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11/17 08:54:08
Name 오렌지망고
Subject [질문] 코로나 4차 백신 접종 하실 생각이신가요?
올해 1월에 3차까지 맞았고 4월에 한번 확진되었습니다.

요즘 일반인 4차접종도 예약을 받고 있던데 접종을 받을지 말지 고민이네요.

3차까지 맞으면서 백신 부작용은 당일날 조금 열나고 으슬으슬한거 말고는 딱히 거부감은

없는데 4차 접종의 리스크 대비 효용이 괜찮을까요? 주변에선 다들 "굳이?" 반응이 많아서 고민이 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Fabio Vieira
22/11/17 08:57
수정 아이콘
얀센+모더나 조합인데.. 저는 맞을까 하는데 와이프는 굳이 맞아야 하냐고 그래서 고민중 입니다.. 크크.. 백신에 대한 큰 거부반응도 없고 백신 맞으면 휴가도 주니까 좋을거 같긴 한데... 그래도 맞는게 좋지 않을까 생각중 입니다.
리얼월드
22/11/17 08:58
수정 아이콘
코로나 이제 끝물인데..
전혀 생각 없습니다...
썰렁쇠
22/11/17 09:00
수정 아이콘
공짜라서 맞았습니다.
22/11/17 09:06
수정 아이콘
맞고 싶은데 아직 대상이 아니네요.
긴 하루의 끝에서
22/11/17 16:18
수정 아이콘
접종 간격 때문이 아니라면 대상은 무조건 되실 거예요.

○ 동절기 추가접종
- 접종대상
· 기초접종(1,2차)를 완료한 18세 이상 성인
*3,4차 접종 완료자도 접종 대상

- 접종간격
· 마지막 접종일 기준 4개월(120일) 이후
* 확진이력이 있는 경우 마지막 접종일과 마지막 확진일 중 더 늦은 시점으로부터 4개월(120일) 이후 접종 권장
22/11/17 17:48
수정 아이콘
엇, 어제 질병관리청 안내페이지 들어가 봤을 때는 연령제한이 있는 거 같았는데 제가 페이지를 잘못 찾아들어간 모양입니다.
8월 말 확진 이력이 있으니 120일 지나고 맞아야겠네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긴 하루의 끝에서
22/11/17 18:09
수정 아이콘
(수정됨) 4차 접종은 연령 제한이 있는 게 맞는데 아마도 이거 보신 거 아닌가 싶네요. 아래 댓글에도 달았듯 동절기 접종과 3/4차 접종이 서로 다른 개념이라서 개량 백신 접종이라면 동절기 접종 기준으로 보시면 됩니다.

○ 3, 4차 접종 예약 : mRNA(화이지, 모더나) 2가백신으로 동절기 추가접종을 우선 실시하며, 예외적으로 본인이 원하는 경우에만 3,4차 접종 실시
- 3차접종대상자 : 12세 이상
- 4차접종대상자: 50세 이상(1972.12.31. 이전 출생자), 18세 이상 면역저하자 및 기저질환자*
* 기저질환 및 면역저하질환 범위
22/11/17 09:08
수정 아이콘
저도 3차까지 맞고 이후 확진 한번 됐었는데 어제 접종하고 왔습니다. 여태 백신 후유증도 없었고 12월에 또 유행할 거라 해서 코로나 걸리는 것보단 (혹은 걸려서 많이 아픈 것보단) 접종하는 게 나을 거 같아서요. 주변 친구들은 후유증때문에 안 맞는다고 하더라구요.
22/11/17 09:08
수정 아이콘
다음 주 화이자 대상 되는데 맞을 생각입니다
리얼포스
22/11/17 09:09
수정 아이콘
12월에 다시 유행 옵니다. 지금 환자 한창 늘고 있어요.
독감예방접종 하는 거랑 비슷한 느낌으로 맞으면 됩니다.
저는 내일 예약해놨네요.
타카이
22/11/17 09:16
수정 아이콘
12월 다시 유행이 아니라 이미 7차 유행이라고 공식화된 상황이죠...
다이어트
22/11/17 09:17
수정 아이콘
하루라도 쉬고 싶어서 맞을듯 ㅠ
유료도로당
22/11/17 09:2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코로나 끝물이 아니라 새 유행이 다시 시작되고있죠... 나이에 따라 다른데, 고령층일수록 무조건 맞는게 이득입니다. 20-30대는 접종의 이득이 크지 않아서(코로나 치명률이 매우 낮으므로) 필수까진 아니지만 굳이 마다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부모님 예약해드렸고 저도 같이 맞으면 좋을것같아서 화이자 BA.5로 예약했습니다. 독감 백신은 돈내고도 맞는데, 더군다나 공짜인 코로나백신 피할 필요는 없겠죠.
로즈엘
22/11/17 09:22
수정 아이콘
웬만하면 맞으려고 합니다.
굳이 안 맞을 이유가 없다고 생각해서.
이쥴레이
22/11/17 09:23
수정 아이콘
얀센 + 화이자로 맞았던거 같은데.. 맞을수 있으면 맞을려고 합니다.

