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10/26 14:24:37
Name 난할수있다
Subject [질문] 경제, 주식질문) 미국의 고용시장, 금리인상, 주가하락의 원인의 상관관계
안녕하세요.

요즘 경제에 관심이 많은 사람입니다.

미국주식에 투자하는걸 좋아하는데,
금리인상이 당연히 주가에 좋지 않은 영향이 있는것은 알고 있습니다.

연준이 금리인상 폭, 여부를 결정할때
실업수당 청구건수나 실업률 등등을 보는데

노동시장이 견고하기때문에 연준이 더 자신감있게 금리인상을 할 수 있어서 악재다

라는 논리가 시장에 형성되고 있습니다.

근데 반대로 얘기하면, 그만큼 아직 경기가 괜찮기 때문에, 실업률이
낮고, 노동시장이 탄탄한거라면.. 중장기적으로 봤을때
건전한 국가에 내 자산이 들어가있기 때문에 오히려 더 안심해야하는거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위태위태한 회사/국가에 내 돈이 들어가는것보다, 경지침체가 와도 충분히
회복할 수 있는 기대감이 있는 미국에 자산이 있다는거 자체가 금리인상에 관계없이 좋은 부분이 아닌가 싶어서요.

혹시 제가 모르는게 있을까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부동산부자
22/10/26 14:50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대로 미국이 탄탄하다는 사실이 현재 킹달라현상의 근본원인 아닐까요? 계속 미국주식하셔도 괜찮아 보이는데요.
난할수있다
22/10/26 14:52
수정 아이콘
누구라고는 말 못하지만, 어떤 대학교 경제대학원 교수님은 미국은 앞으로 10년은 투자하지 말고 한국에 투자하라고 하는데.. 이게 무슨 말도 안되는 소리인가 했었습니다. 근데 우선 전 그냥 일개 투자자에 불과하니까 반론할만한 근거도 몰라서.. 여쭙게 되었어요 ㅠㅠ 감사합니다!
덴드로븀
22/10/26 14:55
수정 아이콘
아마 삼전 등 국내 주식에 한참 물렸거나 정부쪽 관련 일을 하다보니 그런식으로 말하는게 아닌가 싶...네요.
10년후에 우리나라 인구가 어떻게 되더라...
꿈트리
22/10/27 14:07
수정 아이콘
2000년대 IT버블 후 미장이 10년간 횡보한 시기가 있긴 합니다.
그 당시 우리나라는 중국꿀 빨면서 올라갔죠.
그런데, 미장은 그렇다하더라도 우리가 꿀빨데가 사라져서 미장이 횡보할수록 더 힘들겁니다.
바부야마
22/10/26 14:53
수정 아이콘
현재 1순위 문제는 인플레이션을 잡는겁니다. 그래서 금리인상을 하고 있어요. 인플레이션을 잡으려면 실업률이 올라가야합니다. 경기둔화나 침체가 어느정도 필요합니다. 하지만 지금 실업률이 견고해서 인플레이션을 못잡고 있습니다. 그래서 금리인상을 더 하려고 있어요. 금리가 올라가면 증시는 하락하게 됩니다.
22/10/26 14:55
수정 아이콘
복합적이긴 한데 해당 부분에 대해서만 얘기하자면 (단기적)악재다 라고 해석 됩니다
무냐고
22/10/26 14:56
수정 아이콘
미국(달러)이 사정 제일 괜찮은게 맞다고 봅니다.
제목이랑 내용은 별로 상관없어 보이긴 하네요.
바부야마
22/10/26 14:58
수정 아이콘
그리고 금리가 상승하면서 강달러 현상이 생겨서 각 나라의 환율이 박살 났습니다. 결국 달러를 팔아서 환율을 방어해야하는데, 달러를 팔기위해 미국채를 팔기 시작합니다. 연준도 미국채를 팔고, 전 세계가 미국채를 팔아서 미국채 금리가 또 상승을 합니다. 채권가격이 하락하면서 채권시장에 패닉이 오고 있습니다. 채권과 주식이 동시에 하락하는 기현상이 발생중이죠. 채권시장의 안정을 위해 금리인상을 덜 할수도 있다는 여론이 형성되었는데, 그럼 또 인플레이션이 문제에요. 그래서 어디 하나가 터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속에 다들 조심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겨울삼각형
22/10/26 18:43
수정 아이콘
실업률이낮고, 노동시장이 탄탄한거라면.. 중장기적으로 봤을때
건전한 국가에 내 자산이 들어가있기 때문에 오히려 더 안심해야하는거 아닐까?

