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7/18 13:35:00
Name 오렌지망고
Subject [질문] 체지방 감량과 근육 증가의 선후 관련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수정됨)
현재 30대 초반이고 키 174cm에 몸무게 73kg 입니다. 근력 약하고 배만 나왔습니다.

한달쯤 전부터 근력운동(푸쉬업, 스쿼트, 밴드 풀업 메인) + 유산소(러닝, 실내싸이클)을 하면서(근력운동 50분, 유산소 30~40분)

하루에 1800칼로리 정도를 먹고 있습니다. 운동 목표는 근육도 늘리고 살도 빼는 것입니다.

그런데 체지방을 태우는 것과 근육 증가는 병행될수가 없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1. 다이어트를 하려면 하루 사용한 칼로리보다 적게 먹어야함  
2. 근육을 늘리려면 하루 사용한 칼로리보다 더 먹어야함

라더군요. 그래서 우선 근육을 늘리고 지방을 빼는게 좋다는데 저는 지금 칼로리를 적게먹을게 아니라

성인 30대 남성 권장 칼로리가 2500정도 된다고 보면 체중이 늘거나 말거나 하루에 2800칼로리 정도를 섭취하고

다이어트는 나중에 하는게 맞다는 말일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HighlandPark
22/07/18 13:39
수정 아이콘
근성장 자체가 + 에너지이고 다이어트는 - 에너지입니다. 이론상 둘 다 일어날 수 없죠. 물론 운동이 처음인 초보자들에 한해 린매스업이라는 근육량은 증가, 체지방은 다운이라는게 있긴 하지만 트레이너가 달라붙어 도와주지 않는한 힘들고 또 한계가 명확합니다.

정리하자면 몸을 키워 바프라도 찍을 목적이면 벌크업 후 근손실을 감당하면서 다이어트 하는게 일반적인 순서입니다.
오렌지망고
22/07/18 13:45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럼 일단 근육을 키운 후에 다이어트를 해야 한다는 내용이 맞는 거군요... 바프같은건 너무 어려울것 같아서 생각도 안하고 있고 건강과 옷입었을때 태 향상 정도만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추가로 궁금한점이 있는데 질문 한가지만 더 드려도 될까요?

다이어트를 할때 보통 근손실을 막기 위해 근력운동을 병행하라고 하는데, 근력 운동 자체는 근손실을 일으키는 행위이고, 근성장은 충분한 칼로리와 단백질을 먹었을때 회복되면서 일어난다고 알고 있습니다. 벌크업 한 후에 근력운동을 하면서 칼로리를 제한하는 다이어트를 하면 근손실이 더 커지는것 아닌가요? 오히려 운동을 안하고 칼로리만 줄여야 근손실이 덜 일어나는게 아닌지 궁금합니다. 이제 운동시작하면서 너무 이상한걸 생각하는걸까요? ㅜ
HighlandPark
22/07/18 13:56
수정 아이콘
음.. 건강과 옷태 정도 생각하시는거면 그냥 벌크업이고 다이어트고 무시하시고 운동하시면서 현재 드시는 식사에서 단백질 구성을 조금 더 챙기는 정도만 하셔도 충분합니다. 일반인(?) 이면 이정도만 지켜서 밀고나가도 인바디 기준 체지방률 15~20 사이는 어렵지 않게 찍으실 수 있구요. 벌크업이고 다이어트는 일단 이 수치 만들어놓고 그때가서 고민하시면 될 문제라서 아직 생각 안하셔도 됩니다;;
HighlandPark
22/07/18 14:01
수정 아이콘
그리고 다이어트때 근손실을 막기 위해 근력운동이 필요하다는 말은, 우리몸은 근육을 필요 이상으로 만들어놨는데 쓰이지 않으면 (더군다나 - 에너지인 다이어트 상태가 겹쳐지면) 가장 먼저 근육을 분해해서 에너지로 쓰기 시작합니다. 그렇기에 근력운동을 병행해서 근손실을 최소화 하는 정도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chilling
22/07/18 13:50
수정 아이콘
이론적으로는 불가능하다고 일반적으로 얘기하고요. 일반인 헬스 입문자에게는 체지방은 유지하면서 근육량을 늘리는 린매스업을 보통 권하죠. 벌크 업 -> 커팅 방법보다 쉬운 편이고, 성공 확률도 높고, 나중에 중상급자 레벨로 가면 통하지 않으며, 입문자에게만 주어지는 신체적 혜택이거든요.

