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7/27 04:37:49
Name 엔타이어
Subject [질문] 비대칭으로 가위,바위,보를 했을때 어디가 유리할까요 ?


A : 보, 가위
B : 보, 주먹

A와 B는 이렇게만 낼수가 있는 비대칭 가위바위보를 한번 생각해봤습니다.

이러면 A는 보를 내기만 하면 적어도 무승부 or 승리를 가져갈수 있으니 무한대로 보를 내고 싶겠죠.
그래서 여기에 룰을 하나 더 추가합니다.
무승부가 3회가 나올 경우 B의 승리로 한다.

이러면 A는 3번의 게임 안에는 가위를 내야합니다.
A가 보가 아닌 가위를 어느 시점에 내느냐,
B는 그걸 예측해서 주먹을 언제 내느냐,
이런 심리전이 되겠죠.

이런 게임을 머릿속에서 구상을 했는데,
이게 과연 A와 B의 승률이 얼마나 한쪽으로 기울어진 게임인지 잘 계산이 되지 않습니다.
사실 A가 유리한지 B가 유리한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무승부 3회가 너무 적은 횟수인가 싶기도 하고, 이걸 4회, 5회 이렇게 늘려야 밸런스가 맞는건가 싶기도 한데 잘 모르겠습니다.

어떻게 이 게임의 밸런스를 계산할수 있는지,
무승부 횟수를 몇회로 하는게 적당한지
A가 유리한지 B가 유리한지,
혼자 계산해보려다가 잘 안되서 질문으로 올려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7/27 04:54
수정 아이콘
심리전 제외하고 서로 최적으로 낸다고 가정하면 A가 유리한 것 같긴 한데 얼마나 유리한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싸구려신사
22/07/27 07:11
수정 아이콘
느낌적인 느낌으로는 A가 당연히 유리해 보입니다.
신비주의자
22/07/27 07:12
수정 아이콘
무승부 3회가 아니라 1회만 해도 b가 이긴다고 가정해보면,

a가 보를 내면 b는 보를 내면 이기고, 주먹을 내면 지죠.
a가 가위를 내면 b는 보를 내면 지고, 주먹을 내면 이기죠.
b가 보를 내면 a는 보를 내면 지고, 가위를 내면 이기죠.
b가 주먹을 내면 a는 보를 내면 이기고, 가위를 내면 지죠.

즉 무승부가 1회일때 이 게임은 양자가 동일한 입장에 처해 승률 50%가 될겁니다. 그렇다면 무승부를 3회나 해야 이긴다면 a가 많이 유리하지 않을까요?
엔타이어
22/07/27 12:27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드립니다.
22/07/27 09:02
수정 아이콘
심리적인 요소를 제외하고 생각할 때, 무승부를 3번하면 b가 이긴다는 규칙이라면 a가 b보다 3배 유리할 것 같습니다.

이 게임을 요약하면 a가 가위를 언제내는지 b가 맞추는 게임인데, a의 선택지는 (첫번째에 가위내기, 두번째에 가위내기, 세번째에 가위내기, 가위안내기) 네 가지가 있고 b는 이 네가지 중에서 어떤것을 선택했는지 맞춰야합니다. 즉 a가 이길 확률이 75%나 됩니다.
물론 실제로는 한번씩 승부를하는 순차게임이라 이런식으로 작동하지는 않지만, 러프하게보면 a가 이길확률이 3배높다고 보면 되겠네요.

도박묵시록 카이지라는 만화에 나오는 E카드 게임이 비슷한 점이 많으니 한번 봐보시면 재밌으실 것 같습니다.
엔타이어
22/07/27 12:28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드립니다.
karlstyner
22/07/27 09:41
수정 아이콘
1회 시행시 a승리 50%,무승부 25%, b승리 25%입니다.

무승부의 경우에만 재경기가 들어간다고 가정할때 25%를 다시 50:25:25로 쪼개고 이런 식으로 반복됩니다.