주위에서 가족들 회사 사람들 거의 대부분 코로나 한번씩 걸렸는데 저는 아직... 안걸렸네요
22/11/17 09:23
수정 아이콘
화이자 3차 까지 맞고 확진도 되었는데 이 정도면 해외 나가는데 지장도 없어서 굳이 맞아야 하나 생각하고 있긴 합니다. 지켜보려구요.
페로몬아돌
22/11/17 09:31
수정 아이콘
금요일에 맞습니다. 화이자 4/5
독감도 맞았는데 이걸 안 맞을 이유가 크크크
소녀시대
22/11/17 09:33
수정 아이콘
얀센 모더나 맞았는데 이제 안맞으려구요
원래 독감주사도 안맞고 살아왔는데 감기 걸린지 10년은 넘은거 같고 코로나도 걸린적 없습니다
22/11/17 09:39
수정 아이콘
부작용이 있었어서 굳이 안맞으려고 합니다.
비오는풍경
22/11/17 09:39
수정 아이콘
비용도 안 들고 휴가도 나와서 맞으려구요
그럴수도있어
22/11/17 09:55
수정 아이콘
저도 맞을려고 합니다.
스토리북
22/11/17 10:15
수정 아이콘
예약했습니다.
손금불산입
22/11/17 10:17
수정 아이콘
여왕의심복님이 유행 온다고 했던거 그대로 들어맞는거 보고 맞아야겠다 생각 중이네요
22/11/17 10:18
수정 아이콘
저도 맞았습니다. 저는 지난 얀센, 모더나, 코로나 확진 모두 무증상이었고 이번 화이자 4/5도 무증상이네요.
22/11/17 10:24
수정 아이콘
화이자만 맞아봤는데 큰 부작용이 없어서 맞을 생각입니다.
22/11/17 10:25
수정 아이콘
얀센 모더나 맞았는데 화이자 맞고 올콜렉 생각중입니다
cruithne
22/11/17 10:30
수정 아이콘
바로 예약 했었는데 확진 4개월 안지나서 까였어요. 기간 되면 바로 맞을 생각입니다.
서낙도
22/11/17 10:43
수정 아이콘
회사 하루 쉴려고 맞았습니다.
별지기
22/11/17 11:33
수정 아이콘
잔여 백신으로 이미 맞았습니다.
22/11/17 11:40
수정 아이콘
안 맞는다 - 선택
맞는데 좀 덜 아프고 싶다 - 노바백스 잔여백신
개량백신 맞고 싶다 - BA.2 보다는 BA.5 개량백신이 낫습니다. 현재 유행 시작한 변이 중 일부에 있어 오리지널 백신보다는 그래도 효과 좋다는 실험실 단계 결과가 나오고 있습니다.

물론 이건 우리들 얘기입니다. 고연령층은 여전히 접종하는게 이익이에요.
22/11/17 12:37
수정 아이콘
3번 맞았는데 굳이...? 싶습니다.
해외출입국에 이상 없다면 안 맞을 거 같아요.
HA클러스터
22/11/17 12:40
수정 아이콘
앞으로 맞으실 분은 가능한 한 화이자 4/5로 맞으세요.
지금 BA.5가 우점종인 것도 있고 지금 미국 등에서 대량 확산중인 BQ.1도 BA.5에서 파생된 변종이라 BA.5 백신이 가장 효과가 좋습니다.
PolarBear
22/11/17 13:38
수정 아이콘
맞고싶은데 회사에서 안쉬게해줄것같아요
22/11/17 14:32
수정 아이콘
왠만하면 안맞지 않을까 싶습니다.
Blooming
22/11/17 15:08
수정 아이콘
3차까지는 맞았는데, 맞을때마다 몸이 아파서 필수가 아니면 안 맞을 생각입니다.
하종화
22/11/17 15:51
수정 아이콘
3차까지는 맞았는데 지금은 좀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의무사항이 아니기도 하고 사람 많은 곳을 잘 가는 성격도 아니어서, 어딘가에 꼭 가야 할 때 필수가 아니라면 굳이 맞아야 될까 라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정예인
22/11/17 15:56
수정 아이콘
(수정됨) 3모더나인데 고민중입니다. 저 모르게 확진되서 지나갔을지도라고 생각하니 맞아야하나 싶어서요. 6식구에 애들 어린이집 나가고;; 가족왕래도 정말 많은편인데 주변에 아무도 코로나 안걸리고 지금까지 버틴게 정말 모른채 지나갔나싶고요…그럼 굳이 백신을 또 맞아야하나 싶다가, 다음달이 1년째라 이쯤해서 백신을 다시 맞아야하는거 아닌가 갈팡질팡합니다. 어르신들은 다맞으셨어요.
긴 하루의 끝에서
22/11/17 16:10
수정 아이콘
독감 접종처럼 정기적으로 맞아야만 하는 백신이라는 의미에서 이번 개량 백신 접종부터는 더 이상 차수를 붙여 지칭하지 않는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이번 개량 백신 접종은 동절기 접종이라고 부르고, 기존 접종을 추가적으로 맞는 것에 한해 3/4차 접종이라고 한답니다. 그리고 이제는 개량 백신이 보편화됨에 따라 기존 백신은 백신 미접종자를 대상으로 1/2차 접종 시에만 사용하는 것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사실상 3/4차 접종은 사라진 셈이나 마찬가지이고요.

