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7/20 23:02:26
Name nexon
Subject [질문] 나폴레옹 전쟁은 왜 그렇게 오래 지속된 것인지요..?


안녕하세요

프랑스에서 혁명이 일어나 왕이 처형되고 공화정이 들어서자 유럽은 프랑스를 응징하고 왕정복고를 위한 전쟁을 일으키는데요

이때 뛰어난 군사적 재능을 가진 나폴레옹이 나타나 유럽을 상대로 한 전쟁을 승리로 이끌게 됩니다.

하지만 나폴레옹은 자신에 대한 국민적 인기를 이용해 황제가 됨으로써 정치체제를 왕정으로 되돌려버리는데

프로이센, 영국 등은 더 이상 공화정도 아닌 프랑스를 상대로 20여년이 넘는 전쟁을 계속합니다.


특히 싸울 때마다 지면서도 유럽 국가들은 틈만 나면 대프랑스동맹을 맺고 프랑스를 상대로 전쟁을 계속 반복하는데

엄청난 인적/물적 소모에도 불구하고 더 이상 공화국도 아닌 프랑스와 계속해서 그렇게 싸워야 했던 이유가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띵호와
22/07/20 23:27
수정 아이콘
길게 쓰다가, 저도 사실 잘 모른다는 것을 깨닫고 최대한 짧게 줄여보았습니다.

1. 나폴레옹 즉위 이전부터 이미 나폴레옹과 프랑스는 온갖 만행을 저지르며 어그로를 너무 많이 끌었습니다.
2. 트라팔가르 해전 패배->대륙봉쇄령->뿔난 러시아->러시아 원정->대패!
3. 러시아에서 대육군 다 갈아먹고 나니 이제 프랑스는 '해볼 만한' 나라가 되었습니다. 결국 프로이센 참전으로 몰락의 길을 걷게 됩니다.
하루빨리
22/07/21 00:05
수정 아이콘
단순히 생각해서 다른 유럽국가들은 나폴레옹이 프랑스 왕권을 찬탈한 것이라는 시각 외 다르게 보일 여지가 없었습니다. 유럽 왕족들 입장에선 나폴레옹은 자신들의 친척 땅을 빼앗아서 차지하고 있는 도적인 셈이죠.
류지나
22/07/21 00:53
수정 아이콘
신분제 사회였다는 걸 기억하셔야 합니다. 유럽 왕족들이 보기에 나폴레옹은 천한 코르시카 촌뜨기가 감히 정당한 왕을 내쫒고 황제를 자칭한 무엄한 촌놈이었을 뿐입니다. 심지어 이 콤플렉스는 나폴레옹 본인도 가지고 있었어요. (그래서 나중에 오스트리아 황녀랑 결혼까지 한 거고)

그리고 끝까지 나폴레옹을 괴롭힌 영국은 물론 프랑스의 왕정복고는 명분이었고, 실질적으로는 유럽의 최강국 탄생을 경계하는 영국 특유의 습성 및 식민지와 무역을 놓고 다투는 갈등이 커서 영원히 해소 불가능한 문제였습니다.
22/07/21 08:2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영국이 해양패권을 차지한 이후 기본적인 영국의 대유럽 정책은 유럽 대륙에서의 절대적인 패권국의 형성을 막는것이었는데, 하필이면 그 상대가 인구대국인데다 새로운 자유주의와 민족주의라는 혁명 이데올로기까지 갖춘 거기에 영토도 인접한 프랑스라면 영국 입장에서는 엄청난 위협일 수밖에요. 영국은 상대가 나폴레옹이든 아니든간에 어떻게든 다른 유럽국가들을 지원하면서 프랑스를 몰락시키려 했을겁니다.
나폴레옹 전쟁 이후 러시아와의 그레이트 게임, 독일과의 건함경쟁이 그랬듯이요.
22/07/21 22:45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22/07/23 19:59
수정 아이콘
나폴레옹 전쟁기 전체가, 프랑스가 유럽을 완전히 굴복시키지 못하고 결국 무너지는 일련의 과정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더 세분화해서 보면 영국이 계속 버티고 스페인에서 장기전 형국이 되자, 오스트리아나 프로이센이 찔러보는데 여기선 나폴레옹이 이겼지만 러시아 원정에 실패하고 결국 무너진 거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4997 [질문] 서울에서 정말 맛있는 맥주는 어디서 팔까요? [2] 미뉴잇5276 22/07/24 5276
164996 [질문] [하소연] 인사 불이익(?) 받은거 같습니다. [4] 연애잘합니다6663 22/07/24 6663
164995 [질문] 롤에 비전 켜주는 기능이 있을 때 [45] 묵리이장8986 22/07/23 8986
164994 [질문] 식기세척기 추천 부탁드립니다.! [8] 유니꽃5934 22/07/23 5934
164993 [질문] 버스기사를 준비하는거 괜찮을까요? [38] Lissac11471 22/07/23 11471
164992 [질문] 종량제봉투 딱 맞는 쓰레기통 추천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4] kafka5093 22/07/23 5093
164991 [질문] 간단한 확률 계산 질문입니다. [11] 배려5860 22/07/23 5860
164990 [질문] 시판 스파게티 소스, 조금 더 맛있게 먹고 싶습니다. [30] 약쟁이7010 22/07/23 7010
164989 [질문] 하스스톤, 검귀 오카니 카드 어떻게 받는 건가요? [6] 코기토8486 22/07/23 8486
164988 [질문] 8월말에 전세 만료후에 이민 예정인데...(전세금 반환 관련) [5] 아오이소라카5475 22/07/23 5475
164987 [질문] 최근 몇일 동안 대부분 다른 코인은 잘만 오르는데 GST코인은 힘이 없습니다. [10] 애플댄스4282 22/07/23 4282
164986 [삭제예정] 비가 예정되어있는 날 세차 하시나요? [11] 삭제됨7172 22/07/23 7172
164985 [질문] 낮에 자전거타다 비맞았는데 이미 말랐습니다 다시 씻겨야 할까요 [2] 슈터5048 22/07/22 5048
164984 [질문] 8월 중순쯤 1박2일 놀러갈만한곳 있을까요 [8] JP-pride6423 22/07/22 6423
164983 [질문] 아이폰 13 시리즈 구매 지금 괜찮을까요? [12] 제노스브리드5950 22/07/22 5950
164982 [질문] 고전 만화책을 찾습니다 [3] 깐딩4745 22/07/22 4745
164981 [질문] 롤 1대1 미드빵 강캐 추천부탁드립니다. [17] 럼블11683 22/07/22 11683
164980 [질문] 내 인생 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22] 이리세8910 22/07/22 8910
164979 [질문] 가디언테일즈 뉴비 질문드립니다. [8] About time7346 22/07/22 7346
164978 [질문] 모죽이라는 대나무가 실제로 존재할까요? [4] 잡식토끼5742 22/07/22 5742
164977 [질문] 마사지 직후에 혈압이 믿을만한 수치인지 궁금합니다 [7] 옥동이4021 22/07/22 4021
164976 [삭제예정] 소개팅할때... 주로 어떤대화를 나누나요..? [25] 바람의여행기8288 22/07/22 8288
164975 [삭제예정] 지금 갤럭시(A31)폰 맛이 가신 분 안계신가요? (...) [1] Aiurr5608 22/07/22 560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