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11/21 22:12:25
Name 고무고무냥냥펀치
Subject [질문] 뻔한 질문인지만 직장생활 힘들때 어떻게 이겨내시나요..?
이제 나이 마흔을 바라보는 30대 후반입니다. 요즘처럼 회사가 힘든적이 없네요..

저의 내적 친밀감으로는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하는 피지알 형동생들에게 하소연 한번 해봅니다

그동안 힘든 사람 힘든 업무 열심히 이겨내면서 10년동안 사회생활을 해왔는데

올해 새로운 부서로 오면서 힘든 업무와 사람을 동시에 만나서 그런가 자존감이 떨어지고

제가 업무에 잘 적응도 못하는것 같다는 생각도 계속 드네요.. 부서장한테 한 소리 듣는게

일상이 되다보니 한귀로 듣고 흘리려고 해도 많이 지치고 그럽니다. 거기다 오늘 회사다니면서 손에 꼽을 정도로

큰 실수를 하나 한것 같아서 내일 이걸 보고를 해야 하는데 진짜 마음이 무겁네요 ㅠㅠ

다들 직장생활 어떠신가요?? 이렇게 힘들때 어떻게 이겨내시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페로몬아돌
22/11/21 22:28
수정 아이콘
사실 방법이 없죠. 에잇 몰라 배째 하면서 다니는게 멘탈이 좋습니다. 짤리면 짤리는거지 마인드로요,
그리고 새로운 부서에 와서 완벽한 1인분 전까지는 어쩔 수 없이 멘탈이 갈리는 건 어쩔수 없더라구요. 그때까지는 어케든 버터야죠.
암벽왕
22/11/21 22:50
수정 아이콘
힘내세요.... 저는 글쓴분만큼 힘든 상황은 아닌 것 같지만... 회사에서 많이 좋아하고 아끼던 사람에게 뒷통수를 쎄게 한대 맞아서 멘탈이 많이 나가 있네요. 8년 정도 회사생활하면서 삽질도 많이 하고 답답한 적도 많았는데 오늘같이 눈물이 찔끔했던 적은 없었네요...

진짜 많이 힘들고 회사에서 그사람 얼굴도 보기 싫을 것 같은데 뭐 어떡합니까...그냥 시간 지나면 괜찮아지겠지 생각할 뿐이죠ㅠㅠ 조금만 더 버텨보시죠
타츠야
22/11/22 01:16
수정 아이콘
1. 인생을 반추하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좋습니다. 내 인생의 꿈이 뭐였는지, 얼마만큼 이뤘는지, 그걸 위해서 앞으로 뭐가 더 해야할지.
이를 통해서 반성을 하는게 목적이 아니라 새로운 목표를 세워보는 것이죠. 이직이 될지, 어학 공부가 될지, 연애가 될지, 건강이 될지 모르겠지만 목표가 없으면 삶의 스트레스를 견뎌내는 힘이 약해지는 것 같습니다.

2. 1번과 반대인데 본인이 너무 매진해서 번아웃이 온 것 같다면 무지성으로 쉬는게 좋습니다. 퇴근 후에, 목표를 위해서 뭔가 꾸준히 해왔다면 우선 다 중단하고 그냥 쉬는겁니다. 먹는걸로 쉬든, 게임으로 쉬든, 애니로 쉬든, 여행으로 쉬든. 에너지가 바닥이라 다시 채울 시간을 갖는 겁니다..

3. 삶에 긍정적인 컨텐츠 소비하기. 사는게 쉬운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겁니다. 인생에 슬픈 일, 화나는 일, 좌절하는 일 등 힘든 일이 항상 파도처럼 왔다갔다 하는데 이럴 때, 부정적인 컨텐츠를 접하면 더 우울해지죠. 그래서 저는 굳이 슬프거나 새드 엔딩의 책이나 영화 등도 피합니다. 안 그래도 힘든 데, 굳이 그걸 더 봐야 더 힘들기만 해서.

