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8/24 15:59:53
Name 포졸작곡가
Subject [질문] 축알못 질문입니다.
축구 선수들 네임드인 경우
별명이 따로 있는데

이 별명에 부합하는 선수는 누구일까요??

스텔스 폭격기

은근히 수비수 시야에는 안들어오는데
골 상황에서는 어디서 나타났는지
슛을 쏴댐.
헤더가 일품임.

이런 선수 있을까요~??

해축 국축 모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8/24 16:02
수정 아이콘
헤더 빼면 인자기 같은데...뭐 일품이라 하긴 뭐해도 헤더를 못한건 아니었지만요.
葡萄美酒月光杯
22/08/24 16: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글쎄요 폭격기라는 별명이 달린 선수면 게르트 뮐러나 유르겐 클린스만이 있는데 다 존재감이 엄청 컷죠. 그러니 폭격기라고 불리는거고.....
안보이다가 튀어나와 골 넣는건 인자기가 생각이 나는데 폭격기라기에는 너무 왜소하고....물론 인자기 자체는 헤딩을 꽤나 잘했지만서도.
스텔스 폭격기 B-2는 아니고 F-117정도면 어울릴지도요
윤하손파이
22/08/24 16:07
수정 아이콘
인자기가 바로 생각나긴 하는데 100% 부합하는 느낌은 아니긴해요.
及時雨
22/08/24 16:15
수정 아이콘
올해 대구에서 고재현이 그런 식으로 어디선가 나와서 골을 막 넣는 바람에 별명이 고자...기가 되었습니다...
손금불산입
22/08/24 16:20
수정 아이콘
플레이 스타일만 따지면 레알 마드리드 말년 호날두가 비슷한 느낌이긴 했습니다. 그런데 네임밸류가 너무 높아서 그런 이미지만으로 잘 연결되지 않죠.
라흐마니
22/08/25 08:38
수정 아이콘
저도 딱 호날두 생각이 먼저 들었네요
먼산바라기
22/08/24 16:28
수정 아이콘
클로제 생각나네요..
Energy Poor
22/08/24 16:29
수정 아이콘
저도 클로제 생각났네요. 혹은 토마스 뮐러
먼산바라기
22/08/24 16:33
수정 아이콘
뮐러도 생각해봤는데.. 폭격기=헤더 느낌이라고 하셔서 월드컵에서 헤더로만 해트트릭 꽂아 넣은 클로제 추천드렸습니다. 흐흐흐
설레발
22/08/25 12:51
수정 아이콘
저도 클로제가 떠올랐음
꿈트리
22/08/24 17:28
수정 아이콘
인자기+클로제 해서 클자기? 인로제? 쯤 되겠네요.
chilling
22/08/24 18:01
수정 아이콘
헤딩이 일품인데 수비수가 널널하게 마크하진 않을테니 딱 부합하는 선수는 없겠지만, 비어호프 생각나네요.

아마 호날두 다음으로 역대 헤딩골 2위, 허나 스피드, 드리블, 트래핑, 터치와 같은 기본기는 탑레벨 팀 기준에선 수준 미달급 선수였죠. 경기 영향력은 없는데 어느 순간 보면 헤딩으로 골 넣고 있는 그런 선수였습니다.
나랑드
22/08/24 22:42
수정 아이콘
폭격기가 스텔스하기가 쉽지 않지않나요? 음 어렵네요.
생각보다 헤딩을 잘했고 은근히 골을 잘넣은 선수로 치면 박주영 선수나 김은중 선수는 어떨까요?
귀신같이 골 잘넣는 선수로 치면 뮐러가 있죠.
22/08/24 23:04
수정 아이콘
헤더가 일품임을 빼면 트레제게?
집으로돌아가야해
22/08/25 11:18
수정 아이콘
조원희죠 이건
22/08/26 05:58
수정 아이콘
보통 폭격기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면 이미 존재감이 뿜뿜하는 선수라서 스텔스라는 수식어랑 어울리지는 않지요.
[은근히 수비수 시야에는 안들어오는데 골 상황에서는 어디서 나타났는지 슛을 쏴댐.]
이 수식어는 사실 독일 공격수 토마스 뮐러랑 이탈리아 공격수 지암파올로 파찌니가 딱이긴 합니다.
헤딩도 두 선수 다 꽤나 잘했던것 같아요.다만 위치선정같은건 S급인데비해 순수 수비를 압도하면서 헤딩하는 능력은 일품이라고하긴 살짝 애매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5691 [질문] 아이패드 프로 11인치 3세대 몇 가지 궁금한 점. [3] 햇여리10195 22/08/26 10195
165690 [삭제예정] 이번 롤챔스 뷰잉 파티 같이 보실 분 계신가요? [4] 삭제됨9957 22/08/26 9957
165689 [질문] 요즘에는 핸드폰 싸게 사는 방법이 있나요? [17] 유유할때유9422 22/08/26 9422
165687 [질문] 3인 가족 차량 질문입니다! G70, A4 타는 중인데 바꿔야할까요? [8] 타코9720 22/08/26 9720
165686 [질문] 강릉(강릉역-강릉항 인근) 추천 횟집 [4] 꿀이꿀8813 22/08/26 8813
165685 [질문] 주말 경부 상행선 정체 질문입니다. [6] Like a stone9081 22/08/26 9081
165684 [질문] 아파트 누수 보험들 많이 드시나요? [7] 허느7917 22/08/26 7917
165683 [질문] 주말 점심에 관악쪽에서 차량으로 그나마 가기 편한 현대백화점이 어디일까요? [13] Klopp7449 22/08/26 7449
165682 [질문] 서울근교 드라이브코스 추천부탁드려요. [6] 교자만두8325 22/08/26 8325
165681 [질문] 현재 컴퓨터에서 랜섬웨어가 실행되고 있는 상황이라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6] 카페알파9976 22/08/26 9976
165680 [질문] 추석때 성남지역에서 13명이 놀만한 행사나 문화활동 문의 [3] Cherish6560 22/08/26 6560
165679 [질문] 애플카플레이로 유튜브 보는법??!! [4] 림림12352 22/08/26 12352
165678 [질문] Pgr21 모바일모드가 계속 풀립니다. [8] 조따아파10588 22/08/26 10588
165677 [질문] 요즘 맛집 어떻게 다니시나요? [39] 고요11080 22/08/26 11080
165676 [질문] 전세보증금 반환 위한 주택담보대출 문의입니다. [4] Uglyman8556 22/08/25 8556
165675 [질문] 왕복 210Km 장거리 출퇴근을 하게 돼서 질문 드립니다.(최강 연비는?) [29] 라쥬12470 22/08/25 12470
165674 [질문] 테슬라 판매량이 자율주행 성능에 미치는 현저한 영향이 있을까요? [1] 예루리7056 22/08/25 7056
165673 [질문] 주차장 물피도주 문의입니다 [1] 나이스후니9626 22/08/25 9626
165672 [질문] 마키나랩 에어프라이어 써보신분 좋은가요? 쪼아저씨8463 22/08/25 8463
165671 [질문] 레토르트 식품 상한 거 보상 가능한가요? [3] 약쟁이7696 22/08/25 7696
165670 [질문] 로스트아크 입문하려고 합니다. [6] 아타락시아18514 22/08/25 8514
165669 [질문] 서울역 인근 소고기집 추천 요청드립니다. [5] 그냥가끔8605 22/08/25 8605
165668 [질문] 지리산 천왕봉 오르려합니다 [4] backtoback9401 22/08/25 940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