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6/08 01:24:45
Name FarorNear
Subject [질문] 외국인 현재 한국 입국시 절차가 어떻게되나요?
독일 본사인 회사인데

한국에 출장 올 인원이 4명정도 있습니다.

pcr음성확인서는 제출 예정인데,

제가 알아본결과 입국한지 3일내에 음성 검사를 또 한국에서 받아서 제출해야 한다고 들었습니다.

1. 공항 도착하자마자 공항 밖으로 못나가고 그 안에 있는 코로나검사하는 곳으로 가서 받아야 공항 빠져나올수있나요?

2. 만약 그렇다면 소요시간 어느 정도인지 아시나요?

한국 출장 인원이 도착하자마자 바로 회의장소로 이동해야 되서 시간이 얼마나 지체될지 궁금해서 문의드립니다.

답변 미리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6/08 06:05
수정 아이콘
출국 72시간 전에 K-ETA: Korea Electronic Travel Authorization(https://www.k-eta.go.kr/) 하셔야합니다. PCR과 안티겐 슈넬테스트(한국에서 뭐라고 하는지 까먹었네요) 둘 다 가능합니다. 출국 전에 수행해야 하는 것이고요. 다만 pcr은 48시간 전, 안티겐 슈넬테스트는 24시간 전 검사가 유효하며 영어 혹은 한국어로 발부되어야 합니다. 3차 접종까지 완료한 경우 격리면제가 가능하고, 격리면제는 Q-Code(https://cov19ent.kdca.go.kr/)를 통해 미리 신청해야합니다. (6월 8일부터는 백신접종 없이도 격리면제라고 하네요. 그렇지만 큐코드 신청을 추천한다고 합니다.) 여권정보랑 백신접종정보를 인터넷으로 올려야합니다. 한국에 입국 후에는 두번째 피씨알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공항에서도 받을 수 있고, 별도로도 받을 수 있다고 하네요.(다만 이 부분이 불확실합니다. 대사관에서 안내하는 정보에는 나와있지 않고 독일 외무부 홈페이지에만 적혀있어서요) 이후 입국 6일째 혹은 7일째 되는 날 안티겐 슈넬테스트를 받아야 한다고 합니다. 상기 사항은 https://www.auswaertiges-amt.de/de/aussenpolitik/laender/korearepublik-node/korearepubliksicherheit/216132 -- https://overseas.mofa.go.kr/de-de/index.do 여기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입국 후에 사항은 별도로 안내되어있지 않네요. 작년 백신접종으로 격리면제로 입국했을 때 별다른 제한사항은 없었습니다. 아마도 그러리라고 예상합니다만 맘에 걸리신다면 직접 대사관이나 외교부에 문의해보시는 게 좋겠네요.
FarorNear
22/06/08 09:17
수정 아이콘
말씀감사합니다. 이게 그러면 독일에서 한국오는 인원에 해당되는 말이죠? 혹시 전화는 그러면 독일외교부에하면되나요?
22/06/08 10:29
수정 아이콘
아뇨, 우리나라 입국은 우리나라 권한이니 한국 외교부에 문의해보시라는 이야기였습니다. 독일 외무부는 다만 자국민들에게 여행정보를 알려주는 역할 정도만 수행하는데, 한국입국시 격리면제 사항이 업데이트가 되어있지 않아서, 혹여 바뀐 것이 있을까 해서 언급했습니다. 아랫 분이 걸어주신 링크 보니, 명료하게 나와있어서 저 자료를 참고하시면 될 것 같아요.
코코아
22/06/08 09:23
수정 아이콘
http://ncov.mohw.go.kr/tcmBoardView.do?contSeq=371691
윗분이 말씀하신 안티젠은 신속항원검사인데 자가검사는 안 되고 전문가가 한 것만 인정합니다.
출발 공항에서 음성확인서 검사할텐데 한국 비행기 아니면 영어로 된 증명서를 뽑아가셔야 안전할 거에요.
FarorNear
22/06/08 09:49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내용 이해한바로는
1. 독일 사람들이 입국할때 Q-code를 통해 미리 신청해서 여권정보랑 백신접종 정보를 인터넷으로 올리면 격리없이 바로 한국내에 들어올수 있음.
2. 출국하기 전, 입국후 3일 이내에 2번쨰 pcr검사 받아야함.
이거 맞나요?
부끄럼틀
22/06/08 10:47
수정 아이콘
1. 큐코드 안 하셔도 격리는 면제입니다. 오늘부터 백신 접종 여부 상관없이 모든 입국자가 격리 면제예요. 큐코드 하시면 입국수속이 빨라집니다.
2. 6/8 1200LT 출발 항공편이라면 PCR은 6/6 0000LT 이후, 안티젠은 6/7 0000LT 이후 검사하면 됩니다. 입국 후에는 3일 내에 PCR 받으시면 됩니다. 공항에서 할 수도 있고(권고사항) 그냥 나오셔서 숙소 근처에서 받으셔도 돼요.
FarorNear
22/06/08 15:00
수정 아이콘
아 답변 감사합니다! 이게 제일 정확한거 같기도 한데.. 질병관리청 전화해도 다른이야기하고 혼란스럽네요 ㅠ