얀센으로 1/2차, 모더나로 3차 접종을 하였고, 이번에 화이자 BA.4/5로 동절기 접종을 마쳤는데 코로나 백신 접종 경험이 있어서 그런지 아니면 개량 백신이 상대적으로 약한 오미크론 변이 기반이라서 그런지 몰라도 이번 동절기 접종의 경우 개인적으로는 이상 반응이 거의 없었다고 할 정도로 매우 경미한 수준에 그치며 가장 가볍게 넘겼네요. 참고로 기존에 얀센, 모더나 접종 시에는 아주 심한 정도는 아니어도 그래도 확연히 아프다 할 정도의 증상을 3~4일 가량 공통적으로 겪었고, 증상도 몸살로서 거의 동일했습니다.

그 누가 되었든 기존에 백신 접종 시에 심각한 이상 증상이 있었던 게 아니라면 접종 계속해서 가능한 새로 받는 게 개인적으로는 좋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3차 접종 이후 근 1년만의 코로나 백신 접종이었는데 병원 돌아가는 걸 보아하니 확실히 예전보다 사람들이 많이 안 맞는 것 같긴 하더군요.
마인드머슬커넥션
22/11/17 16:18
수정 아이콘
휴가주면요
앙겔루스 노부스
22/11/17 19:28
수정 아이콘
Ba5 놔준다고도 하고 갠적으로 난 절대 코로스 안 걸릴거야, 라고 맘먹기도 한지라, 다음주에 맞습니다.
22/11/17 19:28
수정 아이콘
오 모르고 있었는데 맞아야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7339 [질문] 신용카드 질문드립니다 [4] 쓸때없이힘만듬6627 22/11/19 6627
167338 [질문] 혹시 부부가 같이 할 만한 실내스포츠가 뭐가 있을까요?? [21] 이시스10515 22/11/19 10515
167337 [질문] 프리코네나 카사같은 수집형 모바일 게임 추천부탁드립니다~ [3] 히스조커9825 22/11/19 9825
167336 [질문] 영국시험에서 미국식 스펠링 쓰면 [5] 우자매순대국11692 22/11/19 11692
167334 [질문] 일산, 김포 쪽 맛집 추천 부탁 드립니다. [6] 원스7567 22/11/19 7567
167333 [질문] 윈도11 그래픽설정-앱에대한옵션사용자지정 기능 질문드립니다. [1] 스핔스핔8507 22/11/19 8507
167332 [질문] amd 메인보드 b550m 및 450m 에 대해서.... [2] 고도칸황8332 22/11/18 8332
167331 [질문] 예전 오락실 격투게임 정식?으로 하는 방법 [8] 승승장구9391 22/11/18 9391
167330 [질문] 예전 본인이 썼다가 삭제한 글을 복구하는? [1] EY8542 22/11/18 8542
167329 [질문] 지마켓에서 시키지도 않은 물건이 왔습니다..무슨 경우일까요..(해결됐습니다...ㅠ) [16] 오렌지 태양 아래11924 22/11/18 11924
167328 [질문] 영어해석좀 부탁드립니다.(영어단어 및 문장) [2] 불독맨션7978 22/11/18 7978
167327 [질문] 은행 사이트 키보드 보안이라는 거 필요한 부분인가요? [9] 애플댄스7955 22/11/18 7955
167326 [질문] 엑셀) 동일이름이 여러번나올때 다른 열에 1번만 나오게 하는법 있나요? [4] will9052 22/11/18 9052
167325 [질문] 문명6 드디어 시작하는데 튜토리얼 필수인가요? [15] 제드13393 22/11/18 13393
167324 [질문] 혼술 안주 추천해주세요 [37] Sebastian Vettel13301 22/11/18 13301
167323 [질문] 외장하드 복사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1] 카페알파7538 22/11/18 7538
167322 [질문] 유게에 있던 VR 발전(?) 글 어디갔나요? [6] 인민 프로듀서9685 22/11/18 9685
167321 [질문] v3 백신 삭제가 안됩니다. [7] 김승남8111 22/11/18 8111
167320 [질문] 어디까지가 주식투자인지 궁금합니다. [21] 인생은아름다워9113 22/11/18 9113
167317 [질문] 소음이 적고 청소하기 편한 키보드 혹시 있을까요? [9] 보로미어10549 22/11/18 10549
167316 [질문] 아이폰 화면회전 질문 [6] 태연­9342 22/11/17 9342
167314 [질문] 갤럭시탭 S8 Ultra를 구매하려고 합니다. (구매방법 질문) [8] 카키스8233 22/11/17 8233
167312 [질문] 유게에 결혼식으로 장사하기 무슨글이죠? [10] 나른한오후11312 22/11/17 1131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