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7/15 15:29:05
Name peongun
Subject [질문] 신축 아파트 구매관련 질문드립니다
집넓혀서 이사를 위해 공부 중인데 잘 모르겠어서 질문 드려요

멍청한 질문 같아도 이해 부탁드립니다.

현재상황은 1주택자 3인가족입니다. 대출금 털고 현금을 조금 보유하고 있는데요.
가급적 리스크는 피하면서 신축으로 생각중인데 이것저것 알아보다가 제가 이해한게 맞는지 질문드립니다.

1. 전매제한 5년 이렇게 되어있는 단지는 일부 조합원 물량을 프리미엄을 주고 구매하는 방법 외에는 완공후 5년간은 거래불가인가요.

2. 가점청약은 사실상 어렵다고 보고, 관리처분인가가 끝난 조합원 물량을 프리미엄을 주고 구매하거나
일반분양 중 추첨물량을 시도하는 방법뿐인건가요

3. 자금 운용은 현재 집 담보대출+현금으로 분양계약금+중도금+(프리미엄)을 지불하고
최종 잔금시점에 맞춰 집매매해서 담보대출+잔금을 정리하면 되는 흐름인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7/15 15:41
수정 아이콘
1. 맞습니다

전매제한 5년 = 그 집의 소유주가 된 뒤로 5년간 팔 수 없다.
분양받은 사람은 '등기치면서 소유주'가 되기 때문에.. 완공 이후 5년이지만

조합원은 원 주인이라서..


2. 집을 살때
부동산 상승기는 청약이 안되기 때문에 집을 사는게 쉽다면
하락기는 미분양이 나오기 시작해서 청약이 더 쉬울수도 있습니다.. 방향이 하락기로 갈 것 같다고 하면 청약들부터 미분양이 나올거에요.
가점으로 못싸운다면 추첨 줍줍밖에 없는건 맞습니다.

3. 자금 운용은 어떤걸 사느냐에.. 따라 천차만별이라 좀 어렵네요..
(중도금을 안내고 이자만 내다가 잔금을 한번에 치루는 방법부터 해서.. 케이스가 여러가지라..)
22/07/15 15:59
수정 아이콘
상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추첨 줍줍을 노려봐야겠네요
몽키매직
22/07/15 15:49
수정 아이콘
지역에 따라 다른데 하락기에는 미분양 나오기 때문에 청약이나 일반분양 기회가 있을 수 있습니다.
지역별 수요 / 공급 예정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이건 지역 부동산중개인에게 상담 받아보시는 게 추이를 파악하기 좋으실 겁니다.
22/07/15 15:59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드립니다~ 부동산도 한번 가봐야겠네요
죽전역신세계
22/07/15 16:09
수정 아이콘
지역이 어디신지 모르겠습니다만.. 요즘 청약경쟁률 낮아지고 있어서.. 기다렸다가 주택처분조건으로 1순위 넣어보시는게 좋지 않을까 하네요..
22/07/16 20:41
수정 아이콘
지역이 어디신지요

투과지역이시면 청약은 1주택 처분조건으로 넣는 경우인데
일반적으로 힘들지만
공포분위기면 경쟁률 낮은 곳도 나올지도 모르니까요
22/07/16 21:28
수정 아이콘
서울입니다 1주택처분조건은 생각못하고있었네요
22/07/16 23:33
수정 아이콘
서울이면 거의 무주택 고가점자가 아닌 이상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집값이 아무리 조정장에 들어서도
청약으로 나오는 분양가는 주변시세보다 저렴하게 나오기 때문에
경쟁률은 어느정도 나올테고

서울은 투과지역
84타입까지는 올 가점제에 무주택우선.
85초과에서 추첨제 물량을 노려볼때도 무주택 우선-1주택처분조건 순서로 가기 때문에요.

이번에 청약제도를 손 볼수도 있으니
투과지역이더라도 가점제와 추첨제 비율조정이 이루어지거나 다른 제도가 바뀌는지 한번 살펴보시는게 좋을듯요.


1주택자가 서울 신축을 노리기에는
본문에 기재하신대로 입주권을 사거나
입주장때 조합원 물건 사는경우가 현실적이긴 합니다

잘 모르는 지나가는 1인입니다 흐흐 좋은 집 구하시길!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4905 [질문] 유튜브 컨텐츠 규정 [4] 망개떡6943 22/07/18 6943
164904 [삭제예정] 스카웃 제의를 받았습니다. [9] 삭제됨7569 22/07/18 7569
164903 [삭제예정] (사회생활) 말을 옮기며 이간질을 하는 인간을 대처할 때 [8] 삭제됨6820 22/07/18 6820
164902 [질문] 크로스핏 할만한가요? [34] 비온날흙비린내8379 22/07/18 8379
164901 [질문] 연세대학교에 굿즈샵이 있나요…? [21] 비싼치킨8350 22/07/18 8350
164900 [질문] 골린이인데, 드라이버채 브랜드 질문입니다. [13] LG의심장박용택4618 22/07/18 4618
164899 [질문] 체지방 감량과 근육 증가의 선후 관련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14] 오렌지망고8036 22/07/18 8036
164898 [질문] 영화 저렴하게 예매하는 방법이 있나요?(통신사 할인 제외) [8] 유유할때유6342 22/07/18 6342
164897 [질문] 남녀둘이 서해쪽 뚜벅이로 갈만한 여행지 있을까요? [3] 푸끆이4769 22/07/18 4769
164896 [질문] 작가, 감독의 의도나 장치가 없는데 독자나 대중의 자의적해석 [3] 미요아부지4637 22/07/18 4637
164895 [질문] 근육량을 늘리지 못하는 웨이트는 효과가 있나요? [25] 호아킨9544 22/07/18 9544
164894 [질문] 무선 이어폰이랑 태플릿 추천부탁드려요. [7] 원장4736 22/07/18 4736
164893 [질문] 전입신고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3] 42년모솔탈출한다5234 22/07/18 5234
164892 [삭제예정] 높은(?) 분들과 면담 시 할만한 이야기 [14] 새벽바람7396 22/07/18 7396
164891 [질문] 탑건질문입니다. [8] 교자만두3554 22/07/18 3554
164890 [질문] 퇴사통보를 했는데 왠지 예감이 좋지 않습니다 [23] 분당선10200 22/07/18 10200
164888 [질문] 전세계적으로 아프리카 대륙에 기부한 총 기부금액을 알수 있을까요? [1] 나를찾아서8524 22/07/18 8524
164887 [삭제예정] 연봉 깍고 이직 괜찮을까요?? [38] 모어모어8979 22/07/18 8979
164886 [질문] 다이어트할 때 칼로리 제한 질문드립니다 [9] 멋진신세계6953 22/07/17 6953
164885 [질문] 고속도로 국도 어떤게 돈이 많이 드나요 [12] 두억시니7254 22/07/17 7254
164884 [질문] 제주도 여행을 하는데 꼭 해봐야 하는것 추천 부탁드립니다. [19] 마다오7588 22/07/17 7588
164883 [질문] PC방에 로봇이 서빙해주는 곳은 어떻게 찾을 수 있나요? [4] 타츠야5458 22/07/17 5458
164882 [질문] 종합비타민 이나 영양제 추천 부탁드립니다. [4] -Aka4994 22/07/17 499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