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7/18 08:36:37
Name 분당선
Subject [질문] 퇴사통보를 했는데 왠지 예감이 좋지 않습니다
저는 인원 5명의 작은 스타트업을 다니고 있습니다
입사한지는 6개월 됐고요
지난주 목요일에 퇴사통보를 했는데 왠지 여러 정황들이 이거 좀 더럽게 갈지도 모르겠습니다.
맘떠나서 회사 떠나려는 사람을 이런저런 이유로 괴롭히려고 하는  느낌을 받습니다.(퇴사를 쉽게 시켜줄것 같지가 않음)
내용 하나하나 다 말하기엔 좀 지리멸렬하고요.

이제부터 저는 어떤 태세를 취하는게 좋을까요
좀 맘이 답답해지네요
이직할 곳에서는 저를 기다리고 있는 상황인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문어게임
22/07/18 08:41
수정 아이콘
걍 제끼면 되죠
비오는월요일
22/07/18 08:43
수정 아이콘
1년도 안다니셨으니 퇴직금도 없고 연차도 없고 이직도 결정되셨는데 고민할게 있나요.
귀찮게 굴면 저 내일부터 못나옵니다 하고 끝이죠.
그말싫
22/07/18 08:45
수정 아이콘
지리멸렬한 걸 안 알려주시면 딱히 제삼자가 할 말이 없습니다.
나갈 사람이니 쌀쌀 맞게 굴거나 갑자기 과도한 업무 주는 등 괴롭히는 거면 뭐 그냥 마지막 날까지 적당히 버티다 나가면 그만이고요.
혹 뭐 회사에 피해 끼치신게 있어서 그걸로 걸고 넘어질 거 같다거나 하면 그건 알아서 수습하셔야겠죠.
분당선
22/07/18 08:49
수정 아이콘
다행히 둘 다 해당되지는 않습니다
조금 구체적인 이야기를 해보자면
저는 빨리 퇴사하고 싶은 입장이고
대표는 프로젝트 마무리까지 잘 해달라는 입장인데 프로젝트가 그리 중하지도 않고 같이 업무하던 옆자리 기획자가 있어서(옆에 앉은 분이랑은 다 이야기 됐고 저를 응원해줍니다) 그닥 걱정되는 부분이 아닌데.. 뭐 암튼 이건 제 개인적인 의견이니까요.
아무튼 조언 감사합니다
22/07/18 09:30
수정 아이콘
그러면 뭐가 고민이신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냥 통보하고 한 달후에 나오시면 됩니다. 회사는 임직원이 퇴사의사를 밝혔으면 정말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는한 한 달내로 내보내야 합니다. 정 회사가 구린짓을 할것 같으면 사직서를 확실히 문서상으로 쓰시고 제출하고 퇴직의사를 밝혔다는 일종의 증거 같은걸 남겨 놓으시면 됩니다. 녹취, 톡화녹음, 문자 등등 제일 무난한건 대표 퇴근하고 사직서 올려놓고 문자로 '많이 고민해봤지만 결국 퇴사하는 것으로 결심했습니다. 사직서는 대표님 책상에 오려두었습니다.' 하고 한 달 후 에 나오면 끝입니다.
그동안 책잡이지 않을 정도로 근퇴 하고 인수인계 문서로 잘 정리하고 인계자가 있으면 설명해주고 없으면 정리한 경로 알려주고 나오면 끝입니다.
도라지
22/07/18 09:30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것으로만 판단하자면, 거의 대부분의 회사에서 퇴사한다고 하면 나오는 반응 같은데요.
루카쿠
22/07/18 14:37
수정 아이콘
제가 볼 땐 본인이 뭔가 미안한 마음이 들어서는 아닌가요? 스타트업 회사에 6개월 있다 나가는 걸 언급한 것도 그렇고요. 제가 대표여도 마지막 프로젝트는 잘 부탁한다 정도는 말할 수 있다고 봅니다. 그게 괴롭히는 거라 생각하신다면.. 그 외에 무언가 일이 더 있는 거겠죠? 다만, 6개월 일하고 나가는 사람을 좋게 볼 회사는 없을 거예요. 어느 회사든 장기근속자를 원하니까요. 어쨌든 아니다 싶은 마음으 드셨으니 이직을 결심한 거일 테고, 회사는 분당선님이 아닌 오래 일할 직원을 찾는 게 맞죠. 혹여나 미안한 마음 드셔도 냉정하게 끝내시길..
