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9/13 09:34:58
Name 휵스
Subject [질문] 다른 영역의 사안 별 (정치)이념적 일관성을 꼭 추구해야할까요?
전 개인적으로 이슈 별로 (경제, 사회, 문화, 환경 등등) 제가 갖는 이념적 스탠스가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하고 그게 개인적으로 합리적이라고 생각해왔는데
최근에 Kansas대학에 계신 한국인 사회학과 교수인 김창환 교수의 블로그 글을 읽고 또 생각이 많아졌습니다. (아래 링크)
https://sovidence.tistory.com/1193

한마디로 철학이 부재하거나 사안에 대한 깊은 이해가 없는경우에 이념적 일관성이 떨어진다고 말하는건데..
사안별 다른 이념을 오히려 '추구'하던 저를 비판하는 글로도 읽히더라고요.

혹시 다들 의견이 어떠신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유료도로당
22/09/13 09:47
수정 아이콘
저는 휵스님의 의견에 더 동감하는 편인데.. 이제 사회가 너무 복잡해지고 각 이슈별 사안들도 그 안에 담긴 측면이 워낙 다양하다보니 진보적/보수적 가치라는 하나의 축으로 묶기 어려운 경우가 훨씬 더 많지 않을까 싶습니다.
22/09/13 09:55
수정 아이콘
1차적으로 그냥 보이는 대로 느끼게 되고
2차적으로 그 사안에 대해 누군가가 풀어낸 글을 보면서 생각이 달라질 수 있고
3차적으로 그 사안의 전문가, 그거도 내가 호감 혹은 신뢰를 하는 사람이 쓴 글이라면 보면서 생각이 달라질 수 있고
4차적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관련한 사항의 변동(결정적 반전의 물증 등장 같은)에 따라 생각이 달라질 수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부차적으로 그게 내가 먹고 살아야 할 먹거리와 관련됐다면 관련되는 순간 판단의 기준이 달라질 수 있죠...
22/09/13 10:02
수정 아이콘
저도 즐겨보는 블로그입니다. 그런데 링크해주신 글에서 [이념적 일관성]이 무엇인지 명확히 설명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철학이 부재하거나 사안에 대한 깊은 이해가 없는경우에 이념적 일관성이 떨어진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큰 의미를 둘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경제문제에 대해서 복지와 재분배를 강조하고, 환경문제에 대해서 개발주의적 입장을 취하면서, 문화적으로는 자유지상주의적 입장을 취하는 것도 하나의 이념적 일관성으로 묶일 수 있습니다.

저는 대학원에서 특정한 철학분야를 깊이 있게 공부해본 경험이 있습니다. 철학을 공부할수록 느낀 점은, 철학은 답을 주는 학문이 아니라 질문을 하는 학문, 반성적으로 돌아보게 하는 학문이라는 점입니다. 하나의 철학적 이념이 있고, 그 이념이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방향을 설정해줄 수 있다는 것은 잘못된 환상이라고 생각합니다.
22/09/13 10:32
수정 아이콘
사람이 일관적이지 않은데.. 이념적 일관성이라니요..
그리고 모든것을 잘 안다고해도 그것을 행하는건 또 다른 개념이죠.
과거와 같이 사회가 단순했으면 모를까 지금은 조금더 많은 것들이 파편화 되어있는데.
이념적 일관성을 추구하다간 몰락하기 딱 좋다고 봅니다. 과거 조선시대에 그랬듯이요.
개인적으로 상당히 무서운 얘기라고 생각합니다.
앙겔루스 노부스
22/09/13 23:3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쉽지 않은 부분이라고 보는게, 미국(아니라도 대개 그렇지만)의 대표적 양대세력인 공화당의 경우 경제면에선 개인자유를 중시하는데, 사회문화면에선 개인자유에 대해 부정적인 경우가 많고, 민주당의 경우는 그 반대인 경우가 많죠. 사회문화에서도 총기와 낙태에 대한 양측의 입장차이만 봐도 너무 뚜렷하게 드러나고. 사실 그러다보니, 론폴처럼 경제든 문화든 다 풀어! 하는 사람이 컬트적 인기를 얻었던 적도 있었지만... 그리고, 저런 불일치가 오히려 특정한 세계관 내에선 일관된 것인 면도 있는 것인지라, 일관성을 절대적 가치로 놓기엔, 일단 그 정의부터가 모호해지는 면이 있다고 봅니다.