맞죠

[금리만 안올린다면요]


지금은 DJ파월이 금리올릴 구실만 찾고있으니
기존에 긍정적인 시그널도 다 부정적인 해석으로 바뀐것일뿐..
마술사
22/10/26 18:56
수정 아이콘
지금 미국투자하기엔 환율이 문제죠
평소보다 원 기준으로 30%이상 비싸게 사는꼴이니..
몇년후 환율이 1100원대로 돌아오게되면 손해가 막심해질수 있어요
공부맨
22/10/27 13:39
수정 아이콘
글로벌 경기 호황이 오거나 적어도 지금보다 나빠지지 않으면

지금과는 반대로

달러가 약해지고 미국자산 수익율은 상대적으로 떨어질겁니다.

2020년 하반기가 그랬고
2000년~2008년이 그랬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6928 [질문] 혹시 이 부품 이름이나 구할 수 있는 곳 아시는 분 있으실까요? [2] 초탈9716 22/10/30 9716
166927 [질문] 서울에서 일반 사설구급차는 없는건가요? [1] 바람의바람8898 22/10/30 8898
166926 [질문] 필터 들어가는 미니 가습기 쓰시는 분들 계신가요? [2] 오렌지망고10393 22/10/30 10393
166925 [질문] 여호와의 증인 교리에 대해서 잘 하시는분들께 여쭙니다 [16] 쭈니9929 22/10/30 9929
166924 [질문] 증여세 질문입니다. [15] 연휘가람10249 22/10/30 10249
166922 [질문] 마우스 스크롤? 방식이 갑자기 변경되었습니다. [2] 넙이아니7648 22/10/30 7648
166921 [질문] 카타리나 아이템 질문 (균열/피흡템) [1] 삭제됨10480 22/10/30 10480
166920 [질문] 사진, 동영상을 데스크톱에서 이름 바꿔주는 프로그램을 찾습니다 [2] 9458 22/10/30 9458
166919 [질문] 아버지 휴대폰이 멀웨어에 감염된 것 같습니다 [7] 살려야한다9604 22/10/30 9604
166917 [질문] 주말(일요일)에는 코로나 pcr 검사를 마땅히 받을데가 없죠? [4] 보로미어10377 22/10/30 10377
166916 [질문] 스마트폰 파일의 읽기전용모드를 해제하는 방법에 대해 문의드려요 코시엔10796 22/10/30 10796
166914 [질문] 사이버펑크 엣지러너 보고 견적 맞추려고 합니다. 도움을 요청드립니다. [5] 김보노13453 22/10/29 13453
166913 [질문] 일본의 현 경제정책에 대해서 [4] JP-pride10109 22/10/29 10109
166912 [질문] 정치에 대한 관심은 의무일까요, 교양일까요? [10] 상록일기8910 22/10/29 8910
166911 [질문] 캐릭터 이미지를 찾고 있습니다 -! 회색사과8806 22/10/29 8806
166910 [질문] 해외스포츠 하이라이트를 스포없이 빨리 볼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1] 하만카돈6400 22/10/29 6400
166909 [질문] 알뜰폰 요금제 유심관련 질문입니다. [1] 잉차잉차9511 22/10/29 9511
166908 [질문] 자유게시판에 올라왔던 추억글 찾습니다. [3] 쟈샤 하이페츠8774 22/10/29 8774
166907 [질문] 하이하나 파킹통장 만들었는데 입금이 안됩니다. [3] This-Plus9098 22/10/29 9098
166905 [질문] 나혼자산다 황희찬편 보고 질문드립니다. [8] 마제스티13109 22/10/29 13109
166904 [질문] 발레하는 학생에게 적당한 선물 [2] 콩탕망탕9758 22/10/29 9758
166903 [질문] 인식 잘되는 usb c타입 브랜드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4] 데비루쥐8920 22/10/29 8920
166902 [질문] 야구 홈구장 메리트 우선순위가 어떻게 될까요 [9] peongun10743 22/10/29 1074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