22/06/08 11:03
수정 아이콘
(수정됨) 몇 주 전에 아래와 같이 한국에 다녀왔습니다.
1) 항공 탑승시 음성 확인서는 각 항공사에 허용 가능한 검사도 확인해보세요. 저는 대한항공으로 RT-NAAT검사로도 되었습니다. 48시간전 제출이라 PCR은 간당간당하더라고요.
2) 한국에 입국하기 전에 K-ETA + Q-CODE도 미리 준비하세요. Q-CODE는 위의 음성확인서가 필요합니다. Q-CODE는 인천공항에 가서 해도 되는데 그냥 미리 준비해가면 편합니다. Q-CODE에 3차까지 백신 접종 한 증명서(종이쪼가리)를 스캔해서 올렸고 격리 면제 받았습니다.
3) 저는 낮에 도착해서 인천공항 지하에 있는 PCR 검사소로 가서 검사 받았습니다. 검사비는 8만원이고, 4~6시간 후에 결과 나왔습니다. 그 다음날 근처 검사소가서 검사 받을 수 있을 겁니다.
4) 입국 후 6-7일 후 코로나 검사를 받으라고 하는데, 신고는 별도로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 때 집에 있는 홈키트로 그냥 했습니다.
5) 돌아가는 항공편도 항공사와 독일 입국시 필요한 검사를 따로 확인해보세요. 신속항원이라도 증명서만 있으면 되었습니다. 홈키트로 제가 검사를 하는데 영상 통화를 하면서 검사를 하고 그걸로 원격에서 증명서 떼어주었습니다. 미국에 입국할 때에는 공항에서만 음성확인서 체크했고 이후 음성확인서 체크는 별도로 없었는데 독일 입국은 따로 알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4155 [질문] 서울에서 X맥스메타비 영양제 가격 저렴한 약국이 어딜까요? [5] 독각4337 22/06/11 4337
164154 [질문]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 다들 드셨나요? [5] 그때가언제라도4877 22/06/11 4877
164153 [삭제예정] 여자친구의 게임친구들 질문입니다. [38] 삭제됨9845 22/06/11 9845
164152 [삭제예정] 배우자 외도 문제 입니다. [19] 삭제됨7523 22/06/11 7523
164151 [질문] 스탠딩 데스크 쓰시는 분들 하루에 어느정도 서서 일하시나요? [5] FKJ4256 22/06/11 4256
164150 [질문] 크킹2 질문드려요 (백작령 잠시 맡겨두기) [11] Dresden3605 22/06/11 3605
164149 [질문] 미국유학가는 친구에게 줄만한 선물 어떤 게 좋은지요..? [4] nexon6403 22/06/11 6403
164148 [질문] 수납형 침대 프레임 괜찮은가요? [6] This-Plus4139 22/06/11 4139
164147 [질문] 주문한 물건이 잘못 배송되었는데, 비닐포장을 뜯고 알게되었습니다. 교환될까요? [3] 기기괴계3840 22/06/11 3840
164146 [질문] 맥북 거치대, 키보드를 추천 받고 싶어요 [5] 사계3569 22/06/11 3569
164145 [질문] 제네시스 g80 언제팔면 가장 좋을까요? [7] Violin7447 22/06/11 7447
164144 [질문] 게임 초/중반부를 넘어서면 흥미를 잃는 것을 것에 대한 용어가 있나요? [2] CoMbI COLa4332 22/06/11 4332
164143 [질문] 파이어폭스에서 구글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3] 계층방정3397 22/06/11 3397
164142 [질문] T1 선수들이 아프리카에서 방송한다는데.. [3] 황제의마린5053 22/06/11 5053
164141 [질문]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질문드립니다. [2] 로드바이크3727 22/06/11 3727
164140 [삭제예정]  여성분들께 여쭤봅니다 소개팅간 여자분들 호감관련된 질문입니다. [8] 삭제됨5840 22/06/11 5840
164139 [질문] 지구의 곡률이 느껴지려면 어느 정도 높이까지 올라가야할까요?? [7] 회색사과7182 22/06/11 7182
164138 [질문] 컴퓨터 공학,구조 공부와 프로그래밍과의 관계 질문드립니다 [8] 잠이온다6060 22/06/11 6060
164137 [질문] 새로 뽑은 자동차 연비 관련 질문입니다 [2] poocang3713 22/06/11 3713
164136 [질문] 대장내시경을 했는데 궁금한게 있습니다 [4] 팀쿡3962 22/06/10 3962
164135 [질문] IT 용어(?) 같은 것 공부할 수 있는 책이나 사이트 있을까요? [5] 재미없는소설책3292 22/06/10 3292
164134 [질문]  청약관련해서 문의입니다 [6] 스웨트3807 22/06/10 3807
164133 [질문] 허리 디스크 관련 질문입니다. [14] EZrock4797 22/06/10 479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