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6/21 17:14:09
Name 짱짱걸제시카
Subject [질문] 부동산을 1도 모르는데 도와주세요.
부동산을 아예 모릅니다. 신생아 수준으로 모릅니다.

잔금 대출이 뭔지, 전환 대출이 뭔지, 질문글을 쓰려고해도 용어 하나 하나가 낯설어서 너무 어렵네요.

그래서 아예 제 상황을 자세히 설명하고 피지알 여러분께 도움을 받고자 합니다.

별건 아니고...

1. 아파트 분양권 구입함

2.  완공되었고 입주 예정임

3.  지금까지 은행에서 내주던 중도금 대출을 다른 대출로 전환(이걸 보통 뭐라고 칭하는지 모르겠는;;)하고 등기를 치려함

상황은 이러하구요.

질문1.
오늘 제가 은행에 전화해서 "아파트 담보대출 금리 문의합니다" 이렇게 질문했는데 제대로 질문한 건가요?
평균적으로 4프로 후반대, 라고 답변듣긴 했습니다.

질문2.  
신축 아파트 입주시 일반 담보대출 말고, 집단 대출같은(?)게 있어서 금리가 더 싸다던데 맞나요?

질문3.
생예 첫 주택 구입입니다. 보금자리론 이라던지, 혜택받을수 있는게 뭐가 있을까요?
따로 지인에게 묻거나 인터넷에 열심히 검색도 해보고 있는데, 혹시 놓치는게 있을까 걱정되기도 해서...

진짜 아예 부동산 초짜라 질문글 자체가 매우 혼란스러울수 있습니다.
양해 바랍니다 ㅠㅠ
저도 도움받은 만큼 다른 질문 글에 열심히 댓글 달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6/21 17:37
수정 아이콘
해당 아파트 입주자 카페나 카톡방 같은데를 들어가보시는게 정보는 제일 많을것으로 생각됩니다.
짱짱걸제시카
22/06/21 19:42
수정 아이콘
오늘 부랴부랴 가입해서 등업 대기중입니다 ㅜㅜ
우도땅콩찰떡파이
22/06/21 17:44
수정 아이콘
기본적으로 집단 대출을 통해 하시는게 편합니다.
일반 주담대로 진행 할 경우 해당 건물을 후취담보(아직 등기되지 않은 건물이기때문에 담보가 없음)로 처리해야 되기 때문에 허가된 지정된 은행에서 진행해야 합니다.
그리고 입주예정이 다가올수록 입주자 카페에 집단대출 진행하는 은행이 하나씩 보일겁니다.

1. 입주자 카페에서 진행하는 집단대출 이용하시면 됩니다.

2. 분양가를 적어주셨으면 도움이 되겠지만 작년~제작년 원징 7천 이하일 경우 디딤돌+보금자리론으로 합니다.

3. 최근 뉴스 정책에 생애최초일 경우 감면해주는 내용 찾아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집단대출 관리해주는 법무법인에서 생애최초일 경우 서류 요청하실때 제출하시면 됩니다.
짱짱걸제시카
22/06/21 19:39
수정 아이콘
분양가는 3억2천으로 기억합니다. 답변 너무너무 감사 드립니다!
22/06/21 18:18
수정 아이콘
공사 통해서 하는 보금자리론 대출 가능하면 무조건 은행보다 좋은 조건이니 그거부터 알아보시고,
아마 1인 기준 연봉 7,500만원 이하만 만족하면 웬만하면 될텐데 신축은 담보가 안잡혀서 취급해주는 은행이 한정적이거나 없을 수 있어요. 진행해도 최소 2주는 잡아야 되니 그것부터 알아보시는 게 좋고 보금자리론 취급 은행이나 집단 대출로 하는 은행이 있으면 등기 치는 것까지 보통 연결해줄겁니다.
짱짱걸제시카
22/06/21 19:40
수정 아이콘
집단 대출 은행과 일반 대출 은행 금리차이가 없던데 제 착오가 있었을까요? 답변 너무 감사드립니다!
22/06/21 20:07
수정 아이콘
댓글 의미는 보금자리론(주택금융공사) >> 민간은행 대출이라는 거고, 일반 민간은행에서도 보통 중도금 대출을 단체로 한 특정 은행에서 잔금 대출도 단체로 계약하도록 유도하면서 조금 더 혜택은 있을 수 있는데 보금자리론 대비 큰 차이는 아닐 겁니다. 것보다 윗 댓글과 같은 내용인데 보금자리론 자체 조건이 되면 되는 취급 은행이 어딘지 찾아서 진행을 하시는 게 중요해 보이네요.
삼성전자
22/06/21 18:37
수정 아이콘
해당 아파트 카페 가입하셔야 합니다. 단톡방도 꼭

