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6/22 11:24:27
Name Secundo
Subject [질문] 자전거 피지컬 vs 장비 누가 이길까요?
안녕하세요
쓸데없는 내기를 준비중이라 질문글 남겨봅니다.

A : 수영선출 / 운동 안한지 10년 / 181 / 90kg / 21단 일반 자전거(알루미늄)
B : 일반인 / 사이클 주 1회 / 172 / 70kg / 풀장비(300만원대)

1라운드 1km 누가먼저 도착할지
2라운드 1시간 달려서 누가 더 멀리 가는지

요런 쓸데없는 내기가 성사 직전입니다.
물론 개인기에 따라 큰차이가 있겠지만 일반적인 상황에서 피지컬 vs 장비빨
누가 더 우세할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츠라빈스카야
22/06/22 11:26
수정 아이콘
운동 안한지 십년이면...피지컬 잇점이 많이 줄어들것같은데요..;
사실상 피지컬 좋은 일반인급..?
22/06/22 11:28
수정 아이콘
최대속력 대결, 평균속력 대결인데 일반적인 자전거로 느긋하게 가는거 아니고 풀악셀 개념이면

길은 아스팔트같은 곳 기준인가요? 노면사정이 안좋을수록 후자가 압도적일거 같습니다.
22/06/22 11:30
수정 아이콘
자전거 도로를 활용할 것 같습니다~!
에프케이
22/06/22 11:29
수정 아이콘
B가 이기지 않을까요?
유사MTB하고 로드라고 가정하면 차이도 크고..
수영선수 운동 안한지 10년이고 일반인도 주 1회 타고 있다고 하니..
별빛다넬
22/06/22 11:30
수정 아이콘
운동안한지 1년정도는 되어야 하지 않을가요?
42년모솔탈출한다
22/06/22 11:31
수정 아이콘
자전거에서 181 / 90kg vs 172 / 70kg 이거는 172 / 70kg 쪽이 피지컬도 우위 아닌가요?
22/06/22 11:33
수정 아이콘
90kg가 근돼쪽입니다 -0-
alphaline
22/06/22 11:33
수정 아이콘
후자에 전재산 걸 수 있습니다
애당초 사이클링 체력도 후자가 앞설 가능성이 99% 입니다
저도 일개 동호인이지만 운동 안한지 10년이면 수영 선출 아니라 사이클 전 국대여도 이길 자신 있습니다
22/06/22 11:38
수정 아이콘
결과 알려주세요 크크
교자만두
22/06/22 11:42
수정 아이콘
피지컬VS장비 대결하려면
자전거선수가 쓰레기 자전거
일반인이 최상급 자전거 해야 맞지않을까요..
내용은 일반인 꾸진자전거 VS 동호회인 좋은자전거 인데.. 10년이면 일반인이죠.게다가 수영.
숯불족발
22/06/22 11:45
수정 아이콘
a가 피지컬로 압도적이긴 커녕 상대적 우위라고 단언하기도 힘들지 싶은데요
콩탕망탕
22/06/22 11:46
수정 아이콘
자전거랑 삼국지의 장비가 싸우는 얘기인 줄 알고 들어왔다 급 실망하고 갑니다
칠상이
22/06/22 11:51
수정 아이콘
저도..흐흐
개좋은빛살구
22/06/22 11:51
수정 아이콘
운동안한지 10년이면... 피지컬이 우수한지 잘 안느껴지는데요 크크크
22/06/22 11:52
수정 아이콘
장비대 장비 해도 후자가 압도적일것 같은데요..
22/06/22 11:53
수정 아이콘
닥후죠.

따릉이 미니벨로 스프린터 로드바이크 이렇게만봐도 장비가 넘사인데 심지어 주 사이클 1회면 말 다했죠.
원펀맨
22/06/22 12:00
수정 아이콘
닥후요. 로드랑 일반 자전거는 비교 대상이 안됩니다.
문어게임
22/06/22 12:06
수정 아이콘
박태환이와도 닥후
세발자전거 vs 일반자전거급
개념은?
22/06/22 12:09
수정 아이콘
운동안한지 10년이면 그냥 일반인 입니다.
항정살
22/06/22 12:26
수정 아이콘
당장 근력운동 일주일만 쉬어도 근력이 떨어지는 게 느껴지는데 10년 쉬었으면 의미없죠.
데로롱
22/06/22 13:12
수정 아이콘
이거 리얼
대신 몸은 운동한걸 기억하고 있어서 한두달정도 빡세게 트레이닝하면 어느정도 수준까진 금방 복구되긴 하죠
VictoryFood
22/06/22 12:27
수정 아이콘
자전거 선출도 아니고 타 종목 10년 운동 안한거면 일반인이죠.
이혜리
22/06/22 12:32
수정 아이콘
저 달리기 전국체전 지역예선 결승 진출 수준 & 유도 5년에 선출까지는 아니더라도 체고 애들 없으면 다 이기는 수준이었는데