소위 인바디 측정해서 나오는 체지방률을 낮추려면 절대적인 체지방량을 줄이는 방법이 있고, 체지방량은 최대한 현상태를 유지하면서 체중과 근육량을 늘리는 방법이 있는데, 전자는 다이어트고 후자가 린매스업입니다.

입문자라고 무조건 린매스업 전략이 적합한 건 아니겠지요. 가령 174/93의 스펙이라면 다이어트가 우선이겠죠. 허나 오렌지망고 님처럼 174/73의 평범한 체중에선 린매스업이 적당한 전략이고요.

다만 린매스업을 원한다면 운동 강도나 종류를 가능한 늘릴 필요는 있을 것 같습니다.
담원우승
22/07/18 13:52
수정 아이콘
운동을 하지 않는 것도 근손실의 원인입니다.
문어게임
22/07/18 13:52
수정 아이콘
선수용이에요
그냥 단백질 챙겨먹고 칼로리 낮추고 운동하면 끝이죠
어짜피 통통한 체형이면 지방 받쳐주는 뻥튀기 근육이라
손실되도 상관 없어요
보여지는게 중요하지
Extremism
22/07/18 14:28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입문자여도 근육량 절대 증가 초점 맞추는게 좋다고 생각되서 다이어트모드보다 벌크모드로 더 먹는걸 추천 드리긴하는데 운동을 제대로 하신다면 더 먹는게 힘들어져야하는데 (일상생활+운동으로 인한 에너지 소모로 인해 소화기관이 활발히 일하기 힘들 정도+ 고강도 무산소 웨이트 운동 시 식욕이 자연적으로 떨어지는 호르몬도 분비됨) 대부분 운동 강도는 그리 높지 않아서 저런 호르몬이 나오지도 않고 보상 작용으로 많이 먹기만해서...
먹는 양을 생각하는 것보다 어떻게 운동 강도를 높게 가져갈까를 고민하는게 몸이 빨리 좋아집니다. 당연히 자기 회복력 내에서의 운동강도. 먹는건 자연스럽게 먹되 너무 과하지 않게
The)UnderTaker
22/07/18 14:52
수정 아이콘
입문자면 그냥 적당히 먹으면서 쇠질하는게 낫습니다.
22/07/18 15:0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입문자수준이면 본인이 할수있는선에서 탄단지만 맞춰먹고 열심히 운동하는게 좋은 것 같아요
운동경력이 쌓이다보면 스스로 방향이 보이는듯 합니다.

제대로 운동못하는 상태에서 벌크업한다고 해봐야 살크업만 됩니다
22/07/18 15:06
수정 아이콘
체지방을 태우는 것과 근육 증가는 병행하기 어렵지만, 체지방을 태우며 근손실을 최대한 줄이는 방법은 나름 있습니다.
다만, 새로 뭘 시작하는 입장에서 생각할게 많아지면 그냥 안해버리는 경우가 워낙 많아서... 하나씩 선택과 집중을 하길 권합니다.
전 개인적으로 다이어트가 근성장보다 쉬운 타입이라, 성과가 빨리 보이는 다이어트부터 먼저 해서 탄력 얻고, 근성장은 그 후에 천천히 하는 편입니다.
썬업주세요
22/07/18 18:48
수정 아이콘
벌크업하고 커팅하는건 현실적으로 일반인 수준에선 어렵다고 보구요
174/73이시면 그냥 딱 권장칼로리 드시면서 영양소 구성만 신경써주시고 운동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22/07/18 20: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가 코로나후 올초부터 다시 운동 시작했는데
인바디 남기기 시작한건 10주 전부터라.. 10주전과 2주전 인바디만 봐도 체중1kg정도 감량.. 체지방 2kg감량 골격근1kg증가했네요. 체지방량 11%대까지 내려왔네요.
그 전 인바디 자료를 안 남겨서 좀 아쉽긴한데.. 가능은 합니다.

저는 식단 신경안쓰고, 간식과 야식은 최대한 줄임(사실 못참겠지만 그냥 먹고싶으면 양껏 안먹고 조금 먹는 정도로 타협)
보충제같은건 안먹고요.. 술도 안먹습니다.
운동은 매주 할당량 꾸준히 채우는걸로도 되긴되네요. 유산소 수영 주4회 40분. 근력운동 주3회하다가 벅차서 2회로 줄인상태..

