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9/14 16:40:36
Name 향기나는사람
Subject [질문] 요즘 운동하는 사람 비율이 어느정도 될까요?
헬스, 크로스핏류의 근육증진 목적 운동하는 사람 비율이 어느정도 될까요?
제 주변을 보면 운동과 전혀 상관없는 일을 하는사람들인데도 최소 50%는 넘게 운동을 하고 있습니다.
이런 적이 있었나 싶을 정도로 피트니스 붐인거 같은데요.
제 주변만 이런건지 궁금해서..
주변에 운동하는 사람 비율이 어느정도 되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타나라
22/09/14 16:45
수정 아이콘
회사 같은부서사람들 보면 대략 20%선인것 같아요.
20명이면 4~5명정도.
여사원은 1/4 정도 하고
남사원은 4/16정도 하는것 같습니다.
비둘기야 먹쟛
22/09/14 16:53
수정 아이콘
형님 둘다 1/4 아닌가요? 크킄크ㅡ
스타나라
22/09/14 17:00
수정 아이콘
실제 모수를 표기한거라 살짝 다릅니다? 크크크크
League of Legend
22/09/14 16:46
수정 아이콘
젊은층은 10년 전과 비교했을때 2배 3배 이상 늘었다고 봅니다.
저 15년 전에 헬스크럽 다니려고 했을때 정말 매체도 체계도 없어서 혼자하는건 불가능했는데 요즘은 커뮤니티, 유튜브 등등 지식도 많고 하는 사람도 많고.. 그때 무식하게 우유 2l 한 팩 마시기 몸 불리겠다고 밥 양 늘리기 (탄수를 증가시키는거라 살만 찜..) 삶은계란 꾸역꾸역먹기 이딴거나 했었는데..
(저도 운동커뮤니티를 통해서 편향적인 정보를 얻어서 그럴 수 있지만요..)
마이스타일
22/09/14 16:51
수정 아이콘
제 주변 30대 중반 남자 20명 기준
런닝 : 1명
헬스장 : 3명
골프 : 2명
수영 : 1명
자전거 : 1명
이네요. 각각 겹치지 않습니다.

하는 사람은 많고, 저도 헬스장 가봐도 사람들 진짜 많이 늘었는데 작년 말~올해 초에 비하면 다시 사람이 많이 줄은 듯 합니다.
회색사과
22/09/14 16:54
수정 아이콘
헬스 / 크로스핏 류는 10~15% 정도 되는 거 같고
운동에 취미를 가진 사람은 (헬스/크로스핏/러닝/테니스/골프 기타 등등) 요새 70% 넘는 거 같아요.

뭔가 하나는 하는 느낌..
메타몽
22/09/14 16:55
수정 아이콘
요것도 주위사람 효과라서 내 주변에선 운동 많이 해도 운동 아예 안하는 계층이 여전히 많습니다

70%는 절대 아니고 최대 50% 정도 까진 매우 넓게 보면 가능할 수도 있을꺼 같은데 이것도 좀 무리수 같네요
회색사과
22/09/14 17:11
수정 아이콘
맞는 말씀이십니다 흐흐
제 주변엔 죄다 골프친다는데 왜 나만 못 치고 있을까 생각하게 되더라구요
메타몽
22/09/14 16:5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연령층에 따라 꽤 상이한데

피쟐 평균 나이대 30~40 기준으로 본다면 남자 기준 30%, 여자 기준 20% 정도라고 생각합니다

운동을 아예 안하는 사람, 하다가 접은 사람, 이제 막 하려는 사람, 다시 시작하는 사람 등 다양한 계층이 존재해서 정확하게 정리하긴 어렵다고 보고

주위를 넓게 살펴보면 대략 저정도인거 같네요

특히 여성분들이 운동하는 케이스가 예전 대비 정말 많이 늘었습니다

p.s. 구글에서 검색해보니 남녀 평균 약 40% 대네요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8083

걷기 운동 포함일 테지만 제 생각보다 좀 더 많네요
22/09/14 17:00
수정 아이콘
저희 부서 기준으로 보면 10%~20% 정도 같네요
22/09/14 17:01
수정 아이콘
(수정됨)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4252

https://www.fnnews.com/news/202201101407350519

생활체육 참여율만 봐도 1주일 1회 차이로 10% 이상 참여율이 감소합니다.(헬스뿐만 아니라 걷기 운동이나 등산도 포함한 결과)

헬스 기준 주 3회 이상 꾸준히 하는 사람은 적을 것 같네요.
항정살
22/09/14 17:02
수정 아이콘
요새 주변에서는 많이 합니다
페로몬아돌
22/09/14 17:03
수정 아이콘
40대 기준 회사 또래는 저 혼자. 주위 지인들은 한 50프로 정도 됨.
옥동이
22/09/14 17:14
수정 아이콘
만혼과도 관계가 있지 않을까 마 그리 생각합니다
물뿔소
22/09/14 17: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생활 운동 데이터는 있는데 근육증진 목적으로 운동하는 데이터를 뽑기가 어렵네요.
체력단련시설 데이터가 2020년 자료까지 있고 2022년 자료가 나와봐야 알거같습니다.
2017년부터 평균 395.5개씩 증가하고 있고 (체력단련장업, 종합체육시설업 기준) 해마다 증감 차이가 크긴 하지만 그래도 상승하고 있으니 점점 많아지고는 있습니다.