제가 풀장비 자전거 3천만원짜리 타고,
철인 취미로 하는 제 친구가 탄 알루미늄 자전거 따라가는 것도 벅찹니다.
이건 예시가 잘 못 되었어요,
풀 장비를 수영 선출한테 쥐어줘도 못 이깁니다.
아스날
22/06/22 12:42
수정 아이콘
당연히 B아닌가요..
A가 수영선수면 종목 자체가 자전거랑 상관없는 느낌인데..
몸무게도 B가 압도적으로 유리하고 주기적으로 자전거 타는 사람인데 돈걸라면 B입니다.
League of Legend
22/06/22 13:21
수정 아이콘
일반적으로는 피지컬이라고 봅니다 훈련받지도 않은 일반인 출신이 전문 자전거도 아닌걸 타고 대회에서 우승했다는 글을 인터넷에서 본 적 있네요.. 근데 본문의 조건대로라면 수영선수 출신분이 지금도 피지컬이 좋은지도 모르겠고 자전거로 연습조차 안하고 있는상황 같아서 평소에 자전거 타던 분이 이길 것 같습니다.
alphaline
22/06/22 13:54
수정 아이콘
김팔용님 이야기라면 여러가지 왜곡과 과장이 좀 있습니다
일반 자전거(X) 전문 자전거(O)
프로선수와의 진검승부에서 이겼다(X / 애당초 프로 선수들이 진지하게 참가하는 대회도 아니고 우승 기록 자체도 프로가 맘먹고 내는 기록과 차이가 좀 있습니다)
물론 최상급 동호인 클라이머셨던것도 맞고 늦게 시작하신 짧은 경력으로 대단한 성과를 내신 것도 맞습니다
제주산정어리
22/06/22 13:25
수정 아이콘
10년을 쉬었는데 근육 돼지라 불릴 정도로 핏이 살아있으면... 수영만 쉬었단 소리지 헬스나 다른 운동을 꾸준히 했단 소리 아닙니까? 함정카드 같기도 하고... 애매하네요.
RED eTap AXS
22/06/22 13:29
수정 아이콘
평지 1km면 무거운 게 유리할 수도 있어서 1번이 기어비가 충분하다면 수영선출이 이길 수도 있을 거 같고
업힐 1km면 동호인이 압승.
1시간은 선출의 유산소 능력이 얼마나 살아있느냐에 따라...
다레니안
22/06/22 13:43
수정 아이콘
저 이거 얼마전에 봤습니다. 크크크크
갑자기 회사&협력사에 자전거 열풍이 불었어요. 그래서 남양주쪽으로 주말마다 자전거 타는 모임이 생겼습니다.
30~40 직장인들답게 지갑력이 있으니 괜찮은 자전거들을 고르는데 자전거 안타는 직원이 이니시 열었어요. 크크크
"자전거가 200만원 넘기면 뭐 어떻게 달라요?"
그래서 5월 중순에 팔당댐쪽 코스로 30만원짜리 자전거(협력사꺼 대여)와 중고로 220 준 자전거 (신품이면 300이 넘는다고 합니다) 로 붙었습니다.
30만원 자전거를 회사에서 가장 체력 좋은 직원(매일 출근전 1시간 러닝뛰고 퇴근 후에도 1~2시간 자전거 탐)이 타고 220은 이제 자전거 재미들린 뉴비가 탔습니다.
일단 직진거리는 거의 박빙입니다. 아무래도 허벅지근육이 차이가 나니까 아무리 장비가 좋아도 그 장비의 성능을 100% 못 끌어냈다 하더라구요.
하지만 언덕길은 진짜 쨉도 안되게 차이납니다. 거의 2배 차이날정도로 220만 자전거가 박살냈습니다. 크크크크
그리고 뉴비는 그 자전거 타본 뒤로 200만원대 자전거를 새로 찾아보더라구요. 크크크크크....
저의 경험을 비춰봤을 떄 1km는 직진거리일테니 박빙 내지는 전자가 이길 가능성도 있고, 1시간이면 언덕이 들어가있을테니 (같은 사이클 여러번 도는게 아닌이상) 후자가 이길 것 같습니다.
alphaline
22/06/22 14:06
수정 아이콘
적어주신 정보로만 보자면 일단 가장 체력 좋은 직원 체중이 상당히 더 나갔을거고
파워/체중 비율은 두 직원이 비슷하거나 뉴비가 더 높았을 가능성이 큽니다
업힐은 거의 순수한 파워/중량 비율로만 결정되고.. 30만원짜리 자전거와 220짜리 자전거 무게 차이가 많이 나가봤자 5kg 안쪽이죠
평지에서 비슷하고 업힐에서 확 차이난다면 99% 저 시나리오입니다
22/06/22 14:21
수정 아이콘
살아있는 정보 감사합니다. 재밌네요 크크.
22/06/22 14:04
수정 아이콘
운동을 안한지 10년
이거 기준이 진짜 아무것도 안하고 라면 무조건 후자..
선수운동을 그만한지 10년이면 비등비등할거같네요..
22/06/22 14:05
수정 아이콘
B는 주 1회 사이클이라는데 여기서 이미 사이클용 피지컬과 경험치 모두 앞서는 상황입니다;
아엠포유
22/06/22 14:29
수정 아이콘
1라는 모르겠고 2라는 B 압승 봅니다
겨울삼각형
22/06/22 15:37
수정 아이콘
후자에 5천원겁니다.
Zakk WyldE
22/06/22 17:05
수정 아이콘
자전거 한 때 매일