22/07/18 08:53
수정 아이콘
뽑는건 회사마음이고
나가는건 직원마음이에요.
22/07/18 08:55
수정 아이콘
혹시 어떤 잘못된 결과가 있을까봐 걱정하는 마음이 드신다면 하나를 꼭 기억하셔야할것이
퇴사를 결정한 시점에서 깔끔하게 손 놓는 것이 서로에게 도움이 됩니다. (보통 사측에서 그걸 잘 몰라요.)
나막신
22/07/18 09:02
수정 아이콘
6개월이면 퇴직금도 없는데 막말로 통보후 안나가셔도.. 무단결근처리해도 뭐 깎일게 딱히 없어요
죽전역신세계
22/07/18 09:03
수정 아이콘
그냥 감정섞지 마시고 말도 섞지 마시고, 인수인계서 작성해두고 한달뒤 나가시면 됩니다.
Je ne sais quoi
22/07/18 09:08
수정 아이콘
퇴사는 나가는 사람이 이야기하면 되는거고 법적으로는 한달 기다리는 기간이나, 승인이 필요하지도 않습니다. 다만 여러가지 정리하는 절차나 그 외 법적인 처리, 그리고 서로 좋게 끝내기 위해서(업계가 좁을 수록 오히려 이게 중요) 유예기간을 둘 뿐입니다.
나이로비
22/07/18 09:14
수정 아이콘
취업시 담보로 회사에 맡겨 둔 동산, 부동산, 인질 같은게 있으신가요?
걱정하는 이유를 모르겟네요
하늘이어두워
22/07/18 09:23
수정 아이콘
깔끔하게 인수인계서 쓰시고 나가시면됩니다
상실신고역시 본인이 하실수 있어요
알카이드
22/07/18 09:23
수정 아이콘
그 상황에서 제일 깔끔하게 나가는건.. 사직서 제출후, 퇴사일정 안잡아주면, 우체국가셔서 내용증명으로 사직서 제출하시면 됩니다.
1개월정도의 인수인계 기간을 지키면 회사에 걸릴 껀수는 없습니다.
인생을살아주세요
22/07/18 09:31
수정 아이콘
굳이 걱정되신다면 이직처나 이직사유 등 발설 안하시고, 말조심 행동조심만 잘하시면 되지 않을까 싶어요. 저는 예전에 한 회사 그만둘 때, 사장님이 주변 직원 한명한명 불러서 저 어디로 이직하는지 아냐고 캐내고, 인터넷에 제 프로필 조사하더라고요. 동종업계 취직하면 소송 건다느니, 어디가서 뭘?하든 자긴 다 알아낼 수 있다는 등... 근데 퇴사하고 잘 이직해서 잘 먹고 잘 살고 있습니다. 퇴사하면 어차피 볼일 없으니 크게 신경쓰지 마세요.
22/07/18 09:33
수정 아이콘
프로젝트 관련해서 대체자 안구해진다 피해액 손해청구할거다 등등 진상인곳은 항상있죠
노무사에게 물어봤던 경험으로는 딱히 사측에서 할수있었던게 없었습니다
퇴사의사를 밝힌 메일이나 문자는 꼭 저장해두시구요
22/07/18 09:34
수정 아이콘
특별히 약점 잡힌 거 없으면 그냥 다음날 잠적하셔도 별 일 생기기 힘듭니다.
입으실 피해의 최대치라고 해도 업계가 좁으면 쓸데없는 나쁜 소문이 난다 정도인데, 이미 이직처 구해진 상황에서 그렇게 크리티컬하기도 어렵구요.
리얼월드
22/07/18 09:38
수정 아이콘
대표는 프로젝트 마무리까지 잘 해달라는 입장인데 --> 지극히 정상적인 반응 같은데요;;;
하던일은 마무리 잘 하고 나가주세요 괴롭히려는 것처럼 느끼신다면
어떤 반응을 기대하셨던 건지 궁금합니다.
22/07/18 10:18
수정 아이콘
저도 뭐가 문제인지 글만으론 모르겠습니다.
