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11/21 11:08:19
Name 레너블
Subject [질문] 적금 관련 질문이있습니다.
한달에 100만원 아래로
적금 하나 들으려고하는데
제가 주로 쓰는 은행 적금들을 살펴보니
보통 4% 5%던데...

우연히 제가 쓰는 은행중에 10%짜리 적금을 발견했거든요..
그래서 왜캐높지?하고 알아봤는데

이 상품에 대해서 이런 댓글이있어서요.

지금 예금이 8프로까지 나온시점에서
적금 10프로는 이제 넘는다는건데 굳이 70까지 출자름 넣어서 배당금도 얼마없고 메리트 없다고 봅니다.

제가 이런쪽으론 잘 몰라서 그런데 무슨말인가요?
그래도 지금 4~5%가 대부분이던데 10%짜리면 더 좋은거 아닌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술사
22/11/21 11:10
수정 아이콘
레너블님이 지금 당장 목돈이 있으시면 예금에 넣는게 낫고
월별로 돈이 들어올 예정이라면 적금이 낫습니다.

저 이야기는 목돈이 있는경우, 굳이 적금으로 나눠넣는것보다 예금이 낫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위 적금은 평범한 적금이 아니고 출자?형식의 적금인것같은데 그건 세부확인이 필요해보입니다.
레너블
22/11/21 11:1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되십쇼.
타카이
22/11/21 11:12
수정 아이콘
적금과 예금을 비교할 때는 보통 이자율 2배로 봅니다
예금리가 8퍼면 적금은 16퍼 상품과 또이또이한 것으로 봅니다
StayAway
22/11/21 11:25
수정 아이콘
조합에 최소 출자를 해야되는거 같은데..
큰 돈 넣을거 아니면 메리트가 없다는거겠죠. 문제는 저런 종류의 상품은 대부분 상한이 있거든요.
예를 들면 50만원 출자를 해야되는데 정기예금 상한이 천만원이다 그러면
어차피 돈 50만원 묶이는거 생각하면 이자 몇 프로는 큰 메리트가 없다는거죠.
저런 종류의 출자금은 돌려받는데 큰 문제는 없지만
1년 중 정해진 기간이 아니면 중간인출이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당조합의 조합장 선거에 참여할수 있다거나
액수에 따라서 명절에 선물이 날아온다거나 소정의 배당금이 나오기도 하는데
대부분의 경우 의미있는 메리트는 아닙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7438 [질문] 이번 월드컵 규칙에 왜 선수들이 적응안된듯한 모습을 보일까요 [21] 크로플12642 22/11/23 12642
167437 [질문]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좀 추천해주세요 [3] 앙몬드8855 22/11/23 8855
167436 [질문] 이번 월드컵 우리나라 첫골은 누가 넣을까요? [15] 뇸냠찌왑쭈압쫩짭8190 22/11/23 8190
167435 [질문] 발 사이즈 290mm 이상인 사람이 그렇게 적은걸까요? [62] 시무룩11416 22/11/23 11416
167434 [질문] 핸드폰 잘 아시는 분들의 도움 부탁 드립니다. [7] 얼우고싶다14447 22/11/23 14447
167433 [질문] Voundy의 도쿄플래시 같은 곡을 찾습니다 [4] 도토리형9951 22/11/23 9951
167432 [질문] 야구 노진혁 선수 어떤가요? [17] 세인트8753 22/11/23 8753
167431 [질문] 가상 PC하고 컴터 Spec이 상관 관계가... [8] KOS-MOS7714 22/11/23 7714
167430 [질문] 르세라핌 김채원랑 우정잉 비제이 닮지 않았나요? [33] 무한도전의삶14057 22/11/23 14057
167429 [질문] 이어폰 매니아분들께 질문드립니다... [2] 인민 프로듀서8243 22/11/23 8243
167428 [질문] 지메일 용량이 꽉 찼는데 아웃룩 쓰면 해결이 될까요? [8] 앗흥11020 22/11/23 11020
167427 [질문] 컴퓨터 업그레이드를 했는데 타스점수가 떨어졌습니다. [8] 탄야12388 22/11/23 12388
167426 [질문] 택배가 너무 안와서 문의글을 남겼더니 물건을 잃어버렸다는데요. [3] 레너블7045 22/11/23 7045
167425 [질문] 요즘 이직시 이력서 작성사항 질문입니다. [6] HamaHama9613 22/11/23 9613
167424 [질문] 아주 오래된 컴퓨터에 2060s 장착불가능 한가요? [3] 스터너7780 22/11/23 7780
167422 [질문] 축구 오프사이드 왜 필요한가요? [32] 12846 22/11/22 12846
167421 [질문] 사람 사는 일상물 만화 추천 좀 해주세요. [14] 렌야8309 22/11/22 8309
167420 [질문] 이전처럼 친구랑 위닝을 할 수 없는 걸까요? [4] kafka10464 22/11/22 10464
167419 [질문] 작년에 주식시작한 사람들 대부분이 마이너스 몇십프로 이상 손해본 경우가 많나요? [27] 보리야밥먹자12726 22/11/22 12726
167418 [질문] 코로나 격리 해제 다음날 병원 가도 괜찮나요? [6] 포도사과9220 22/11/22 9220
167417 [질문] 코로나 확진 후 뒤늦게 증상오신 경우 있나요? [4] 기다리다12844 22/11/22 12844
167416 [질문] 주식무료종목, 급등종목 관련 전화나 문자 그만오게 하는 방법 [6] 애플댄스8601 22/11/22 8601
167415 [질문] 상속 관련 재무상담을 어디서 받아야할까요? [7] Hans Landa10380 22/11/22 1038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