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6/15 22:56:26
Name Nacht
Subject [질문] 한은이 언제까지 기준금리 인상을 지속할수 있을까요
외국살아서 사실 한은이 금리를 올린것조차 얼마전까지 모르긴 했습니다만(...)

알고보니 코로나 이후 금리를 계속 올렸더군요
(이걸 엊그제 부모님이랑 통화하다가 알았습니다)

부모님은 사실 세대가 세대이신지라 금리가 10%~5%시대를 살아오신 관계로
뭐 저축하면 바로 이자가 쌓이는... 그런 시대를 살아오시긴 했고 그 경험으로 돈 맡기면 돈이 쌓이는 법이다
아직 이 관념이 박혀계시기는 하는데, 뭐 이건 핵심이 아니니 접어두고.

엊그제 통화에서 이자 조금이라도 붙으면 은행에 적금이라도 넣어라!!! 라는 공격을 엄청 당했는데
솔직히 개인적으로는 뭐 미 연준도 상당히 무리하는것같고 한은이 언제까지 고금리 유지할수 있을까...싶기도 합니다.

이 부분에 대해 혹시 고견이 있으신 분 계시다면 경청하고 싶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2/06/15 22:59
수정 아이콘
최소한 미국금리가 우리 금리에 붙으면 안올릴 수가 없어서...
미국이 멈추면 멈출겁니다...역전당하면 더 노답이라 이건 어쩔수가 없어서요...
22/06/15 23:01
수정 아이콘
사실 정석적으로 생각하면 말씀하신 게 정답이긴 한데....

미국이 감당못하고 계속 올릴 경우 한국이 그걸 계속 쫒아갈 수 있을까 하면 전 한국경제 체력이 과연 그걸 감당할 수 있을까 의심스럽다는 입장이거든요. 저도 확신은 없긴 합니다만....
닉네임을바꾸다
22/06/15 23:05
수정 아이콘
역전당하고 나서 그걸 감당하는거와 역전 안당하고 올리는게 낫냐에서 저울질 하겠죠 뭐...
근데 역전당하는게 더 문제라면...이런 상황에선 선택의 여지가 없죠...만약 역전당한거와 아닌거 사이에서 저울질이 가능한 정도의 문제라면 거기선 둘 중 하나를 고를거고요...
22/06/15 23:11
수정 아이콘
한꺼번에 댓글이 달려서 여기에만 답니다만, 세 분 다 감사합니다. 뭐 사실 답이 없는 문제긴 한데 역시나 그럴수밖에 없는것 같네요.

근데 이러다 진짜 과부하오면 어찌될지가 더 무섭긴 합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2/06/15 23:12
수정 아이콘
뭐 미국이라고 무한정 올리진 않을거라서...(당장 의장 인기가 올려대면 될수록 좋긴 힘드니까요...대통령도 마찬가지고...)
22/06/15 23:06
수정 아이콘
어차피 계속 안 올려도 감당 못 한다고 생각해서 같이 따라 갈 수 밖에 없다고 봅니다. 한국은 일본이 아니니까요.
22/06/15 23:09
수정 아이콘
미국이 계속 올린다고 우리나라가 금리 인상을멈출수 있을까를 생각해본다면
차라리 쓰러지더라도 올리는쪽이 맞다고 봅니다.
22/06/16 00:49
수정 아이콘
뒤지더라도 미국보다 0.25는 높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LifeLivingToday
22/06/16 00:57
수정 아이콘
안녕하세요.
경제를 잘 모르는 경린이가 질문드립니다.
혹시 한국이 미국보다 금리가 낮아질 경우 생길 일에 대해 몇가지만 좀 알 수 있을까요?
22/06/16 02:00
수정 아이콘
증시 대규모 외화 유출로 원화약세, 물가상승 등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만
저는 역대급 긴축이 예상되는 미국 금리인상 속도를 따라가지는 못할걸로 예상하네요
LifeLivingToday
22/06/16 02:19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한미 금리 역전에 대한걸 좀 더 찾아봐야겠네요.
춘광사설
22/06/16 07:55
수정 아이콘
올해 하반기 혹은 내년 상반기쯤엔 금리역전 될거같습니다.
미국은 인플레8퍼 한국은 4퍼여서...