어떤 반응을 기대하신건지...나간다고 말하면 어 그래요 나가오지 마세요를 원하신건가요.
저라면 저렇게 반응하면 내가 필요가 없었나? 라고 생각할것 같아요.
과정중에 서로 언쟁이 오간게 아니라면 마무리까지 잘 해달라는건 관리자로써 자기팀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반응 같습니다.
그게 싫으면 다시 확실하게 의사 밝히는거죠.
22/07/18 10:21
수정 아이콘
글하고 댓글만 봐선 뭐가 문제인지 하나도 모르겠는데요..

그냥 무난한 회사들이 마무리 잘 하고 나가달라고 하지 않나요?.. 이게 뭐가 문제된다는건지;;
분당선
22/07/18 10:33
수정 아이콘
[모두 답변 감사합니다]
에피소드가 두어건 있긴한데 내용들을 모두 다 적지 못했네요. 잘 마무리하겠습니다!!
22/07/19 17:19
수정 아이콘
이미 결심하신 것 같아 답변하는건 크게 의미 없는 것 같고... 응원이나..
화이팅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4943 [질문] 롯데리아가 버거 업계 5위인가요? [2] 及時雨6566 22/07/21 6566
164942 [질문] 선크림의 자외선차단 지수 궁금증(feat. 돼지껍데기) [3] 화호5033 22/07/21 5033
164941 [질문] 거제 교통이 궁금합니다 [8] 늅늅이6461 22/07/20 6461
164940 [질문] 명왕성에서 otp 써도 정상 작동 하나요? [13] 구미나5865 22/07/20 5865
164939 [질문] 기존 워크래프트3 설치는 어디서 하나요? [2] 모찌피치모찌피치6396 22/07/20 6396
164938 [질문] 나폴레옹 전쟁은 왜 그렇게 오래 지속된 것인지요..? [6] nexon7816 22/07/20 7816
164937 [질문] 적금통장 만기 되고 한 3년? 안 찾았는데요 [9] 교대가즈아5895 22/07/20 5895
164936 [질문] 세금계산서 오발행 질문입니다. (회계?) [5] 테네브리움4792 22/07/20 4792
164935 [질문] 교육과정에 필수로 들어가면 좋겠다 싶은 내용이 있으신가요? [30] 물뿔소9128 22/07/20 9128
164934 [질문] PC를 교체하려는데, 기존 제품 재활용 관련 질문드립니다 [9] 피카츄볼트태클5703 22/07/20 5703
164933 [질문] 휴테크 안마의자 카이 RE7, 세라젬 파우제 M2 질문입니다. [1] 찬양자6367 22/07/20 6367
164932 [질문] 요즘 왜 자작프로젝터가 없나요? [3] 깐부6899 22/07/20 6899
164931 [삭제예정] 공동명의의 집을 한명의 명의자만 바꿀 수 있나요? [9] 삭제됨7074 22/07/20 7074
164930 [질문] 온가족 코로나 확진 시 격리 [6] 시행착오 합격생8483 22/07/20 8483
164929 [질문] 만화책 할인 질문입니다. [4] 찬양자4240 22/07/20 4240
164928 [질문] 거북목 일자목 관련 근육운동 질문입니다. 너무 의견이 분분해서... [16] 기술적트레이더8301 22/07/20 8301
164927 [질문] 친구 장례식 관련 [9] Extraordinary7052 22/07/20 7052
164926 [질문] 일요일 여의도 콘래드 2시쯔음 로비 라운지 붐빌까요? [3] 기다리다4877 22/07/19 4877
164925 [질문] 싱크대는 왜 스테인레스일까요? 다른 재질도 존재하나요?(세라믹은?) [18] 세바준8246 22/07/19 8246
164924 [질문] 전세 대출이 안나와 갱신 실패후 이사날짜 통보 당하면? [42] 별빛다넬9285 22/07/19 9285
164923 [질문] 풀업 질문입니다 [10] 뵈미우스6074 22/07/19 6074
164922 [질문] 노이즈캔슬 유선 이어폰 추천 부탁드립니다! [3] 아지노스6972 22/07/19 6972
164921 [질문] 5800x vs 12600k ? [8] 인간흑인대머리남캐8193 22/07/19 819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