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9/13 09:34:58
Name 휵스
Subject [질문] 다른 영역의 사안 별 (정치)이념적 일관성을 꼭 추구해야할까요?
전 개인적으로 이슈 별로 (경제, 사회, 문화, 환경 등등) 제가 갖는 이념적 스탠스가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하고 그게 개인적으로 합리적이라고 생각해왔는데
최근에 Kansas대학에 계신 한국인 사회학과 교수인 김창환 교수의 블로그 글을 읽고 또 생각이 많아졌습니다. (아래 링크)
https://sovidence.tistory.com/1193

한마디로 철학이 부재하거나 사안에 대한 깊은 이해가 없는경우에 이념적 일관성이 떨어진다고 말하는건데..
사안별 다른 이념을 오히려 '추구'하던 저를 비판하는 글로도 읽히더라고요.

혹시 다들 의견이 어떠신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유료도로당
22/09/13 09:47
수정 아이콘
저는 휵스님의 의견에 더 동감하는 편인데.. 이제 사회가 너무 복잡해지고 각 이슈별 사안들도 그 안에 담긴 측면이 워낙 다양하다보니 진보적/보수적 가치라는 하나의 축으로 묶기 어려운 경우가 훨씬 더 많지 않을까 싶습니다.
22/09/13 09:55
수정 아이콘
1차적으로 그냥 보이는 대로 느끼게 되고
2차적으로 그 사안에 대해 누군가가 풀어낸 글을 보면서 생각이 달라질 수 있고
3차적으로 그 사안의 전문가, 그거도 내가 호감 혹은 신뢰를 하는 사람이 쓴 글이라면 보면서 생각이 달라질 수 있고
4차적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관련한 사항의 변동(결정적 반전의 물증 등장 같은)에 따라 생각이 달라질 수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부차적으로 그게 내가 먹고 살아야 할 먹거리와 관련됐다면 관련되는 순간 판단의 기준이 달라질 수 있죠...
22/09/13 10:02
수정 아이콘
저도 즐겨보는 블로그입니다. 그런데 링크해주신 글에서 [이념적 일관성]이 무엇인지 명확히 설명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철학이 부재하거나 사안에 대한 깊은 이해가 없는경우에 이념적 일관성이 떨어진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큰 의미를 둘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경제문제에 대해서 복지와 재분배를 강조하고, 환경문제에 대해서 개발주의적 입장을 취하면서, 문화적으로는 자유지상주의적 입장을 취하는 것도 하나의 이념적 일관성으로 묶일 수 있습니다.

저는 대학원에서 특정한 철학분야를 깊이 있게 공부해본 경험이 있습니다. 철학을 공부할수록 느낀 점은, 철학은 답을 주는 학문이 아니라 질문을 하는 학문, 반성적으로 돌아보게 하는 학문이라는 점입니다. 하나의 철학적 이념이 있고, 그 이념이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방향을 설정해줄 수 있다는 것은 잘못된 환상이라고 생각합니다.
22/09/13 10:32
수정 아이콘
사람이 일관적이지 않은데.. 이념적 일관성이라니요..
그리고 모든것을 잘 안다고해도 그것을 행하는건 또 다른 개념이죠.
과거와 같이 사회가 단순했으면 모를까 지금은 조금더 많은 것들이 파편화 되어있는데.
이념적 일관성을 추구하다간 몰락하기 딱 좋다고 봅니다. 과거 조선시대에 그랬듯이요.
개인적으로 상당히 무서운 얘기라고 생각합니다.
앙겔루스 노부스
22/09/13 23:3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쉽지 않은 부분이라고 보는게, 미국(아니라도 대개 그렇지만)의 대표적 양대세력인 공화당의 경우 경제면에선 개인자유를 중시하는데, 사회문화면에선 개인자유에 대해 부정적인 경우가 많고, 민주당의 경우는 그 반대인 경우가 많죠. 사회문화에서도 총기와 낙태에 대한 양측의 입장차이만 봐도 너무 뚜렷하게 드러나고. 사실 그러다보니, 론폴처럼 경제든 문화든 다 풀어! 하는 사람이 컬트적 인기를 얻었던 적도 있었지만... 그리고, 저런 불일치가 오히려 특정한 세계관 내에선 일관된 것인 면도 있는 것인지라, 일관성을 절대적 가치로 놓기엔, 일단 그 정의부터가 모호해지는 면이 있다고 봅니다.

