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7/05 16:57:02
Name 개미
Subject [질문] 타이어 교체 시 좀더 투자해서 좋은걸로 하는게 좋나요?
생애 첫 타어이 교체 시점이 되어서 이것저것 알아보는 중입니다.

차는 국산 중형 17인치입니다.

6년 정도 탔고 키로스는 5만5천정도입니다.

출고시점 부터 타던 타이어라 이번에 엔진요일 교체시에 물어보니

조만간 교체를 권하더라구요.

종류도 많고, 사는법도 다양하고 어렵지만 검색중입니다.

그런데 주변에서 그렇고 검색해바도 그렇고

의견이 좀 갈리더라구요.

1. 가성비로 짝당 6만원 : 크게 차이없다
2. 좀더 투자해서 짝당 14만원 : 타이어가 제일 체감이 크다. 오래탈거니 투자하는게 좋다.

그냥 1, 2 번 중간으로 10만원정도로 할까도 고민되고..

좀 오래가고 정숙한 타이어면 좋다는 생각은 있는데

첫 교체라 고민이 되네요. 어떤 선택하는게 좋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7/05 17:06
수정 아이콘
저 같은 경우 abctire 에서 주로 구입하는데...
저소음모델이 확실히 노면 소음이 덜 올라오더라구요

지금 확인해봤는데 17인치 모델이면 10만원 초중반 정도로 생각하면서 고를 꺼 같습니다
22/07/05 17:07
수정 아이콘
지금 타시는 차량의 타이어 모델도 알려주시면 다른 분들이 현재와 비교해서 어떤걸 고르는게 더 좋을지 알려주실 수도 있어요
22/07/05 17:30
수정 아이콘
17인치 한국타이어 컨티넨털타이어입니다~
리얼월드
22/07/05 17:10
수정 아이콘
엉덩이가 싸구려라 그런지...
한번도 타이어 변화에 따른 차이를 느껴본적이 없네요;;;
토끼공듀
22/07/05 20:08
수정 아이콘
정말 싸구려 타이어 한번 껴보시면 세단이 화물차가 되는 매직을 경험하실 수 있습니다.
22/07/05 17:31
수정 아이콘
출고타이어에서 금호 크루젠 KL3(당시 금액으로 네 짝 모두해서 43만원 정도)으로 바꾼지 2년 됐는데 여전히 아주 만족합니다. 노면소음 확실하게 줄었고, 건조노면, 눈길, 언 길 모두 그립감이 분명하게 좋아졌으며, 특히 폭우 속에서 고속도로 물 고인 자리(수막현상 생길만한 자리) 지나갈 때도 확실히 안정적이었습니다. 연비는 조금 떨어졌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족할 정도네요.
shadowtaki
22/07/05 17:32
수정 아이콘
32만원 투자하고 6년 동안 32끼 굶어서 간헐적 단식까지 챙겨서 운전 스트레스와 건강 모두를 챙긴다에 한표. 간단히 2번에 한표.
유념유상
22/07/05 19:01
수정 아이콘
차량 운전 스타일부터 알아야 합니다.
단순 시내 출퇴근용이면 저렴한것 사시고, 자주 고속도로 달린다면 좋은 타이어 사세요.
토끼공듀
22/07/05 20:05
수정 아이콘
본인이 승차감이나 주행감이 중요하다 싶으면 타이어에 돈 쓰는게 맞는데 글 내용만 보면 그냥 적당한 것 쓰셔도 될 타입 같으시네요. 보통 타이어 질문 하시는 분들은 그간 불편한게 없었고 따라서 별 관심이 없으신 경우가 많거든요.

