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7/13 14:21:37
Name 아이유_밤편지
Subject [질문] 1가구 3주택이 받는 불이익이 있을까요?
어머님명의의 주택 1억
아버지 명의 아파트 약 3억
이 있는 상태이고,

시골집 돌아가신 할아버지의 명의로 된집 8천만원 을 어머니앞으로 명의이전을 하려고 합니다.

이렇게되면 이제 1가구 3주택이 되어버리는데, 1가구2주택은 뭐 이런저런 비과세니 하는걸 검색해봐서 알겠는데
3주택에 관한건 나와있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위에 있듯이 1가구 3주택을 가져가게 되었을때 받을수있는 불이익, 혹은 세금폭탄같은게 혹시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his-Plus
22/07/13 14:24
수정 아이콘
자잘한 건 있을 수 있는데 굵직한(종부세 등) 건 없을 것 같네요.
그래도 지식in같은 곳에 더 정확한 정보를 추가해서 물어보는 게 좋습니다.
(조정지역이라던가)
아이유_밤편지
22/07/13 14:33
수정 아이콘
댓글 감사합니다.
일단 현재 갖고있는 2주택은 조정지역이고, 받을 시골집은 아예 시골입니다. 감사합니다
22/07/13 14:26
수정 아이콘
3주택 부터는 현시점 기준 이 나라에서 범죄자 취급을 하고 있긴 한데요.
가액들이 낮고, 아마도 비규제 지역들이실거 같아서 크게 체감하실 규제는 없으실거 같습니다

3주택일때 받는 세금 규제는 신규 주택 취득시 취득세 12% 중과, 종부세 중과세율 적용, 양도세 +30% 중과(23.5월까지 유예중) 등이 있습니다
이 외에 대출 규제, 청약 규제 등이 있습니다
22/07/13 14:28
수정 아이콘
첨언하면 3주택 부터는 조정지역 여부와 상관없이 종부세 다주택 중과, 취득세 12% 중과가 들어갑니다
세개다 비조정이더라도 상기 규제는 적용이 됩니다

다만, 종부세는 보유주택 합산 공시가격이 6억 이상일때부터 적용이라 걱정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만일 신규로 주택을 취득 하신다면 취득세 12%는 내셔야 합니다
아이유_밤편지
22/07/13 14:34
수정 아이콘
댓글 감사합니다.

현재 소유하고 있는 2주택은 충북지역에 조정지역입니다.
명의이전을 하게될 시골집은 아예 지명도 모르는 정도의 시골지역 입니다.

어머니 아버지 말고 1주택인 제 명의로 받는다고 한다면 그냥 1가구2주택만 되고 별다른 문제될건 없다고 보면 될런지요
22/07/13 14:40
수정 아이콘
아이유님께서 세대분리가 되어 있으시다면 부모님은 2주택이 되시겠죠 다만 조정지역에서는 2주택도 대부분의 규제가 다주택으로 다 적용 됩니다
큰 실익은 없을거 같습니다

다만 아이유 님께서 현재 무주택이시고, 시골주택을 받는 경우에는 무주택 조건이 깨지면서 앞으로 청약이나 주택을 사려고 할때 받는 대출이나 취득세 등 여러 혜택이 다 날아갑니다

그냥 부모님이 받으시는게 나아 보입니다

추가로 상세한건 세무사와 상담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부모님의 보유주택 매도 계획 등을 따져봐야 정확한 판단이 가능할것 같습니다
22/07/13 14:43
수정 아이콘
아 1주택이라고 써주셨군요
이 경우에도 이미 다주택이신 부모님이 3주택이 되었을 경우보다, 아이유님이 1주택에서 2주택이 됨으로서 포기해야 될게 훨씬 클것 같습니다 (대표적으로 양도세 비과세...)
아이유_밤편지
22/07/13 19:49
수정 아이콘
댓글 매우감사드립니다!
절대불멸마수
22/07/14 11:08
수정 아이콘
1가구 3주택에서 가장 차이가 큰 부분이 양도소득세일 것 같습니다.
처분할 때, (판가격-산가격=양도이익) 에 대해서 발생하는 세금.

