내용들도 나오네요.

내용들 잘 정리해서 다듬어 보겠습니다.
나막신
22/11/27 08:51
수정 아이콘
저는 지금같으면 5억만 있어도.. 5억 예금 넣으면 연 2500만원이자로 그냥 계속 살고싶네요 중소 도시에 박혀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7549 [질문] 코팅팬에 쇠 도구 쓰지말라?? [14] 형리8520 22/11/30 8520
167548 [질문] 말버릇 "사실" 의 대체 문구는 무엇이 있을까요? [22] 서낙도7223 22/11/30 7223
167547 [질문] 175/100kg 체지방 37%에서 운동 9개월했어요 [25] 정공법10369 22/11/30 10369
167546 [질문] 태블릿 추천부탁드립니다. [3] 포리포리7839 22/11/30 7839
167545 [질문] 국공립/민간 어린이집 차이가 큰가요? [8] 더존비즈온6786 22/11/30 6786
167544 [질문] 흔한 시간 루팡 뻘질문입니다 [7] 무한도전의삶8368 22/11/30 8368
167543 [질문] 화물연대 파업은 일상에 어떤영향들을 미칠까요? [7] ZAKU9468 22/11/30 9468
167542 [질문] 아고다 유령결제 조치를 어떻게 해야하나요?? [3] 몸쪽꽉찬물직구11460 22/11/30 11460
167541 [질문] 웨딩사진 보정업체 써보신분 계신가요? [10] 더치커피8925 22/11/30 8925
167540 [질문] 반려동물(강아지) 키우시는 분 질문입니다. [11] 황제의마린9564 22/11/30 9564
167539 [질문] 중고 채굴 그래픽 카드 사용중이거나 사용하셨던 분 계신가요? [8] sereno9831 22/11/29 9831
167538 [질문] 10만원 이하 무선 헤드폰을 찾습니다 [13] 김보노12492 22/11/29 12492
167537 [질문] 접이식 침대나 매트리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8] 행복을 찾아서8614 22/11/29 8614
167536 [질문] 대전 전세 관련 질문 [5] 한국에어비앤비7815 22/11/29 7815
167534 [질문] 이성은 선수 옛날 인터뷰 찾습니다 [2] SaiNT9680 22/11/29 9680
167533 [질문] 서해안쪽 1박2일로 여행한다하면 추천해주실 곳 있으신가요? [9] 미생8376 22/11/29 8376
167532 [질문] 제주도 겨울여행 질문합니다. [8] 보아남편7704 22/11/29 7704
167531 [질문] 보통 잡플래닛 리뷰에 대부분 안 좋은 글이 달리면 [8] 애플댄스10544 22/11/29 10544
167530 [질문] 사무용 컴퓨터 조립 하려고 하는데요. [3] 두지모10132 22/11/29 10132
167529 [질문] 와이프가 거의 2일에 한번꼴로 식사 후엔 구토를 하는데요.. [21] LG의심장박용택13382 22/11/29 13382
167528 [질문] 화물연대 파업의 정당성 [15] 톨기스10644 22/11/29 10644
167527 [질문] 카톡 답장 기능 질문 있습니다 [2] 시무룩9159 22/11/29 9159
167526 [질문] 유머러스하게 글쓰는 작가 추천 부탁드려요 [16] 샐러드9583 22/11/29 958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