새아파트는 아직 등기가 안나있고 등기나는데까지 일년 이상 걸리기때문에 집단 주담대 지정은행 해당지점 몇개 통해서 진행해야하고 금리수준 등등 계속 비교해서 알려줍니다.
뿐만아니라 등기과정도 단체로 법무법인에 공짜 혹은 입예협 비용내고 해줘! 시전하는게 거의 국민입주과정된지 오래입니다.
짱짱걸제시카
22/06/21 19:41
수정 아이콘
조금씩 개념이 잡히는거 같습니다 답변 너무 감사 드려요!
22/06/21 19:51
수정 아이콘
대부분 위에서 잘 말씀해주셔서 한가지만 더 말씀드립니다.

집단대출은 중도금대출과 달리 여러개의 금융권에서 하기 때문에 다 금리가 다릅니다. 저 때는 심한 곳은 1% 이상 차이가 났어요.
참여 은행들의 금리가 모두가 동시에 공개가 되면 좋겠지만, 내부 절차 때문에 집단대출 참여 자체가 늦게 결정나는 은행은 금리가 늦게 결정날 수 밖에 없습니다. 은행마다 대출 예산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금리가 낮은 곳은 일찍 마감합니다.

그리고 이런 정보를 빠르게 얻을 수 있는 곳이 입주자 까페와 단톡방이에요. 그러므로 예의주시하고 계셔야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4413 [질문] 144hz 모니터에 100hz [7] 한기5044 22/06/24 5044
164412 [질문] 아버지 칠순 잔치 장소 문의 및 추천 부탁 드립니다. 수타군3759 22/06/24 3759
164411 [질문] 문명6을 샀는데, 공략 참고나 정보에 대해 알 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15] nekorean8707 22/06/23 8707
164409 [질문] 탈모 막거나 회복하는 방법 어떤 게 좋은지요..? [9] nexon6872 22/06/23 6872
164408 [질문] 웹페이지 DB 계획하는 데 질문드립니다 [11] 멋진신세계5282 22/06/23 5282
164406 [질문] 특정페이지만 화면이 밝아집니다. [3] 쏘군4168 22/06/23 4168
164405 [삭제예정] . [2] 삭제됨5792 22/06/23 5792
164404 [질문] CPU 서멀 구리스 재도포 해야 할까요? [13] 카페알파10800 22/06/23 10800
164403 [질문] 축구 2010년 월드컵 국대에 지금의 손흥민이 있었다면? [15] 웬디5666 22/06/23 5666
164402 [질문] 갤럭시 예약된 시간에 전화 걸기 [4] 아가인10176 22/06/23 10176
164401 [질문] 부모님 할만한 일 무엇이 있을까요? [19] 교자만두5635 22/06/23 5635
164400 [질문] 용산 전쟁기념관 밤에 산책가능한가요? [6] 분당선3897 22/06/23 3897
164399 [질문] 개발자에서 PL로... 참고할만한 책이나 자료? [7] 허저비4627 22/06/23 4627
164398 [질문] 온도 측정장비 문의 (작은 물건) [4] 아르거스의사도4337 22/06/23 4337
164396 [질문] 맥스튜디오와 맥북 동시에 사용하는 분 계신가요? [2] 니체4827 22/06/23 4827
164395 [질문] 운동중 체지방 컷의 적절한 시기 질문입니다! [5] 숴비3796 22/06/23 3796
164394 [질문] 눈 한쪽에만 쌍꺼풀이 갑자기 생겼어요 [20] 보름달이뜨는밤에4690 22/06/23 4690
164393 [질문] 안드로이드 음악, 영상재생 어플 추천받습니다 [7] 리니시아5573 22/06/23 5573
164392 [질문] 핸드폰으로 NCSOFT 인증문자가 갑자기 날라오네요 [3] AsuRa6874 22/06/23 6874
164391 [질문] 서른에 월 보험비 17만원 내는데 맞는건가요?(보험 내용첨부) [7] 푸끆이6853 22/06/22 6853
164390 [질문] 퇴사할 때 뭐라고 말해야 좋을까요? [25] 검정머리외국인10107 22/06/22 10107
164389 [질문] 웨딩홀 폐업으로 인한 계약 해지 [6] 히로미5070 22/06/22 5070
164388 [질문] 3시간 전까지 잘 인식되던 SD카드 뭐가 문제 일까요? [5] 김창평4155 22/06/22 415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