일단 골든 정답은 2번입니다. 경험상 짝당 10만원 이하 타이어는 정말정말 아닙니다.
22/07/05 20:09
수정 아이콘
s2as정도면 훌륭합니다. 마제9이나..
22/07/06 03:15
수정 아이콘
전 개인적으로 다른건 몰라도 타이어는 최대한 좋은거 씁니다. 자동차에서 지면에 닿는 유일한 부품이라 싸게 퉁치고 싶지 않더라고요.
카페알파
22/07/06 09:06
수정 아이콘
전에 '차를 5cm 먼저 세울 수만 있어도 접촉사고를 면할 수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타이어는 최대한 좋은 걸 쓴다' 라는 글을 어디선가 본 적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좀 오래 전 일이긴 하지만, '고작' 타이어만 교체했는데 승차감이 확 달라져서 조금 놀랐던 기억이 있구요. 그 당시 승차감 쪽은 전혀 생각도 안 했어서 '어, 이거 봐라' 싶었습니다.
22/07/06 10:00
수정 아이콘
타이어 중요합니다. 긴 사용기간을 생각하면 가격차이도 그리 크지 않아요.
알콜프리
22/07/06 10:41
수정 아이콘
타이어 승차감 차이 제법 납니다. 아버지 차가 얼마전에 교체했는데, 오래된 기존 타이어 빼고, 상태 좋은 중고 타이어 달고 공기압 조정 좀 하니까 승차감이 훨씬 좋더라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4710 [질문] 에너지소비효율과 전력소모량의 관계가 어떻게 되는걸까요? [5] 오렌지망고6065 22/07/08 6065
164708 [질문] [스포일러] 토르 4 궁금한 점 [3] 스위치 메이커3880 22/07/08 3880
164707 [질문] 인터넷 재약정 관련 질문입니다 [4] 험블4286 22/07/08 4286
164706 [질문] 갤탭 필기용 저소음 펜촉 추천 좀 부탁드려요 [6] 십만전자5084 22/07/08 5084
164705 [질문] 52시간 근로로 인해 갑사 갑질이 줄었나요? [5] 깐부6798 22/07/08 6798
164704 [질문] 물리학 관련 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5] 쿨럭4470 22/07/08 4470
164703 [질문] 삼국지 인물 일러스트 모아둔 사이트 있을까요? [4] 파란무테6023 22/07/08 6023
164702 [질문] 후륜의 장점은 어떤게 있나요 [11] 시무룩6171 22/07/08 6171
164701 [질문] 속초나 고성 돼지고기집 맛있는데 있을까요? [5] 톤업선크림5614 22/07/08 5614
164700 [질문] 원룸 내놓을때 부동산 여러 곳에 내놔야할까요? [13] 일신8285 22/07/08 8285
164699 [질문] 사무용 Pc견적 문의 드립니다. [6] 나를찾아서7071 22/07/08 7071
164698 [질문] 개업한 지인 가게에 못가볼것 같습니다 [19] 밥잘먹는남자6223 22/07/07 6223
164697 [질문] [강아지 패드] 일본 데오시트와 비슷한 성능 패드 없나요? [3] 묵리이장5453 22/07/07 5453
164696 [질문] 해외여행중 짐보관 서비스에 관한 질문입니다. [3] Dowhatyoucan't4119 22/07/07 4119
164695 [질문] 완전자본잠식 상태에서 상장 추진하는 이유는 뭘까요? [8] 안산4884 22/07/07 4884
164694 [질문] 고려대 주차장 질문입니다. [8] 픽킹하리스6271 22/07/07 6271
164693 [질문] 전세 중 집이 팔리는 상황에 대해서 여쭤보고 싶습니다. [9] Restar4900 22/07/07 4900
164692 [질문] 맥북m1프로 에펙 프리뷰 렉 질문 드려요 [1] 왕컵닭3710 22/07/07 3710
164691 [질문] 모바일게임 추천해주세요. [17] 교자만두5515 22/07/07 5515
164690 [질문] 기존 쓰던 a90을 갤럭시 점프2로 바꾸라는 전화가 왔습니다. [11] 카서스4663 22/07/07 4663
164689 [질문] [물리] 진공 흡착 시 아래 물체까지 딸려오는 힘의 정체가 뭘까요? [11] 묵리이장6668 22/07/07 6668
164688 [질문] EV6 2WD vs 4WD [21] 땅과자유5975 22/07/07 5975
164687 [질문] 대학원 석사 진학 자대 or 타대 [37] 최적화9107 22/07/07 910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