50-60로 정도 탔던 사람인데요.
1번은 수영선수가 이길수도 있겠지만 2번은 일반인이 이길 것 같습니다.
22/06/22 17:56
수정 아이콘
일반 자전거가 우리가 항상 추천하는 자이언트 이스케이프 정도면 1키로는 수영 선수가 이길수도 있을수도요. 고단기어로 몇분만 버티면 되는데 체격과 몸무게에서 나오는 폭발적인 파워를 감당하지 못하실 수도 있다고 생각해요.
22/06/22 20:10
수정 아이콘
일반인 사이클 주1회가 좀 애매한것 같습니다 자전거도로에서 흔히 볼수 있는 블루투스 스피커 틀고 세월아 네월아 평속 15-20사이로 달리는 일반인이면은 수영선출하고 피지컬차이가 많이 나기 때문에 수영선출이 거의 이길걸로 보고요 자덕이라서 주1회라도 100킬로씩 타면서 평속 25-30 내는 사람이면 자덕이 이기겠죠
올해는다르다
22/06/22 20:48
수정 아이콘
운동을 정말 아예 안한 거면 수영선출이 이길 수가 없는데 키/몸무게 보면 전문적인 훈련을 안하는거지 몸관리는 계속 하신 거 같네요.
단비아빠
22/06/22 23:41
수정 아이콘
음.. 이게 시합을 갑작스럽게 하는거면 모르겠는데...
일주일만 시간 줘도 선출 분이 단기간에 페이스를 상당히 끌어올릴 수 있을 것 같은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4442 [질문] [유튜브] 15~20분 콘텐츠 추천 받습니다. [13] 연애잘합니다6725 22/06/25 6725
164441 [질문] 에픽 무료배포 게임 중 추천할만한 게임 알려주세요! [18] 나혼자만레벨업7648 22/06/25 7648
164440 [질문] 외화예수금은 거래일 후 몇일 후에야 인출 가능한가요? [1] 산딸기먹자4901 22/06/25 4901
164438 [질문] 이번 탑건 매버릭 보면서 궁금했던점(항공관련) [2] 오늘처럼만4937 22/06/25 4937
164437 [질문] 전 세계 에어컨 사용을 금지시킨다면? [31] AKbizs7896 22/06/25 7896
164436 [질문] 비서직의 집중력은 무엇일까요? [8] 깐부4886 22/06/25 4886
164435 [삭제예정] 회계팀에서 일하고 계신 분들께 조언을 구합니다. [10] 삭제됨6230 22/06/25 6230
164434 [질문] 나사가 돌긴하는데 안나오는 경우 [5] 스핔스핔4797 22/06/25 4797
164433 [질문] 이런 경우에는 장례식을 가나요 ? [25] 황제의마린7886 22/06/25 7886
164432 [질문] 집 안에 방음부스 설치해보신 분 있으신가요? [5] 4월4330 22/06/24 4330
164431 [질문] 중소기업 외벌이 가장 외제차 구매해도 될까요 [59] 삭제됨8486 22/06/24 8486
164430 [질문] 같은 uhd모니터인데 작은 모니터가 더 비싼건 왜일까요? [14] 쿄우가5288 22/06/24 5288
164429 [질문] 와이프랑 같이 10km를 걸었는데요 뭔가 이상해서요 [22] 시오냥10229 22/06/24 10229
164428 [질문] 집을 나가는게 먼저인가요 보증금을 받는게 먼저인가요? [13] 구미나5856 22/06/24 5856
164427 [질문] 아이들 영어 과외 찾는 법 [4] 니플5001 22/06/24 5001
164426 [질문] 외국어 입력 언어 단축키 문제입니다. [3] 허성민4622 22/06/24 4622
164425 [질문] 우마무스메에 관한 질문 몇가지 드립니다 ! [7] 안다리엘7965 22/06/24 7965
164424 [삭제예정] 금융계열 헤드헌팅 플랫폼은 어디가 좋은가요? [6] 꿀행성6853 22/06/24 6853
164423 [질문] 원하지 않은 보험 전화가 잊을만하면 자꾸 옵니다. [12] 애플댄스5996 22/06/24 5996
164422 [질문] 네이버 롤 승부예측 질문 [5] Deco6438 22/06/24 6438
164421 [질문] 요즘에는 출국 몇시간 전에 공항 도착하면 될까요? [7] 농심신라면7521 22/06/24 7521
164420 [질문] 거북목이랑 허리 교정하는 밴드, 배게 등 혹시 관련 제품이 있을까요? [2] 요한나4353 22/06/24 4353
164419 [질문] 싱글플레이 재밌는 레인보우식스 시리즈 추천부탁드립니다. [1] Gotetz4339 22/06/24 433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