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11/11 19:00:14
Name 모나크모나크
Subject [질문] 무거운 물건을 들기 위해서는 어떤 운동을 해야 될까요? (수정됨)
운동에 젬병인 모나크모나크입니다.

최근에 30kg 약간 넘는 물건을 들어 옮길 일이 있었는데 잘 못 들겠더라고요. (이거 심각한 것 아닌가요 ㅠ.ㅠ)
간신히 들어서 허벅지에 올려 낑낑 대면서 몇미터 움직이고 일단 올려두긴 했는데..
허리도 잠시 뻐근한게.. 한 가정의 가장이 이래서 되겠나 생각이 들어서 운동을 좀 해보려고 합니다.

40대 남자고 운동 정말 싫어해서 제대로 해본 운동은 거의 없습니다.
인터넷에 나오는 전형적인 40대 남성 올챙이배 체형입니다.

헬스장 갈 시간은 없고 집에 간단한 기구 정도는 사둘 공간은 있어서 집에서 해볼까 하는데요.
목표는 40kg 영차 번쩍들어 10m 옮기기입니다. 뭘 해야 될까요? 팔굽혀펴기 이런걸로 안 될 것 같아서요...
팔도 팔이고 허리 힘도 있어야 할듯해요..

감사합니다 ㅠ.ㅠ

ps. 최근에 하루 30분 정도는 유튜브 틀어두고 맨손체조(근력향상과는 무관..) 정도 하고 있습니다. 몸이 덜 뻐근하더라고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11/11 19:05
수정 아이콘
맨몸으로 기초체력 운동 하시려면 (거의)모든곳 3대 체력검정 종목(팔굽혀펴기, 윗몸일으키기, 오래달리기)
하시면 되지 않을까요? 흐흐
여기에 등운동(철봉)까지 하면 더 좋을거 같구요
모나크모나크
22/11/12 19:40
수정 아이콘
일단 팔굽혀펴기부터 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22/11/11 19:24
수정 아이콘
(수정됨) 40대까지 운동을 안 하셨다면 아마 철봉은 안되실 듯합니다.
철봉은 체중과 근력이 영향이 커서...
그냥 팔굽혀펴기는 되시나요?
가능하시다면 실패 지점까지 개수를 늘리는 걸 목표로 하시고요.
불가능하시다면 무릎 꿇고 팔굽혀펴기로 시작하셔서
우선 근력 강화를 목표로 하시는 게 좋을듯합니다.
허릿심 같은 코어 근육 강화에는 플랭크,
하체는 스쾃과 런지를 추가하시면 됩니다.
전부 실패 지점까지 하시는 걸 목표로 하시고
간단한 달리기를 더 하시는 게
집에서 할 수 있는 기초 체력 증가의 정석이 아닐까 싶네요.
모나크모나크
22/11/12 19:44
수정 아이콘
철봉은 점프해서 한 번 올라가면 서너번은 할수있는데;;; 인터넷에서 하듯이 서서 쭉 올라가는건 아무리해봐도 안되더라구요. 어떻게 해야 올라가는지 감이 안오더라구요.

