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8/06 23:09:32
Name 김유라
File #1 2.jpg (62.3 KB), Download : 22
File #2 3.JPG (64.8 KB), Download : 0
Subject [질문] 비전공자가 재무/회계 자격증 관련취득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수정됨)




지금 시간적으로 여유가 좀 생겨서 어학 취득한 다음에 재무/회계 대해서 좀 공부를 해보려고 하거든요.

처음에는 주식 투자 공부하면서  호기심에 전산회계 1급 취득했는데, 부업무(생산기획 관련 업무가 간혹 있는데 이게 회계처리 어떻게 되는지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으니 도움이 생각보다 많이 되더라고요) 간간히 쓰이면서 생각보다 도움이 많이 된다 싶어서 좀 더 공부해보려고 합니다.

이전에 전산회계 1급 자격증은 취득한 적 있었는데 크게 어렵다고 느끼지는 않았습니다. 1달 정도 퇴근하고 2-3시간 정도 공부하고 한 번에 바로 취득했었거든요. 실제로도 그리 어려운 시험은 아니니까요.


나무위키에서는, 전산세무2급 - 재경관리사 정도 테크트리 타면은 비전공자가 탈 수 있는 테크트리는 맥시멈으로 찍는다는데... 사실 회사가 규모가 있다보니 SAP 사용해서 전산세무가 실무적으로 쓰일 경우는 거의 없을 듯 하거든요. (즉, 전산세무 관련 자격증이 큰 도움이 안될 소지가 큽니다.)

그래서 실무보다는 이론 베이스가 좀 더 나을 듯 한데, 그걸 감안하더라도 저 테크가 가장 나을까요? 뭔가 전략기획이나 사업기획 관련해서 재무/회계에 도움 되는 자격증이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8/06 23:31
수정 아이콘
전산OO 자격증은 회계사/세무사 사무실 직원 할 거 아니면 별 의미가 없습니다. 전략기획이나 사업기획 쪽이시라면 재경관리사가 재무회계-원가관리회계-세무회계가 다 포함되어 있어서 괜찮습니다. 비슷한 자격으로 기업회계 1급이 있는데 이 자격은 난이도는 재경관리사보다 높지만 시험과목에 세무회계가 없습니다.

저도 옛날에 기획팀 보직으로 발령났을 때 회계공부한다고 재경관리사 취득했었고 이 공부가 큰 도움이 됐습니다. 다만 단순히 자격취득할 수준으로만 공부하시면 수박 겉핥기에 그칩니다. 재직하면서 공부할 시간이 좀 많이 있다면 경영지도사(재무관리) 취득도 생각해보세요. 요즘 같은 시대에는 독립 개업이 가능한 자격증 하나 가지고 있으면 일종의 보험이 됩니다. 저도 2011년에 기획실 발령받고 회계공부 필요해서 2012년에 재경관리사 취득했고, 그 기세를 몰아서 2013년에 경영지도사(재무관리) 취득했습니다.
김유라
22/08/07 23:39
수정 아이콘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22/08/06 23:32
수정 아이콘
재경관리사 쪽은 세무회계를 쳐서 원하시는 지식이 아닐거 같고
기업회계 기출봤는데 이쪽이 맞을거 같네요. 근데 전략기획이나 사업기획에 관련해서 맞을지는 모르겠습니다.
김유라
22/08/07 23:40
수정 아이콘
음 조금 제가 더 찾아보고 맞는걸 보는게 더 낫겠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22/08/08 00:44
수정 아이콘
저는 세무회계 때문에 재경관리사 추천을 안 했고 윗분은 세무회계 때문에 추천을 한거라
김유라님 직무에 세무회계가 도움되냐 안 되냐만 따지면 될거 같습니다.
그럼 화이팅입니다!
22/08/08 10:33
수정 아이콘
제가 세무회계까지 공부하시는 걸 추천드리는 이유는, 제가 기획실에 있을 때는 특정 의사결정에 따른 법인세 등 세금 효과도 기획서, 보고서, 기안서에 포함되었었고, 또 사업계획에 포함되는 자금수지 계획에서도 각종 세금납부(예상)액이 당연히 포함되었기 때문입니다. 물론 이부분은 직접적으로 몰라도 재무팀/회계팀을 통해서 반영하는 방법도 있긴 한데, 당장은 필요없더라도 윗급으로 올라갈 수록 알아놓는게 유리하기 때문에 한 살이라도 젊을 때 미리 공부해두시는 걸 권해드립니다.
김유라
23/03/09 22:58
수정 아이콘
문득 공부하다가 궁금해서 다시 글을 보니 제가 미처 못본 답변이 있었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5338 [질문] 무선충전 기술의 발전 수준은 어느 정돈가요 [3] 구텐베르크4661 22/08/08 4661
165337 [질문] 속초에서 이성간 밥 먹기 좋은 곳 어디 있을까요? [1] 첫수4615 22/08/08 4615
165336 [질문] 귀 이명 [3] silverC5410 22/08/08 5410
165335 [삭제예정] 가족간 노출은 자녀가 몇 살이 되면 조심하는게 좋을까요 [12] 삭제됨7299 22/08/08 7299
165334 [질문] 일본에서 체크카드로 인출 질문드려요 [2] 선동열3894 22/08/08 3894
165333 [삭제예정] 1 [5] 삭제됨6982 22/08/08 6982
165332 [질문] 붙이는 파스는 직구 갯수에 상관이 없나요? [4] decaf5168 22/08/08 5168
165331 [질문] 옷에 달린 도난방지용(?) 하얀 플라스틱 제거방법.. [7] 아기공룡씽씽카7043 22/08/08 7043
165330 [질문] 몇일도 표준어가 되는 날이 올까요? [9] 지금이대로4355 22/08/08 4355
165329 [질문] 전세 만기 전 이사 중개수수료 관련 질문 드립니다. [3] cherish4356 22/08/08 4356
165328 [질문] 방에 인터넷 랜선을 연결하고 싶습니다. [8] 맥주귀신6054 22/08/08 6054
165327 [질문] DSR/원리금 균당상환을 예외로 두는 주택/건물 담보 대출? [2] 난할수있다4310 22/08/08 4310
165326 [질문] 트위터에서 리트윗 없이 보기 가능한가요? [12] 던져진12505 22/08/08 12505
165325 [질문] 요즘 집들은 발코니 (베란다 테라스 ...) 가 안방에 있을까요? [7] 로즈마리5604 22/08/08 5604
165324 [질문] 콘서트 티켓은 주운 사람이 임자라는데 맞나요? [16] 앗흥9530 22/08/08 9530
165322 [질문] 서울에 비오면 가기좋은 카페??? [5] 회전목마7161 22/08/08 7161
165321 [질문] 크롬에서 pgr접속시 [2] 살좀빼자6514 22/08/08 6514
165320 [질문] 스팀 에러 118 [3] 동굴곰5422 22/08/08 5422
165319 [질문] 내집마련 이후의 재테크 트리는 뭘까요? [10] 보리차6330 22/08/08 6330
165318 [질문] 주차 후 바퀴를 풀로 돌려놓는 경우 [17] 허느6744 22/08/08 6744
165317 [질문] 전선 설계를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2] 카오루7140 22/08/08 7140
165316 [질문] 워3 명경기 추천 부탁 드립니다. [2] 손연재5229 22/08/08 5229
165315 [질문] 육아 정보는 어디서 알아보는게 최고일까요? [19] 신류진7016 22/08/08 701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