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8/16 17:40:59
Name backtoback
Subject [질문] 동네 basketman 입니다. 슛 잘 넣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학창시절부터 축구보단 농구쪽으로 이단생활을 한 30대 basketman 입니다.

전문적으로 한건 아니고 동네농구 수준입니다. 이제와서 크게 배우려는 의지도 없긴합니다만

차에 농구공은 항상 가지고다니면서 심심할때 혼자서 슛연습은 많이 합니다.

여기서 질문은 제가 타고난 약골체질에 키까지 작습니다. 팔힘은 예나 지금이나 아에 없는 수준인데

슛은 시합말고 연습상황에선 동네농구 10몇년 구력으로 나름 들어갑니다.

다만 슛거리는 짧아서 최대가 자유투정도고 그 뒤로는 억-지 슛입니다.

이 나이에 게임 뛸건 아니고 그냥 슛을 어떻게 하면 더 많이 넣을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인데 근력운동이 해답일까요?

30몇년동안 근력운동은 시도 해본적도 없습니다.

친구들이나 군대에서 선임들이 공을 너무 살살 던진다는 말을 많이 듣긴 했습니다. 나름의 스냅으로 던지는데 공은 매우 천천히 날아갑니다.

보통 슛에대한 강좌같은거 보면 무릎을 이용해서 전신으로 던지라고 하는데 팔근육 없어도 되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소믈리에
22/08/16 17:52
수정 아이콘
팔힘이나 다른 근력들이 안중요할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농구슛할때 무릎, 팔꿈치, 손목, 손가락