금리역전이 뭐 처음있던 일도 아니고 생각만큼 외화유출 잘 안되요
22/06/16 09:06
수정 아이콘
한미 금리가 역전이 된적이 없는 것도 아니고 역전까지는 용납이 될 수 있지만 크게 벌어지지는 못합니다. 결국 어느정도 맞춰가야하는건 맞습니다.
적금은 지금 들거면 변동금리가 얼마나 자주 반영되는지 어떤 기준 금리를 베이스로 쓰는지 가산 금리가 몇인지가 중요합니다.
하지만 본인이 금리 상승은 실시적이고 장기적으로 1년 이상 지나고 나면 결국 저금리로 회귀할거라고 생각하시면 지금은 오히려 주식/채권 으로 가는게 맞습니다. 저는 여기에 원자재까지 껴서 자산배분형으로 가는게 맞다고 생각하고 3년이상 투자시 적금 이상의 수익율은 나올거라고 생각합니다.
귀찮은게 싫으시면 자산배분형 펀드들이 많으니 배분율만 어느정도 정하시고 거기에 맞는 펀드에 넣어놓고 기다리시면 되고
조금더 귀찮은걸 감수하시려면 S&P, 코스피, 원자재(원유,목재,곡식 등), 채권형 ETF 어느정도 나눠서 사고 들고 계시면 됩니다.
+ 달러는 지금이라도 좀 사서 가지고 있는게 좋습니다.
22/06/16 09:13
수정 아이콘
일단 금리 자체가 높아야 다가올 위기에도 견딜 힘이 있습니다 (그때 내려야죠)
미국수준에 따라가는 것도 그러한 이유도 있구요
22/06/16 11:03
수정 아이콘
언제까지 = 미국이 그만올릴때까지.. 죠
22/06/16 13:39
수정 아이콘
아니 자고 일어나서 일하다가 잠깐 왔더니 댓글이....

모두들 감사드립니다. 업무중이라 일일히 댓글달기는 어려울 것 같고 말씀 감사드립니다~
+딱히 제가 주식이나 투자를 하는 건 아닙니다만 언제까지 가려나 싶어서 질문드렸습니다.
겨울삼각형
22/06/16 13:59
수정 아이콘
현재 한은 기준금리 1.75.. 입니다

고금리 아닌거 같은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4261 [질문] 외장하드 깨어나는 속도 문제 [4] 니체3844 22/06/17 3844
164260 [질문] 나이먹을 수록 잔인하거나 징그러운거 못 보시는분 있으신가요? [25] 아오이소라카6970 22/06/16 6970
164259 [질문] 금형 같은 회사나 혹시 원하는 철판같은걸 제조 주문할수있는곳이 잇을까요? [2] 가치파괴자5134 22/06/16 5134
164258 [질문] 이 노래 아시는 분 계신가요? [8] 아침4616 22/06/16 4616
164257 [질문] 아이패드 문의 [10] 스마스마4642 22/06/16 4642
164256 [질문] 크롬에서 pgr 사이트가 이상하게 보입니다. [2] 여름4044 22/06/16 4044
164255 [질문] Mmorpg 레이드 즐기셨던 분들 질문 [15] valewalker4325 22/06/16 4325
164254 [질문] 노트북 컴퓨터 모니터 스위치 [3] 키작은나무4828 22/06/16 4828
164253 [질문] 집에서 고기구워먹을때 기름 튀는거 방지?? [14] JP-pride5621 22/06/16 5621
164252 [질문] 열쇠 없이 누구나 여닫을 수 있는 대문개폐기 있을까요? [9] 원해랑6682 22/06/16 6682
164251 [질문] 전세 주인이 미국 산다고 할 때 주의할게 있을까요? [22] 42년모솔탈출한다7680 22/06/16 7680
164250 [질문] 자동차 과태료 질문 [7] 포이리에4853 22/06/16 4853
164249 [질문] 인터넷 재약정 그대로 하면 될까요? [18] 대통령5014 22/06/16 5014
164248 [질문] 아기 식사 + 동영상 조언 및 경험을 구합니다. [19] Grundia5315 22/06/16 5315
164247 [삭제예정] 강남역에서 점심시간에 중국어 배울 학원을 찾습니다. 2'o clock3700 22/06/16 3700
164246 [질문] 동탄, 기흥쪽에 저녁식사 할만한 곳 추천 부탁드립니다. [5] FarorNear3063 22/06/16 3063
164245 [질문] 울릉도 여행 관련 팁 부탁드립니다 [4] 메타몽4711 22/06/16 4711
164244 [질문] 식당추천바랍니다. (노원구에서 30분안쪽) [4] 교자만두3367 22/06/16 3367
164243 [질문] 롤 쉽고 안 죽는 좋은 서포터 추천 [37] 요들8605 22/06/16 8605
164242 [질문] SNS에 이런식의 글쓰기는 언제부터 시작된건가요? [6] 1024567 22/06/16 4567
164241 [질문] pgr 단축키 기능 사라졌냐요? [7] 바다로4592 22/06/16 4592
164240 [질문] 제 컴퓨터에서 특정사이트를 차단할수 있나요? [4] 윤석열4688 22/06/16 4688
164239 [질문] 5인 가족 렌터카는 뭐로 해야할까요? [8] 귀여운호랑이6465 22/06/16 646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