결론적으로 1회 시행시 해당 조건에서 동률이고 시행 숫자를 늘리면 늘릴수록 a:b의 승률이 2:1로 수렴하게 됩니다.
엔타이어
22/07/27 12:28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드립니다. 이게 제일 명확한 설명인거 같네요.
22/07/27 10:24
수정 아이콘
보 - 보, 보 - 보, 보 - 보 -> B승리
가위 - 주먹 -> B승리
보 - 보, 가위 - 주먹 -> B승리
보 - 보, 보 - 보, 가위 - 주먹 -> B승리
가위 - 보 -> A승리
보 - 보, 가위 - 보 -> A승리
보 - 보, 보 - 보, 가위 - 보 -> A승리
보 - 주먹 -> A승리
보 - 보, 보 - 주먹 -> A승리
보 - 보, 보 - 보, 보 - 주먹 -> A승리
일단 승리 케이스는 6:4 정도로 A가 유리하네요.
두번만 비겨도 B승리로 할경우에도 4:3 정도로 A가 유리한데 심리적 상황에선 모르겠네요. 그래도 A가 유리한 것 같습니다.
엔타이어
22/07/27 12:28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드립니다.
돼냥이
22/07/27 15:29
수정 아이콘
일단 A나 B가 본인이 뭘 낼지를 랜덤으로 정하는 것이 아니라 전략으로써 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단순 경우의 수 나열로 확률을 구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령 철수는 (가위 or 바위)를 낼 수 있고 민수는 보만 낼 수 있다고 할 때, 단순 경우의 수 나열로 하면 승률은 5:5가 되지만, 철수가 바보가 아닌 이상 가위만 내게 될 것이고 이 경우 승률은 10:0이 됩니다. 저는 후자의 승률이 더 타당하고 합리적인 것으로 보입니다. 비슷한 철학에 따라 앞으로 모든 이들이 가장 합리적으로 행동하고, 서로가 가장 합리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알고 있다고 가정을 한 가운데 승률을 계산하겠습니다.
상대방이 어떤 전략을 쓰는지 모르는데, 뭘 기준으로 하냐! 할 때 생각할 수 있는 개념이 게임이론에서의 '내쉬균형'입니다. 내쉬균형이란 내 전략이 상대의 전략에 대해 최적전략인 상태이고, 상대의 전략도 내 전략에 대해 최적전략인 상태를 뜻합니다.
상대방도 나도 무슨 전략을 쓸 지 모르는 상황에서 누가 유리한지 승률을 구할 때는 내쉬균형에서의 승률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타당하고, 위 게임에서의 내쉬균형 및 내쉬균형에서의 승률은 수학적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계산이 틀리지 않았다면, 위 게임의 내쉬균형에서의 승률은
무승부 1회만 해도 B가 이긴다고 할 시 승률은 A 50%:B 50%
무승부 2회 시 B가 이긴다고 할 시 승률은 A 66.6%:B 33.3%
무승부 3회 시 B가 이긴다고 할 시 승률은 A 75%:B 25%
가 됩니다. (참조 이미지 : https://ibb.co/SKdHNsk )
따라서 답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어떻게 이 게임의 밸런스를 계산할 수 있는지
게임이론 내쉬균형에서의 승률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맞다고 보여집니다.

2) 무승부 횟수를 몇 회로 하는게 적당한지
무승부 횟수를 0회일 때 B가 이긴다고 하였을 때가 가장 공평합니다.

3) A가 유리한지 B가 유리한지
무승부 3회 시 B가 이긴다고 하면 A가 유리합니다.
엔타이어
22/07/27 15:40
수정 아이콘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5169 [질문] 혹시 어깨, 목, 팔뚝 근육통 느껴보신적 있나요? [4] 싸구려신사3882 22/07/31 3882
165168 [질문] 스타2는 스타1에 비해 맵밸런스 영향이 적은가요?? [4] CEO8692 22/07/31 8692
165167 [질문] 컴퓨터 이상 상태 관련 질문입니다. [2] 가브라멜렉4173 22/07/31 4173
165166 [질문] 암보험은 필수일까요? [13] 유미4816 22/07/31 4816
165165 [질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논란 팩트는 뭔가요? [9] 소믈리에4739 22/07/31 4739
165164 [질문] 무단횡단 여부 궁금합니다. [4] 약쟁이4459 22/07/30 4459
165163 [질문] 윈도우 10 리테일 키가 뭔가요? [11] 카오루8497 22/07/30 8497
165162 [질문] 방콕에서는 무엇을 하면 될까요? [17] 제논6454 22/07/30 6454
165161 [질문] 컴퓨터 견적좀 확인해주세요 [6] TAEYEON7227 22/07/30 7227
165160 [질문] 우마무스메 관련 질문입니다. [2] 쿨럭4140 22/07/30 4140
165159 [질문] 노트북 2번째 저장장치로 SSD, HDD 어떤게 좋을까요? [6] VictoryFood5763 22/07/30 5763
165157 [질문] 출퇴근용으로 예산 200~300 정도 자전거 추천 부탁드립니다 [6] GogoGo3848 22/07/30 3848
165156 [질문] 노트북에서 나무위키가 모바일버전으로 보입니다 [6] 기껏8600 22/07/30 8600
165155 [질문] 최근에 코로나 확진되셨던 분들, 언제쯤 괜찮아집니까? [19] 핑크솔져7672 22/07/30 7672
165154 [질문] 때밀기 정석 아시는분? [1] 살다보니별일이6689 22/07/30 6689
165152 [질문] 서울 여행 코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7] 임화린6753 22/07/30 6753
165151 [질문] 가전구매 질문입니다.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13] 페스티6857 22/07/30 6857
165150 [질문] 게임패드로 즐길만한 게임 추천해주세요 [17] 연애잘합니다7257 22/07/30 7257
165149 [질문] PC견적 추가 질문입니다(예산이 늘었어요) [10] 카오루11415 22/07/30 11415
165148 [질문] 통풍시트 같은 기능의 통풍매트는 없을까요? [10] VictoryFood8510 22/07/30 8510
165147 [질문] 정치 프로 추천해 주실만한 것 있나요? [16] 니체5964 22/07/30 5964
165146 [질문] 생애 첫 낚시 질문 드립니다. [8] 365일7485 22/07/30 7485
165145 [질문] 눈썹은 어떻게 자기 길이를 알고 자라길 멈추나요? [17] 비온날흙비린내9204 22/07/29 920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