팔굽혀펴기는 할 수는 있을 것 같습니다. 스쿼트 플랭크까지 해볼게요. 감사합니다.
똥진국
22/11/11 19:24
수정 아이콘
윗분 말대로 기초운동에 코어근육 운동하시고 하체 강화하시고 전반적으로 다하셔야 합니다
기본적인 근력은 좋으신거 같은데 건강을 위해서 운동하시길 권합니다
지금처럼 몸 건강 안챙기면 님 늙어서 님 쓰러지면 가족들 정말 죽어납니다
아니 10년 안에 비극이 발생할수도 있습니다
물건 옮기는 운동이 필요한게 아니라 님 건강을 위해서 가족을 위해서 운동을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물건드는건 근력외에 요령이 필요합니다
용달차 아저씨가 40킬로 정도 되는 물건 옮기는데 그 아저씨는 마른편이었습니다
하지만 어찌저찌 어렵지 않게 옮기시더라고요
비결을 물어보니까 저보고 그러더군요
이건 힘으로만 하는거 아니다
1년 정도 나랑 돌아다니면서 물건 옮기는거 익히면 도사가 될거라고...
모나크모나크
22/11/12 19:47
수정 아이콘
글게요 ㅜㅡㅠ 비명횡사할것같아서 맨손체조하고있습니다 좀 더 추가해봐야겠어요 ㅠ 감사합니다. 근력은 엉망입니다ㅠ
하종화
22/11/11 20:46
수정 아이콘
건강을 위해서 운동하시는거라면 윗분들 말씀대로 하시는게 좋을 거 같구요.
단순히 물건만 옮기기 위해서라면 어느정도 근력을 키우신 다음에 다음 영상을 참고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https://youtu.be/VeCovUY2K58 1분 30초 가량의 영상인데 30초쯤부터 보시면 됩니다.
모나크모나크
22/11/11 21:34
수정 아이콘
헉... 제가 저렇게 들었는데 허리다칠뻔했네요... 감사합니다.
항정살
22/11/11 21:35
수정 아이콘
데드리프트요.
모나크모나크
22/11/12 19:48
수정 아이콘
이건 역기같은게 있어야되는것 같은데 집에서 할 수는 없을까요??
리얼월드
22/11/11 21:58
수정 아이콘
물건 드는거랑 힘 좋은거랑음 별개이긴 합니다....만
헬스 좀 하니 상대적으로 쉬워지긴 하더군요
근데 못가신다면.... 음.....
모나크모나크
22/11/12 19:49
수정 아이콘
애들이 어려서 운동하러나가기가 좀 미안해서... 아침에 잠깐해보려구요. 감사합니다.
타츠야
22/11/11 22:13
수정 아이콘
팔굽혀펴기 정말 좋은 운동입니다. 전신운동에 가깝고 근육도 키워주고 코어도 키워주고.
거기에 스쿼트 추가하면 하체는 커버되고.
추가로 덤벨 사서 이 3가지를 꾸준히 하시면 됩니다. 이것들만 해도 40kg는 1년 후에 충분히 됩니다. (열심히 하시면 그 전에 당연히 되겠지만)
모나크모나크
22/11/12 19:50
수정 아이콘
덤벨을 한다는게 아령을 들으라시는건가요? 일단 팔굽혀펴가부터 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타츠야
22/11/12 22:23
수정 아이콘
정말 하루도 빼먹지 않고 꾸준히 하면 팔굽혀펴기 1세트 20개, 5세트, 세트 간격 1분이 가능해지고 100개 하는데 10분도 안 걸립니다. 시간이 없어도 충분히 할만하죠. 이걸 오전과 오후에 한번씩만 하면 하루에 200개를 하는 셈이고 그렇게 되면 40kg은 거뜬하죠.
이 때 증요한 점은 다치지 않는 겁니다. 다쳐서 쉬면 다시 운동 복귀하기 귀찮아져서. 갯수는 천천히 늘리고 자세 신경 써서 하시면 됩니다.
모나크모나크
22/11/13 00:20
수정 아이콘
넵 감사합니다 배불뚝이 아재 운동한다니 많이 응원해주셔서 몸둘바를 모르겠네요. 열심히 해볼게요. 말씀하신 이백개 목표해보겠습니다
22/11/11 23:02
수정 아이콘
데드리프트죠
모나크모나크
22/11/12 19:51
수정 아이콘
데드리프트가 좋은가보네요. 요건 나중에 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2/11/12 00:26
수정 아이콘
우선 팔굽혀 펴기 하루에 20개라도 당장 시작해보세요

진짜 이거만 해도 완전 사람이 달라집니다. 첨엔 무조건 그냥 하는겁니다

그 다음에 이제 헬스장 가서 데드리프트 배우면 베스트죠
모나크모나크
22/11/12 19:52
수정 아이콘
팔굽혀펴기가 최곤가보네요. 오늘 당장 시작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22/11/12 20:18
수정 아이콘
그냥 하지 마시고 꼭 갯수를 정해서 해보세요