그럼에도, 일관성은 분명히 지적으로 성숙했다는 가장 뚜렷한 증거인지라, 그것을 추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데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을거라고 보고, 김창환의 글에 제 나름의 츷코미를 걸어보자믄, 너무 명쾌하게 일관성 부족의 문제점을 지적해보겠다, 라는 욕심이 과했던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사회문제에 대해 제대로 인식하려면 공부를 많이 해야한다, 라고 만 말하면 너무 심심하니 양념이 좀 과했다 랄까나... 분명히 공부가 부족하면 여기서 갖는 생각과 저기서 갖는 생각을 같이 놓고 봤을때 어처구니 없을 정도로 충돌하게 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게 되긴 하거든요. 그냥, 사안에 대한 이해를 더 깊게 하도록 노력하고, 일관성은 가급적 향상시키는 쪽으로 생각하자, 라는 정도가 제가 보기에 맞는 말 갖고, 제가 추구하는 바이기도 합니다.

글구 불일치 추구는 아무리 봐도 메리트가 없어보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6055 [질문] 신촌에서 4시간 정도 시간 떼우기.. [8] 삭제됨6724 22/09/15 6724
166054 [질문] LoL 질문입니다 [2] 김경호7943 22/09/15 7943
166053 [질문] 버즈 라이브 쓰고잇었는데 에어팟 괜찮나요…? [8] AaronJudge9910518 22/09/14 10518
166052 [질문] 신의탑 우렉마지노 같다는 세간의 평가 [18] 마도로스배10710 22/09/14 10710
166051 [질문] 보름정도 여행하고 쉬기 좋은 동남아는 어디가 있을까요? [10] 쌍둥이아빠9382 22/09/14 9382
166050 [질문] 서울시신혼부부전세대출 신청시 질문입니당 !! [2] 치어풀7624 22/09/14 7624
166049 [질문] 혹시 유튜브 프리미엄 모바일 창모드 이렇게 나오시는 분 계신가요? [1] valewalker11074 22/09/14 11074
166048 [질문] 문자메시지 관련 질문입니다! [1] efilefilefil8014 22/09/14 8014
166047 [질문] 며칠전 컴퓨터 관련 질문 올렸는데, 온도 관련하여 다른 질문 드립니다. [15] SEO201510306 22/09/14 10306
166046 [질문] 생산직 종사자분들 따로 운동 하시나요? [4] CoMbI COLa10512 22/09/14 10512
166045 [질문] 요즘 운동하는 사람 비율이 어느정도 될까요? [23] 향기나는사람18511 22/09/14 18511
166044 [질문] 타이어 교환 관련 질문드립니다(사진첨부) [5] 루체른9742 22/09/14 9742
166043 [질문] 러너스클럽 유용한가요? [3] 소믈리에7589 22/09/14 7589
166042 [질문] 이승우가 k리그에서 좋은활약을 보이는 이유가 있을까요? [11] 달달합니다8653 22/09/14 8653
166041 [질문] 데스크탑 후면 3.5mm 오디오 잭 연결 이슈 [8] 한기14210 22/09/14 14210
166040 [질문] 카카오톡에서 메시지 전송이 안 돼요. [1] beloved7198 22/09/14 7198
166039 [질문] 아이유콘 질문입니다 [9] 개좋은빛살구11365 22/09/14 11365
166037 [질문] 60대 어머니 등산배낭 브랜드 뭐있을까요? [9] StondColdSaidSo9240 22/09/14 9240
166036 [질문] 살려주십쇼 편도선염 [21] 이러다가는다죽어9251 22/09/14 9251
166035 [질문]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 관련 영어표현 질문 드립니다 [6] 메타몽7886 22/09/14 7886
166034 [질문] 10월 제주 서쪽 여행 맛집 질문입니다. [1] 웰빙소고기8071 22/09/14 8071
166033 [질문] 노트북 추천 부탁드립니다 [4] scscsc9907 22/09/14 9907
166032 [질문] 타이어 교체 비용 궁금합니다! [14] amalur10109 22/09/14 1010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