다만, 1억 이하 주택은 소형주택에 해당해서 양도소득세에 관해서는 주택수로 세지 않습니다.

그래서 양도세 영향은 무시.

이외에는 종합부동산세 / 재산세 영향있을텐데,
글에 명시되어있는 1억 /3억 주택 이외에 토지가 더 있는게 아니면, 껌값수준에 불과할테니 무시하셔도됩니다.

잘 모르는 분야인데, 혹시나 주택이 농가주택이라면 농지법관련된 규제가 있을까 걱정되니 한번 확인해보셔야겠습니다.
아이유_밤편지
22/07/14 13:22
수정 아이콘
댓글 감사합니다.
이번에 3번째 집이 되는 주택은 농가주택이 아닙니다.

저도 글을 쓰면서 궁금했던게 뭐였는지 정리가 잘 안되었었는데 댓글들 보면서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궁금했던것이,
1주택자가 2주택자가 되는것 vs 2주택자가 3주택자가 되는것 중에 손해가 덜한것이 어떤것인가 였는데, 저도 이부분에대해서 무지하다보니 글을 너무 어렵게 쓴것같았는데 이렇게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4863 [질문] 이사왔는데 가스렌지 후드가 안켜지는데요 [7] 티맥타임6677 22/07/16 6677
164862 [삭제예정] 여자친구와의 스킨십이 부담스럽습니다 [22] 삭제됨10078 22/07/16 10078
164861 [질문] 유니클로 에어리즘 질문입니다. [22] 소이밀크러버12620 22/07/16 12620
164860 [질문] 포켓몬 스위치 아르세우스 초등학교 3학년이 할수 있을까요? [8] 이쥴레이5315 22/07/16 5315
164858 [질문] 국방 산업 관련하여 [4] 삭제됨5049 22/07/16 5049
164857 [질문] 드라마 시그널 찐팬분들 OST 관련 질문 있습니다! 안다리엘6642 22/07/15 6642
164856 [질문] 내일 집회있다는데 강남도 영향 있을까요? [11] 피를마시는새6912 22/07/15 6912
164855 [질문] 부모님에게 1억 빌리고 갚는 거 법적으로 문제 없나요? [22] This-Plus15577 22/07/15 15577
164854 [질문] 공산주의가 없었어도 수정자본주의는 도래했을까요? [8] 아스라이6536 22/07/15 6536
164853 [질문] 예금 해지후 재가입하는게 이득일까요? [3] 쇄빙5415 22/07/15 5415
164852 [질문] 영화나 드라마 중에 딴 작품 캐릭터가 나오는 경우 [11] 소믈리에5439 22/07/15 5439
164851 [질문] 폰을 바꿨는데, 네이버 로그인이 안되는 문제에 처해 있습니다. [5] 기술적트레이더6055 22/07/15 6055
164850 [질문] 신축 아파트 구매관련 질문드립니다 [8] peongun6479 22/07/15 6479
164849 [질문] 수목장에 대해서 아시는분 계신가요? [3] 정회원4054 22/07/15 4054
164848 [질문] 위스키 두개 중에 한개만 골라주십쇼! [15] 핸드레이크4834 22/07/15 4834
164847 [질문] 예전 아이폰 질문입니다. [2] DreamReaver3222 22/07/15 3222
164846 [질문] 유승준이 공익 갔었으면 지금 어느급일까요? [54] 깐부9146 22/07/15 9146
164845 [삭제예정] 제가 직접 만들어 써본 아프리카 게임 방송 공지사항입니다. [27] 삭제됨6943 22/07/15 6943
164844 [질문] cpu 교체시기가 온 걸까요? [8] StondColdSaidSo6707 22/07/15 6707
164843 [삭제예정] [결혼] 이바지음식 이라는거 들어보셨나요? [48] 삭제됨7474 22/07/15 7474
164842 [질문] 왕복 거리 15km 자전거 추천 부탁드립니다. [13] The Normal One5523 22/07/15 5523
164841 [질문] 노트북 선택&추천 부탁드려요! [11] Aiurr6888 22/07/14 6888
164840 [질문] 요새 편의점에서 우유속에 어쩌구 시리즈 안 보입니다 [12] ComeAgain4873 22/07/14 487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