오늘은 팔이 후들릴때까지 최대한 해보고

그럼 오늘 내가 몇개 했나 기록하신다음, 내일부터 잠은 안자도 이건 한다라 하고 딱 규칙을 정하고 일주일만 하면 그때부터 진짜 몸이 확 변하실겁니다
모나크모나크
22/11/13 00:18
수정 아이콘
팔굽혀펴기 간만에했는데 열개 겨우했네요;;; 원래 스무개는 했던것같은데 열심히해보겠습니다
인생은아름다워
22/12/13 22:21
수정 아이콘
팔굽혀펴기는 세트로 나눠서 할 때는 어떤 식으로 하는 게 좋을까요?
지금 저는 하루에 그냥 30개만 하고 끝내는데, 다른 분들 댓글 보니 세트까지 해야 효과가 있는 것 같네요 ㅠㅠ
현재 30개 하고나면 딱 힘들어질랑말랑 정도 입니다!
22/12/13 22:46
수정 아이콘
세트로 나누는 이유는 명확한 갯수를 체크하기 위함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게 초보자는 .. 세트 그런거 상관없이 하는것 자체가 중요하기 때문에

우선 더이상 못한다 최대한 , 팔 후들려서 못하는 갯수를 확인해보시고, 단 정자세로 치팅없이

다섯개를 하더라도 정자세로 딱 내가 몇개 할 수 있는지를 먼저 해보세요 그다음에 가령

내가 맥시멈 10개다, 그럼 첫세트 10개 하고, 딱 타이머로 2분쉬고 , 가능하다면 5개 하고 , 2분쉬고 4개나 3개하고, 이렇게 해서 셋트를 완성하는게 이상적이라고 들었습니다.

정답은 없죠 예체능에 정답이 어딨겠습니까 크크.

정말 중요한건 세트 중간에 휴식시간을 딱 정해놓고 하는거라고 하더라고요
인생은아름다워
22/12/13 23:12
수정 아이콘
자세한 조언 감사드립니다! 저도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22/11/12 00:58
수정 아이콘
운동 초보중의 초보시니까 데드리프트는 권하지 않습니다.(PT 받으실꺼면 뭐 어차피 여기 댓글은 안중요하구요)

생각보다 어려운 운동입니다. 다치기도 쉽구요.

팔굽혀펴기, 달리기만 열심히 해도 인생사는데 특별히 별 지장 없다고 생각하네요
모나크모나크
22/11/12 19:54
수정 아이콘
넹 그럼 팔굽혀펴기부터 시작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2/11/12 11:22
수정 아이콘
40kg은 운동 할 필요 없이 드는 요령만 익혀도 가능합니다. 배에 힘 빡주고 다리로 들면 됩니다.
팔굽혀펴기, 맨몸 스쿼트 정도만 꾸준 하셔도 큰 도움이 될 것 같네요.
모나크모나크
22/11/12 19:53
수정 아이콘
헐.. 진짠가요 삼십키로 어휴 힘들던데요. 일단 팔굽혀펴기 해보겠습니다.
22/11/12 20:30
수정 아이콘
근데 뭘 드시는 건가요?
같은 30 이라도 자세가 나오는 물건(부피가 적당, 몸에 붙이기 쉬움, 무게 중심이 고정됨)은 쉽고 그 반대는 어렵죠.
모나크모나크
22/11/12 21:44
수정 아이콘
무거운 물건이 든 상자였는데 아주 크고 그런게 아니어서;;; 제가 힘이 없는거죠 ㅠ
LuckyPop
22/11/12 20:56
수정 아이콘
맨몸 스쿼트가 짱입니다 코어가 중요해요
모나크모나크
22/11/12 21:45
수정 아이콘
팔힘보다 코어가 더 중요한걸까요? 팔씨름도그렇고 팔힘이 많이 약하긴하거든요.
한우균일가
22/11/13 01:01
수정 아이콘
박스 같은 물건은 좀 다를텐데 손잡이 달린 물건 잘 올리는 건 케틀벨 운동과 가깝습니다. 케틀벨 운동은 크게 하드스타일과 기르보이 스타일로 나뉘는데 글쓴이 목적을 생각하면 기르보이 스타일이 적합할 것 같습니다. 다만 케틀벨 운동은 특히 운동을 그전에 안 한 사람의 경우 혼자 하면 허리 부상 위험이 큰데 기르보이 스타일은 가르치는 곳이 아주 적어서 현실적인 해답이 될 수는 없을 것 같고 그나마 접근성이 있는 하드스타일이라도 배우면 좋을 것 같습니다.
모나크모나크
22/11/14 09:32
수정 아이콘
투포환처럼 생긴 게 케틀벨이군요. 기구 이용하는 것보다는 일단 팔굽혀펴기 먼저 시작해보려고 합니다. 좀 익숙해지면 케틀벨도 한 번 고려해볼게요. 감사합니다.
사바나
22/11/14 15:07
수정 아이콘
꼭 집에서 하고 싶으신거면
공간이 되면 턱걸이 기구 하나 사서 턱걸이 하는게 제일 좋겠습니다.