다 사용합니다만, 안 그럴때도 있거든요
리얼월드
22/08/16 17:55
수정 아이콘
근력 운동하면 거리 늘어납니다 - 경험자
거리 늘어나는것과 정확도 유지되는건 별개입니다 - 경험자
피를마시는새
22/08/16 19:19
수정 아이콘
근력 운동을 한다고 꼭 운동실력이 증가하지는 않더라고요. (타종목 경험자)
개인적으로 코치 분에게 [기술]을 강습받는게 가장 쉽고 빠른 길입니다.
22/08/16 19:37
수정 아이콘
일단 근력 운동을 하시고, 농구교실처럼 제대로 가르치는 곳을 좀 다녀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사실 전 축구지만;; 전문 코칭 받아보니까 많이 늘기도 하고, 정말 재미있더라구요.
드랍쉽도 잡는 질럿
22/08/16 20:16
수정 아이콘
기본 자세와 몸 쓰는 방법이 중요합니다.
동네 야외 코트서 슛만 쏘는 거라면, 일반인 근력 수준만 돼도 기본기만 좋으면 다 날아갑니다.
문어게임
22/08/16 21:46
수정 아이콘
전신을 이용해서 안되면 그때 팔 힘을 기르는게 낫습니다
경험상 무릎슛이 더 정확해요
葡萄美酒月光杯
22/08/17 00:36
수정 아이콘
나름 동네농구 좀 했던 1인인데 오히려 팔로 던지기때문에 안 들어가는거 아닌가요? 웬만한 성인이 공구공을 림까지 던질 근력이 없을리는 없다고 봐요. 그냥 하반신부터 시작해서 온몸으로 전달되는 슛 폼을 가져가면 비거리?는 문제가 아니라고 봅니다.
와이드오픈에서 슛할때도 그렇고 오프더볼 무브후 캐치앤 슛도 그렇고 심지어 아이솔레이션후 점퍼도 그렇고 결국 중심을 낮췄다가 무릎으로부터 올라오면서 던지는 리듬을 잘 타는게 중요한거 같아요...말하고보니 JJJ가 된 느낌.....
Dončić
22/08/17 01:32
수정 아이콘
비거리가 정확하지 않다 수준이 아니라 자유투 라인 이후부터 비거리가 부족하다면 메커니즘 문제입니다.
22/08/17 03:17
수정 아이콘
슛은 하체로 하는거에요.
하반신에서 시작하는 원모션 슛이 답입니다.
뽐뽀미
22/08/17 11:09
수정 아이콘
요새는 잘 안 하지만, 처음에는 골대 밑에서부터 손목 스냅으로 왼쪽에서 넣고 오른쪽에서 넣고, 들어가면 한 발자국씩 뒤로 가면서 반복.
두번째는 공을 역회전으로 앞에 던져서 받아서 던지는데 이때 오른발 왼발 잡고 슛, 왼발 오른발 잡고 슛.
개인적으로는 이게 슛 리듬이랑 하체 쓰는 느낌을 주기에는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맨날 이러고 놀았는데 김선형 선수가 성대가서 알려주는 영상인가
보니까 선수들도 이런 건 하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5536 [질문] [부동산] 전입신고, 양도소득세, 비과세 관련 질문입니다 [2] TheMoon6476 22/08/19 6476
165535 [질문] [노래질문] 너의 힘든 시간 내가 안아줄게 란 느낌의 노래 [9] K59443 22/08/19 9443
165534 [질문] 피부 질환 관련 질문 드려요~ [3] 아이러브스타6011 22/08/19 6011
165533 [질문]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오일 교환 주기는 어떻게 되나요? [6] 카페알파11320 22/08/19 11320
165531 [질문] 롤) 상대하는 입장에서 이블린이나 르블랑한테 당하면 기분이 많이 나쁜가요? [25] 사계9155 22/08/18 9155
165530 [질문] 잃어버린 유튜브 계정 찾는법 [2] SAS Tony Parker 7576 22/08/18 7576
165529 [질문] 갑자기 스피노자를 공부해보고 싶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2] 위대함과 환상사이6329 22/08/18 6329
165528 [질문] 아파트에서 월세받는 경우에도 임대인이 사업자등록을 하는 것인지요...? [4] nexon7644 22/08/18 7644
165527 [질문] 요즘 소변에 대해 궁금함이 큰대요 [4] 허스키6594 22/08/18 6594
165526 [질문] 애플 아케이드 질문입니다 [2] 니체5049 22/08/18 5049
165525 [질문] 갤럭시 설정내 초기화와 공장초기화 차이가 있나요? [4] klunak4578 22/08/18 4578
165524 [질문] 33살 여자 선물 (예산50~100) 추천부탁드립니다 [17] 무민7261 22/08/18 7261
165523 [질문] 대학생 엠티 장소 관련 조언 부탁드립니다. [5] 가능성탐구자5513 22/08/18 5513
165521 [질문] (수정 )고보습 화장품 관련 질문입니다. [5] 동안5800 22/08/18 5800
165520 [질문] 세탁기 연결된 수도꼭지는 항상 열어놓나요? [17] EnzZ10068 22/08/18 10068
165519 [질문] 우클릭시 블루스크린... [1] 스핔스핔6417 22/08/18 6417
165518 [질문] 혼자 갈만한 동해안? [11] Da.Punk5648 22/08/18 5648
165517 [질문] pgr21에서 글을 하나 찾습니다. '가난하다고 해서 사랑을 모르겠는가' [2] 달껍6855 22/08/18 6855
165516 [질문] 회사 상사가 각자 본인 연가쓰고 같이 놀러가자하는데 [52] 비공개9583 22/08/18 9583
165515 [질문] 갤럭시워치 인터넷 연결이나 핸드폰 없이 러닝앱 gps 기록 다 되나요?? [15] 이민들레10306 22/08/18 10306
165514 [질문] 사랑의 정의가 무엇입니까? [26] poocang7086 22/08/18 7086
165513 [질문] 중고로 아이폰7/8 구매하면 쓸만할까요? (게임X) [22] 덴드로븀6867 22/08/18 6867
165512 [질문] 추석때 어른6,아이2 서울 여행코스 질문드립니다. [2] 콘초8065 22/08/17 806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