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7/13 14:21:37
Name 아이유_밤편지
Subject [질문] 1가구 3주택이 받는 불이익이 있을까요?
어머님명의의 주택 1억
아버지 명의 아파트 약 3억
이 있는 상태이고,

시골집 돌아가신 할아버지의 명의로 된집 8천만원 을 어머니앞으로 명의이전을 하려고 합니다.

이렇게되면 이제 1가구 3주택이 되어버리는데, 1가구2주택은 뭐 이런저런 비과세니 하는걸 검색해봐서 알겠는데
3주택에 관한건 나와있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위에 있듯이 1가구 3주택을 가져가게 되었을때 받을수있는 불이익, 혹은 세금폭탄같은게 혹시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his-Plus
22/07/13 14:24
수정 아이콘
자잘한 건 있을 수 있는데 굵직한(종부세 등) 건 없을 것 같네요.
그래도 지식in같은 곳에 더 정확한 정보를 추가해서 물어보는 게 좋습니다.
(조정지역이라던가)
아이유_밤편지
22/07/13 14:33
수정 아이콘
댓글 감사합니다.
일단 현재 갖고있는 2주택은 조정지역이고, 받을 시골집은 아예 시골입니다. 감사합니다
22/07/13 14:26
수정 아이콘
3주택 부터는 현시점 기준 이 나라에서 범죄자 취급을 하고 있긴 한데요.
가액들이 낮고, 아마도 비규제 지역들이실거 같아서 크게 체감하실 규제는 없으실거 같습니다

3주택일때 받는 세금 규제는 신규 주택 취득시 취득세 12% 중과, 종부세 중과세율 적용, 양도세 +30% 중과(23.5월까지 유예중) 등이 있습니다
이 외에 대출 규제, 청약 규제 등이 있습니다
22/07/13 14:28
수정 아이콘
첨언하면 3주택 부터는 조정지역 여부와 상관없이 종부세 다주택 중과, 취득세 12% 중과가 들어갑니다
세개다 비조정이더라도 상기 규제는 적용이 됩니다

다만, 종부세는 보유주택 합산 공시가격이 6억 이상일때부터 적용이라 걱정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만일 신규로 주택을 취득 하신다면 취득세 12%는 내셔야 합니다
아이유_밤편지
22/07/13 14:34
수정 아이콘
댓글 감사합니다.

현재 소유하고 있는 2주택은 충북지역에 조정지역입니다.
명의이전을 하게될 시골집은 아예 지명도 모르는 정도의 시골지역 입니다.

어머니 아버지 말고 1주택인 제 명의로 받는다고 한다면 그냥 1가구2주택만 되고 별다른 문제될건 없다고 보면 될런지요
22/07/13 14:40
수정 아이콘
아이유님께서 세대분리가 되어 있으시다면 부모님은 2주택이 되시겠죠 다만 조정지역에서는 2주택도 대부분의 규제가 다주택으로 다 적용 됩니다
큰 실익은 없을거 같습니다

다만 아이유 님께서 현재 무주택이시고, 시골주택을 받는 경우에는 무주택 조건이 깨지면서 앞으로 청약이나 주택을 사려고 할때 받는 대출이나 취득세 등 여러 혜택이 다 날아갑니다

그냥 부모님이 받으시는게 나아 보입니다

추가로 상세한건 세무사와 상담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부모님의 보유주택 매도 계획 등을 따져봐야 정확한 판단이 가능할것 같습니다
22/07/13 14:43
수정 아이콘
아 1주택이라고 써주셨군요
이 경우에도 이미 다주택이신 부모님이 3주택이 되었을 경우보다, 아이유님이 1주택에서 2주택이 됨으로서 포기해야 될게 훨씬 클것 같습니다 (대표적으로 양도세 비과세...)
아이유_밤편지
22/07/13 19:49
수정 아이콘
댓글 매우감사드립니다!
절대불멸마수
22/07/14 11:08
수정 아이콘
1가구 3주택에서 가장 차이가 큰 부분이 양도소득세일 것 같습니다.
처분할 때, (판가격-산가격=양도이익) 에 대해서 발생하는 세금.

다만, 1억 이하 주택은 소형주택에 해당해서 양도소득세에 관해서는 주택수로 세지 않습니다.