큰근육(등) 발달도 되고
사실 저런거 잡을 때 악력도 중요한데 같이 키울 수도 있고
소음도 안나고

옷도 걸 수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7911 [질문] 어떤 자동차가 안전/고급감이 있나요? [4] grrrill7127 22/12/19 7127
167437 [질문]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좀 추천해주세요 [3] 앙몬드7582 22/11/23 7582
167364 [질문] 게이밍 노트북으로 용과같이6 정도 돌리려면 얼마쯤 써야 할까요!? [6] 아이폰12PRO9516 22/11/20 9516
167195 [질문] 무거운 물건을 들기 위해서는 어떤 운동을 해야 될까요? [36] 모나크모나크10162 22/11/11 10162
167084 [질문] 일본 SF/스릴러/미스터리 소설 추천 부탁드립니다. [28] Beyond7592 22/11/07 7592
167015 [질문] 지금 아이폰 사려면 뭘로 살까요? [30] 에바 그린9673 22/11/03 9673
166047 [질문] 며칠전 컴퓨터 관련 질문 올렸는데, 온도 관련하여 다른 질문 드립니다. [15] SEO20158638 22/09/14 8638
166046 [질문] 생산직 종사자분들 따로 운동 하시나요? [4] CoMbI COLa9006 22/09/14 9006
165120 [질문] pgr21 개인화 기능 중에 도저히 구현방법을 알 수 없는 것이 있는데... [6] 단비아빠3506 22/07/28 3506
164874 [질문] pdf 파일에 필기하거나 밑줄긋는 프로그램 있을까요? [3] Right5194 22/07/17 5194
164252 [질문] 열쇠 없이 누구나 여닫을 수 있는 대문개폐기 있을까요? [9] 원해랑5743 22/06/16 5743
163997 [질문] 오래 달리기에 도움이 되는 실내운동 추천을 받습니다 [11] Lord Be Goja4059 22/06/03 4059
163686 [질문] 헬린이가 고수분들을 기다립니다. [17] 먼산바라기4592 22/05/18 4592
163181 [질문] 게임도중 컴퓨터 파워가 계속 나갑니다. [10] 틴오4334 22/04/24 4334
163120 [질문] [모집]디2R 래더오픈일 같이 달리실 분 모집합니다.. [12] 도라곤타이가3273 22/04/20 3273
162832 [질문] 윈도우 2d 총 게임 이름 질문드립니다. [9] WarJoy3197 22/04/06 3197
162771 [질문] 전세금 점유권 관련 질문 [5] 어빈3694 22/04/04 3694
162697 [질문] 엣지에서만 안 열리는 사이트가 있는데 [3] o o2780 22/04/01 2780
162368 [질문] 폰 무거운거 쓰고 팔꿈치가 아플수가 있을까요? [9] 오렌지망고3719 22/03/15 3719
162074 [질문] 게임용 휴대폰 선택 S22 vs 아이폰 12 or 13 중고 [21] 모스티마3655 22/03/02 3655
161993 [질문] 스타1 마우스 추천부탁드립니다 [19] 라니안5713 22/02/26 5713
160357 [질문] 전세보증금 돌려 받지 않았는데 다른 집에 전입신고 해도 되나요? [6] 콩탕망탕7412 21/12/15 7412
159731 [질문] 그 여직원과 어떻게 하면 더 친해질 수 있을까요? [33] 북유럽스웨덴남자10483 21/11/15 1048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