주변 기준으로 근육증진으로 한정하면 10명중 1-2명 같습니다.
근육증진을 포함한 생활운동이라면 10명중 6-8명 같네요.
신량역천
22/09/14 17:57
수정 아이콘
동네에 pt전문샵 필라테스샵 계속 생기는데 사람들 바글바글 하더군요 확실히 5-10년전보단 많아진 것 같아요

제 주변은 오히려 줄었네요 크크크
썬업주세요
22/09/14 18:30
수정 아이콘
헬스 크로스핏만 치면 10~20%정도 되는거 같아요.
22/09/14 18:54
수정 아이콘
돌아다녀보면 몸좋은사람들이 옛날보다 엄청 많아진 느낌... 특히 뭐 번화가 같은데 가보면 더하구요
Meridian
22/09/14 18:55
수정 아이콘
31살, 군의관인데 주변 전부 헬창됐슴다 저 포함 크크크
개좋은빛살구
22/09/14 19:58
수정 아이콘
매일 연락하는 단톡방 친구 10명 / 5명중 근육 목적으로 운동 하는 친구 1명(헬스)있습니다.
해당 친구들 중 운동(골프, 테니스, 수영, 러닝 등등)은 14명중 6명 있네요(헬스 제외)
회사에서는 주변 동료 20명중에
헬스는 3명
그외 운동은 5명 하고 있습니다.
대충 40% 정도는 헬스든 운동이든 뭐든 하는 느낌이네요
너의 모든 것
22/09/14 20:01
수정 아이콘
pt받는 비율 엄청 늘었을 것 같아요 개인샵도 많이 생겼고 피트니스도 집 주변에 편의점보다 많습니다.
The)UnderTaker
22/09/14 20:13
수정 아이콘
근육 키우는 목적으로 운동하는 사람은 정말 넓게 잡아야 5%봅니다.
22/09/14 21:47
수정 아이콘
10년 전 보다야 확연히 늘었죠.
이유는 워낙 자기관리 및 외적으로 보여지는 게 중요시되는 시대다 보니 그런 거구요.
(물론 열심히 관리해도 연애하고 결혼하기 쉽지는 않음..)

근데 꾸준히 운동을 제대로 한다고 볼 수 있는 비율은 그렇게 크지 않을 겁니다.(대략 남자 30%, 여자 20% 정도 봅니다.)
아무것도 안하는 거 혹은 안한다고 말하고 다니는 거 보다야 뭐 하나라도 해야 있어 보이거나 위기감이 덜 느껴져서
그냥 등록만 해놓고 안 가거나 어쩌다 한번 가는데 간다고 하거나, 하는 척만 하는 비율도 많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6123 [질문] 원룸 월세 인상관련 질문 입니다. [1] 9495 22/09/18 9495
166122 [질문] 중기청 전세가 곧 만료인데 묵시적 갱신을 원하고 있습니다 회전목마6743 22/09/18 6743
166121 [질문] 대림역에 중국식당 맛있는 데 있을까요? [4] A19154 22/09/18 9154
166120 [질문] 어머니 핸드폰을 노트5에서 z플립4로 바꿀까하는데 괜찮을까요? [10] 유니꽃8769 22/09/18 8769
166119 [질문] 아이패드는 예전 버전도 각종 사이트에서 호환이 잘 되고 빠른지요...? [2] nexon7665 22/09/18 7665
166118 [질문] 메이저 라면 말고 추천 해주세요. [28] 레너블9501 22/09/18 9501
166117 [질문] 컴퓨터 견적 요청드립니다. [3] Espio12120 22/09/18 12120
166116 [질문] 컴퓨터에서 한글자판은 어떻게 합쳐지는 걸까요? [6] 커피소년8734 22/09/18 8734
166115 [질문] 이 프라모델 이름이 뭔가요?? [1] DreamReaver8826 22/09/18 8826
166114 [질문] 요즘 감기 원래 독한가요? [15] 바람의바람10020 22/09/18 10020
166113 [질문] [스포] 왕좌의게임에서 롭 스타크에게 빙의된다면? [2] 유시민8230 22/09/18 8230
166112 [질문] 추천 게시판 글들은 더이상 안올라 오는건가요? [5] 나른한오후7506 22/09/18 7506
166111 [질문] 최전성기 정우람,대현,병현,창용,종범,정호,신수,이치로,서건창만으로 KBO 우승 가능한가요? [28] 시나브로8136 22/09/18 8136
166110 [질문] 중고차 질문드립니다 [5] 삭제됨6597 22/09/18 6597
166109 [질문] 강원도 워터파크 선택 도움 부탁드려요 [1] 깔끔하게7402 22/09/18 7402
166108 [질문] 티비 구매 관련 질문 드립니다. 엘지 올레드 [3] 뽈락킹7536 22/09/18 7536
166107 [질문] 여자아기 이름 이중에서 어떤게 좋을까요? [15] 천하8492 22/09/18 8492
166106 [질문] [해축] 토트넘을 라리가 팀에 비유한다면? [10] G9341 22/09/18 9341
166105 [질문] TV 화질이 갑자기 변하는건 무슨이유일까요? [5] 유니꽃7938 22/09/18 7938
166104 [질문] 일본 택시관광 가능한지 문의드립니다 [5] 기다리다8489 22/09/18 8489
166103 [질문] 주담대 있는집에 월세 계약 [1] 니플11983 22/09/18 11983
166102 [질문] 우마무스메 일섭 할만 한가요? [5] Riina9065 22/09/17 9065
166101 [질문] 인터넷 자주 끊기는 분 계신가요? KT쓰는데 [12] 55만루홈런13321 22/09/17 1332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