4. 3번에도 불구하고 너무 힘들 때는 누군가 믿을 만한 사람 만나서 펑펑 우는게 도움될 수 있습니다. 한번 배출을 하고 나면 개운하고 후련해지기도 하죠.
별빛다넬
22/11/22 08:16
수정 아이콘
나와 맞지 않는 업무와 사람이 있는겁니다.
여차하면 퇴사도 가능하다 생각하시고, 마지막이라 생각하고 할말 하면서 일하세요.
마음안에 응어리 갖고 살면, 우울증도 올수 있어요.
그럴수도있어
22/11/22 10:19
수정 아이콘
저는 제 능력의 한계를 빨리 인정하는 편입니다.
감당 못할 일에 대해서는 최대한 빨리 못한다고 얘기합니다. 그게 제 실력이고 그만큼 보상받는게 마음이 편합니다.
그러다 보니 제가 통제할 수 없는 일에 대한 고민이 줄어든 것 같습니다.
먼산바라기
22/11/22 12:56
수정 아이콘
1. 술을 먹습니다.
2. 욕을 합니다.
3. 다 털고 잊으려고 노력합니다.
4. 회사생활과 사생활을 분리하려고 노력합니다.
5. 이중인격이 됩니다. Period!
마그네틱코디놀이
22/11/22 16:23
수정 아이콘
면담 부서이동 이직 등등 아니면 버티는거도 방법
리얼월드
22/11/22 16:44
수정 아이콘
(능력이 있다는 전제하에) 버티고 버티다보면 최고의 자리에 올라가서 복수하는 날이 올 수도 있습니다.
카즈하
22/11/22 22:13
수정 아이콘
저랑 연배도 상황도 비슷하시네요..

진짜 이제 130일 넘은 딸 아니었으면 진작에 때려치웠을텐데...

이직할려고 알아보는중인데 쉽지 않습니다 ㅠㅠㅠㅠㅠㅠ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7454 [질문] 차량에 녹이 발생했는데 방청작업을 해야할까요? [1] 개미8084 22/11/24 8084
167453 [질문] 전세/월세집도 주택화재 보험들 가입하시나요? [4] LG의심장박용택11488 22/11/24 11488
167452 [질문] [위스키 질문입니다] 발베니 맛있나요? [23] 평온한 냐옹이11040 22/11/24 11040
167451 [질문] MSI 메인보드 업데이드 선택 [2] Jedi Woon8064 22/11/24 8064
167450 [질문] [컴퓨터 모니터] dp포트 사용 간헐적 깜빡임 현상 발생 [10] sereno14296 22/11/24 14296
167449 [질문] 성병이 옮기는 과정이 궁금합니다 [5] 옥동이10631 22/11/23 10631
167448 [질문] 패딩 구스다운 덕다운 차이가 많이날까요? [8] 유유할때유13281 22/11/23 13281
167447 [질문] 7살 아이 게임 질문입니다 [36] 11265 22/11/23 11265
167445 [질문] - [8] 실버벨8488 22/11/23 8488
167444 [질문] 월세 전대차 계약 관련 질문입니다. [4] AW8160 22/11/23 8160
167443 [질문] 임차인에게 계약 해지 의사를 밝히는 시기가 언제가 좋을까요? [6] 행복을 찾아서8200 22/11/23 8200
167442 [질문] 인간의 진화는 사실상 멈춘 것이 아닐까요? [42] amalur11332 22/11/23 11332
167441 [질문] 새(bird) 질문 [3] 테크노마트남친8247 22/11/23 8247
167440 [질문] 구글 애드? 관련 [14] 리얼월드8248 22/11/23 8248
167439 [질문] 영상편집용 PC 확인 부탁드립니다. [22] 크음8736 22/11/23 8736
167438 [질문] 이번 월드컵 규칙에 왜 선수들이 적응안된듯한 모습을 보일까요 [21] 크로플12628 22/11/23 12628
167437 [질문]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좀 추천해주세요 [3] 앙몬드8846 22/11/23 8846
167436 [질문] 이번 월드컵 우리나라 첫골은 누가 넣을까요? [15] 뇸냠찌왑쭈압쫩짭8179 22/11/23 8179
167435 [질문] 발 사이즈 290mm 이상인 사람이 그렇게 적은걸까요? [62] 시무룩11406 22/11/23 11406
167434 [질문] 핸드폰 잘 아시는 분들의 도움 부탁 드립니다. [7] 얼우고싶다14434 22/11/23 14434
167433 [질문] Voundy의 도쿄플래시 같은 곡을 찾습니다 [4] 도토리형9943 22/11/23 9943
167432 [질문] 야구 노진혁 선수 어떤가요? [17] 세인트8739 22/11/23 8739
167431 [질문] 가상 PC하고 컴터 Spec이 상관 관계가... [8] KOS-MOS7705 22/11/23 770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