그래서 양도세 영향은 무시.

이외에는 종합부동산세 / 재산세 영향있을텐데,
글에 명시되어있는 1억 /3억 주택 이외에 토지가 더 있는게 아니면, 껌값수준에 불과할테니 무시하셔도됩니다.

잘 모르는 분야인데, 혹시나 주택이 농가주택이라면 농지법관련된 규제가 있을까 걱정되니 한번 확인해보셔야겠습니다.
아이유_밤편지
22/07/14 13:22
수정 아이콘
댓글 감사합니다.
이번에 3번째 집이 되는 주택은 농가주택이 아닙니다.

저도 글을 쓰면서 궁금했던게 뭐였는지 정리가 잘 안되었었는데 댓글들 보면서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궁금했던것이,
1주택자가 2주택자가 되는것 vs 2주택자가 3주택자가 되는것 중에 손해가 덜한것이 어떤것인가 였는데, 저도 이부분에대해서 무지하다보니 글을 너무 어렵게 쓴것같았는데 이렇게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4893 [질문] 전입신고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3] 42년모솔탈출한다5232 22/07/18 5232
164892 [삭제예정] 높은(?) 분들과 면담 시 할만한 이야기 [14] 새벽바람7391 22/07/18 7391
164891 [질문] 탑건질문입니다. [8] 교자만두3550 22/07/18 3550
164890 [질문] 퇴사통보를 했는데 왠지 예감이 좋지 않습니다 [23] 분당선10185 22/07/18 10185
164888 [질문] 전세계적으로 아프리카 대륙에 기부한 총 기부금액을 알수 있을까요? [1] 나를찾아서8517 22/07/18 8517
164887 [삭제예정] 연봉 깍고 이직 괜찮을까요?? [38] 모어모어8975 22/07/18 8975
164886 [질문] 다이어트할 때 칼로리 제한 질문드립니다 [9] 멋진신세계6950 22/07/17 6950
164885 [질문] 고속도로 국도 어떤게 돈이 많이 드나요 [12] 두억시니7245 22/07/17 7245
164884 [질문] 제주도 여행을 하는데 꼭 해봐야 하는것 추천 부탁드립니다. [19] 마다오7583 22/07/17 7583
164883 [질문] PC방에 로봇이 서빙해주는 곳은 어떻게 찾을 수 있나요? [4] 타츠야5457 22/07/17 5457
164882 [질문] 종합비타민 이나 영양제 추천 부탁드립니다. [4] -Aka4989 22/07/17 4989
164881 [질문] 코에이 삼국지 어디서 구매할 수 있나요? [6] 파란무테5708 22/07/17 5708
164880 [질문] 비타민/영양제 섭취 시간대? [3] 살다보니별일이5692 22/07/17 5692
164879 [질문] 밀키트? 어디서 구입해야하나요? [9] 레너블6058 22/07/17 6058
164878 [질문] 이 여자분의 체력은 일반인과는 다른 것일지요...? [36] nexon11189 22/07/17 11189
164876 [질문] [육아질문] 아기사진 촬영용으로 액션캠? [4] 리얼포스6052 22/07/17 6052
164875 [삭제예정] 처음 여자 만날때 데이트는 어떻게..? [8] 바람의여행기10403 22/07/17 10403
164874 [질문] pdf 파일에 필기하거나 밑줄긋는 프로그램 있을까요? [3] Right6342 22/07/17 6342
164873 [질문] 아이맥스가 cgv 독점인 이유가 따로 있나요? [3] wersdfhr6443 22/07/17 6443
164872 [질문] 대항해시대 2,4 또는 시져3 류의 요즘 게임 있을까요? [5] 엔쏘6651 22/07/17 6651
164871 [질문] e북이나 온라인 아이디는 소유자가 죽으면 어떻게 되나요? [1] 그때가언제라도7498 22/07/17 7498
164870 [질문] 서울출발 드라이브코스 추천부탁드립니다! [2] 다크템플러6723 22/07/17 6723
164869 [삭제예정] 저의 네이트 댓글 및 댓글의댓글 중간 집계입니다. [7] 삭제됨5392 22/07/17 539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