초보시면 이것저것 욕심 많이날텐데 보충제같은거 유혹에 빠지지말구 그저 꾸준히만 하세요. 뭐라도 변화가 오면 거기서 재미를 느끼세요.
벌크업후 다이어트 이런건 너무 장기적이구 거창한 계획입니다. 작게 꾸준히만 하셔도 변화는 옵니다.
iPhoneXX
22/07/19 07:58
수정 아이콘
헬스장 인바디는 정확도도 떨어져서 너무 신뢰하지 마시고..선수들 보시면 인바디보다 더 열심히 하는데 눈바디입니다. 물론 초보자들은 눈바디 티가 안나지만 꾸준히 하시면 눈에 나타날꺼예요. 잘 드시고 점진적 과부하, 요즘은 유튜브 보면 좋은 프로그램도 많이 공유하니 잘 참고 하시고..
헬스는 중요한게 시간 태우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그만큼 효율적으로 좋은 자세에서 부하를 잘 받게 하는게 정말 중요합니다. 헬스장 보면 엉터리 자세로 수개월 열심히 하고 티 안나는 분들 많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7995 [질문] 다이어트 관련 질문입니다. [15] 밀로세비치7181 22/12/23 7181
167970 [삭제예정] 마른비만 탈출 조언 부탁드립니다. [2] Rays7103 22/12/21 7103
167228 [질문] 코로나 자가격리 팁 구합니다 [25] 일신7599 22/11/13 7599
166938 [질문] 이런 다이어트 방법으로 성공한 일반인도 있나요? [38] Pika489561 22/10/31 9561
165851 [질문] 먹토에 좋은 치료법이 있을까요 [5] 파건10149 22/09/04 10149
165644 [질문] 부부 다이어트 갈등 관련 고민 입니다. [22] 시오냥10587 22/08/24 10587
165061 [질문] 남성 복부 비만에 대한 질문입니다 [7] Lord Be Goja6113 22/07/26 6113
164899 [질문] 체지방 감량과 근육 증가의 선후 관련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14] 오렌지망고6510 22/07/18 6510
164886 [질문] 다이어트할 때 칼로리 제한 질문드립니다 [9] 멋진신세계5361 22/07/17 5361
164787 [질문] 이미 체지방률이 높은데 운동은 계속 하고 있는 경우...? [17] 호아킨6105 22/07/12 6105
164773 [질문] 다이어트 탈모는 어떻게 하나요? [32] 담담5085 22/07/11 5085
164755 [질문] 씨리얼(맛있는거) 추천해주세요 [15] 귀여운 고양이5095 22/07/10 5095
164602 [질문] 아몬드브리즈 vs 어메이징오트 [7] 쿨럭5129 22/07/03 5129
163647 [질문] 오래달리기랑 인터벌달리기? 운동효과 차이 아시는분 계신가요? [10] 레너블7618 22/05/17 7618
163539 [질문] 저탄고지에 대해 여쭙니다. [45] todTmfprl4918 22/05/12 4918
163528 [질문] 견적 질문입니다 (2080ti) [7] Beemo2916 22/05/11 2916
163347 [질문] 살빼는데 하루에 계단오르기/사이클/러닝머신 얼마나 해야 될까요? [18] 블랙리스트5363 22/05/02 5363
163232 [질문] 자전거 구매 고민 중입니다. [5] 시행착오 합격생3635 22/04/26 3635
163178 [질문] 다이어트시작인데 궁금한게있습니다. [8] 방탄노년단3983 22/04/23 3983
162949 [질문] 당뇨, 운동, 혈당, 게토레이 질문입니다. [9] 엔지니어4762 22/04/13 4762
162667 [질문] 셀룰라이트는 다이어트 하면 사라지는 걸까요?? [3] 회색사과4113 22/03/30 4113
162489 [질문] 맛있는 냉동 닭가슴살을 찾고 있습니다 [10] 회전목마5014 22/03/21 5014
162479 [질문] 집에서 편하게 먹을만한 식사 대용품이 뭐가 있을까요? [16] 잉차잉차3628 22/03/21 362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