그럼에도, 일관성은 분명히 지적으로 성숙했다는 가장 뚜렷한 증거인지라, 그것을 추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데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을거라고 보고, 김창환의 글에 제 나름의 츷코미를 걸어보자믄, 너무 명쾌하게 일관성 부족의 문제점을 지적해보겠다, 라는 욕심이 과했던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사회문제에 대해 제대로 인식하려면 공부를 많이 해야한다, 라고 만 말하면 너무 심심하니 양념이 좀 과했다 랄까나... 분명히 공부가 부족하면 여기서 갖는 생각과 저기서 갖는 생각을 같이 놓고 봤을때 어처구니 없을 정도로 충돌하게 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게 되긴 하거든요. 그냥, 사안에 대한 이해를 더 깊게 하도록 노력하고, 일관성은 가급적 향상시키는 쪽으로 생각하자, 라는 정도가 제가 보기에 맞는 말 갖고, 제가 추구하는 바이기도 합니다.

글구 불일치 추구는 아무리 봐도 메리트가 없어보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6077 [질문] 가정불화 상담 추천 부탁드립니다. [16] 우유속에모카치노9791 22/09/16 9791
166076 [질문] 골프장 환불 가능할까요? [11] 양념반자르반8126 22/09/16 8126
166075 [질문] 노래 질문입니다. [7] 아르거스의사도9905 22/09/16 9905
166074 [질문] KF-AD 마스크 추천 부탁드립니다 [1] teragram6224 22/09/16 6224
166073 [질문] 골프 아무것도 모르는데 시작해보고자 합니다 [5] zzzzz9892 22/09/16 9892
166072 [질문] 니콘 카메라 충전기 가격 궁금합니다 [4] 선동열7112 22/09/16 7112
166071 [질문] 잠실종합운동장 인근 주차 질문드려요. [14] 신촌로빈훗11579 22/09/15 11579
166070 [질문] 노트북 추천 부탁드립니다 (통계분석용, No 게이밍) [7] 마카10098 22/09/15 10098
166069 [질문] 친구랑 둘이서 잠깐잠깐 할수있는 게임 추천해주세요 [22] 데비루쥐11540 22/09/15 11540
166068 [질문] 대전 PC있는 숙소 질문 [6] 아이코어12127 22/09/15 12127
166067 [질문] 프로젝터의 애플TV앱. 안드 유저는 이용할 수 없나요? [3] This-Plus10098 22/09/15 10098
166066 [질문] 원형 탈모가 하나 생겼는데요.. [6] 아이폰129712 22/09/15 9712
166065 [질문] Timex 시계(팔콘아이 리이슈) 어떤가요? [12] 라니안9632 22/09/15 9632
166064 [질문] 갤럭시 버즈 라이브 블투 이어폰 쓰시는분들께 문의 [6] 솔지8832 22/09/15 8832
166063 [질문] 역류성 식도염 선배님들께 질문드립니다. [8] Melf8844 22/09/15 8844
166062 [질문] now, ladies, slut up~! (??) [3] 제주삼다수8372 22/09/15 8372
166061 [질문] 엄복동의 나라에서 국민 자전거란? [17] 아이러브스타11290 22/09/15 11290
166060 [질문] XBOX 게임패스 얼티밋 관련 [7] 허저비8791 22/09/15 8791
166059 [질문] 와이파이가 특정 어플만 안될 수 있나요??? [2] 레너블8235 22/09/15 8235
166058 [질문] 2달전쯤 자동차 사고를 당했습니다. [9] Arya Stark11068 22/09/15 11068
166056 [질문] 제주도 가족여행 많이 걷지 않는 여행지 추천부탁드립니다. [5] 천국의날개9838 22/09/15 9838
166055 [질문] 신촌에서 4시간 정도 시간 떼우기.. [8] 삭제됨6720 22/09/15 6720
166054 [질문] LoL 질문입니다 [2] 김경호7939 22/09/15 793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