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8/16 17:40:59
Name backtoback
Subject [질문] 동네 basketman 입니다. 슛 잘 넣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학창시절부터 축구보단 농구쪽으로 이단생활을 한 30대 basketman 입니다.

전문적으로 한건 아니고 동네농구 수준입니다. 이제와서 크게 배우려는 의지도 없긴합니다만

차에 농구공은 항상 가지고다니면서 심심할때 혼자서 슛연습은 많이 합니다.

여기서 질문은 제가 타고난 약골체질에 키까지 작습니다. 팔힘은 예나 지금이나 아에 없는 수준인데

슛은 시합말고 연습상황에선 동네농구 10몇년 구력으로 나름 들어갑니다.

다만 슛거리는 짧아서 최대가 자유투정도고 그 뒤로는 억-지 슛입니다.

이 나이에 게임 뛸건 아니고 그냥 슛을 어떻게 하면 더 많이 넣을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인데 근력운동이 해답일까요?

30몇년동안 근력운동은 시도 해본적도 없습니다.

친구들이나 군대에서 선임들이 공을 너무 살살 던진다는 말을 많이 듣긴 했습니다. 나름의 스냅으로 던지는데 공은 매우 천천히 날아갑니다.

보통 슛에대한 강좌같은거 보면 무릎을 이용해서 전신으로 던지라고 하는데 팔근육 없어도 되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소믈리에
22/08/16 17:52
수정 아이콘
팔힘이나 다른 근력들이 안중요할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농구슛할때 무릎, 팔꿈치, 손목, 손가락

다 사용합니다만, 안 그럴때도 있거든요
리얼월드
22/08/16 17:55
수정 아이콘
근력 운동하면 거리 늘어납니다 - 경험자
거리 늘어나는것과 정확도 유지되는건 별개입니다 - 경험자
피를마시는새
22/08/16 19:19
수정 아이콘
근력 운동을 한다고 꼭 운동실력이 증가하지는 않더라고요. (타종목 경험자)
개인적으로 코치 분에게 [기술]을 강습받는게 가장 쉽고 빠른 길입니다.
22/08/16 19:37
수정 아이콘
일단 근력 운동을 하시고, 농구교실처럼 제대로 가르치는 곳을 좀 다녀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사실 전 축구지만;; 전문 코칭 받아보니까 많이 늘기도 하고, 정말 재미있더라구요.
드랍쉽도 잡는 질럿
22/08/16 20:16
수정 아이콘
기본 자세와 몸 쓰는 방법이 중요합니다.
동네 야외 코트서 슛만 쏘는 거라면, 일반인 근력 수준만 돼도 기본기만 좋으면 다 날아갑니다.
문어게임
22/08/16 21:46
수정 아이콘
전신을 이용해서 안되면 그때 팔 힘을 기르는게 낫습니다
경험상 무릎슛이 더 정확해요
葡萄美酒月光杯
22/08/17 00:36
수정 아이콘
나름 동네농구 좀 했던 1인인데 오히려 팔로 던지기때문에 안 들어가는거 아닌가요? 웬만한 성인이 공구공을 림까지 던질 근력이 없을리는 없다고 봐요. 그냥 하반신부터 시작해서 온몸으로 전달되는 슛 폼을 가져가면 비거리?는 문제가 아니라고 봅니다.
와이드오픈에서 슛할때도 그렇고 오프더볼 무브후 캐치앤 슛도 그렇고 심지어 아이솔레이션후 점퍼도 그렇고 결국 중심을 낮췄다가 무릎으로부터 올라오면서 던지는 리듬을 잘 타는게 중요한거 같아요...말하고보니 JJJ가 된 느낌.....
Dončić
22/08/17 01:32
수정 아이콘
비거리가 정확하지 않다 수준이 아니라 자유투 라인 이후부터 비거리가 부족하다면 메커니즘 문제입니다.
22/08/17 03:17
수정 아이콘
슛은 하체로 하는거에요.
하반신에서 시작하는 원모션 슛이 답입니다.
뽐뽀미
22/08/17 11:09
수정 아이콘
요새는 잘 안 하지만, 처음에는 골대 밑에서부터 손목 스냅으로 왼쪽에서 넣고 오른쪽에서 넣고, 들어가면 한 발자국씩 뒤로 가면서 반복.
두번째는 공을 역회전으로 앞에 던져서 받아서 던지는데 이때 오른발 왼발 잡고 슛, 왼발 오른발 잡고 슛.
개인적으로는 이게 슛 리듬이랑 하체 쓰는 느낌을 주기에는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맨날 이러고 놀았는데 김선형 선수가 성대가서 알려주는 영상인가
보니까 선수들도 이런 건 하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5565 [질문] 8개월 아이 이유식 먹는 양 문의 [8] 무지개6789 22/08/20 6789
165564 [질문] 아는 동생한터서 로드자전거 한대를 분양 받았는데 정확한 스펙을 알고싶은데요 [3] 웃어른공격4562 22/08/20 4562
165563 [질문] 모니터 패널 상단에 습기가 침투했습니다. [4] 김티모9042 22/08/20 9042
165562 [질문] 갤럭시 핸드폰과 아이패드 데이터쉐어링 요금제 이용 가능한가요? [4] SHISHAMO6118 22/08/20 6118
165561 [질문] 여러 스마트폰 카메라를 한 번에 찍을 수 있는 방법 [2] halogen6581 22/08/20 6581
165560 [질문] Clock watchdog timeout 하드웨어 문제일까요? [5] 카오루8476 22/08/20 8476
165559 [질문] 코로나 동네병원에서 확진판정받으면 어떻게되나요? [3] 키모이맨8706 22/08/20 8706
165558 [질문] 스마트폰 교체프로그램(5GX클럽, 슈퍼체인지, ...) 2년이 도래하였습니다.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2] 메모광8348 22/08/20 8348
165557 [질문] 아이폰 수리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vi20nq6954 22/08/20 6954
165556 [질문] 스마트폰 (폴더4) 구매시 자급제가 더 좋겠죠?? [3] 기리8018 22/08/20 8018
165555 [질문] 유머감각을 후천적 노력으로 키워보신 분 있나요? [8] 멜로8496 22/08/20 8496
165554 [질문] 좋아하는 여자 가수 있으신가요 [25] 마제스티8383 22/08/20 8383
165553 [삭제예정] 요즘 후라이드는 어디가 괜찮나요? [18] 리테8755 22/08/20 8755
165552 [질문] 런닝화 아시는분있을까요? [2] FarorNear5726 22/08/20 5726
165551 [질문] 영화 제목 질문입니다. 해맑은 전사6749 22/08/19 6749
165550 [질문] 요즘 30대는 '어린'걸까요? [31] 그 닉네임9221 22/08/19 9221
165549 [질문] 컴퓨터 견적 이대로 괜찮을까요? [11] 정신차리자7694 22/08/19 7694
165548 [질문] 직장에서 의미있게 살고 계신가요? [20] 유나얼9611 22/08/19 9611
165547 [질문] 주택 청약 당첨 후 유주택자와 결혼 [8] 법규8645 22/08/19 8645
165546 [질문] kt 안심케어? LOBO7600 22/08/19 7600
165544 [질문] 부모님이랑 여행을 처음가보는데요.. 제주도로.. [12] 레너블7102 22/08/19 7102
165543 [질문] 모니터 결정장애 조언 구합니다 [6] 스핔스핔8359 22/08/19 8359
165542 [질문] 핸드폰 화면이 먹통이 됐습니다 ㅠㅠ [7] Part.39482 22/08/19 948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