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5/25 20:29:25
Name 육일남
Subject [질문] NBA에서 뛰었던 야오밍선수 관련 질문입니다
기억으로는 2000년대 중후반?
야오밍 선수가 NBA에서 아시아선수로는 유의미하게
기록을 남겼던걸로 알고있습니다
농알못이고 농구라고는 조던 코비 샤크 아이버슨 르브론 아이콘만 아는 수준입니다.

NBA파이널 내지는 플레이오프 뉴스에서는 그다지 검색 안되는걸로 보면
컨텐더급 팀은 아니었던거 같은데
야오밍 선수는 당대 어떤 선수급으로 평가되나요?

PL로 비유하면 득점왕하기전의 우리흥정도 됐었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원펀맨
22/05/25 20:51
수정 아이콘
당대 최고 센터중 한명이고 nba 명예의 전당 입성자죠. 손흥민의 위상보다는 시작부터 위치가 달랐다고 생각합니다.
키모이맨
22/05/25 20: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동양인으로서의 위상 부분은 제외하고(이러면 아무래도 NBA에서 유일무이했던 야오밍이 너무 유리하니까)
단순하게 해당 종목에서의 선수의 급으로서 비교해보면 야오밍의 커리어 기록은 세컨팀2회, 서드팀3회입니다

NBA 베스트5 라인업을 꾸릴 때 두번째로 강한 라인업에 두번, 세번째로 강한 라인업에 세번 들었다는 뜻이죠
NBA는 전 세계 원탑의 농구리그고 EPL은 그정도 위치가 아니니 이걸 감안해서
유럽축구리그 베스트11이나 월드베스트11을 꼽을때 손흥민이 몇 번째 팀에 들어가있을까 생각해보면 대략적으로 비교가 될거같네요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손흥민이 득점왕 먹은 올 시즌만큼은 야오밍의 베스트 시즌 동급 이상의 위상이라고 볼 수 있을거 같은데
여타 시즌및 전체적으로 평가하면 야오밍의 선수로서의 위상이 좀 더 높다고 봅니다(물론 손흥민이 미래에 더 잘하면 바뀔수도있고)
NBA선수 커리어동안 올-NBA팀 5회가 상당히 대단한 커리어거든요 그래서 명예의 전당에도 들어갔고(농구는 컷이 좀 낮긴하지만)
함바집
22/05/25 21:13
수정 아이콘
야오밍이 손흥민 동시대에 뛰었으면 훨씬 더 잘하고 선수커리어도 길었을거라고 확신합니다

파울콜이 진짜 말도안되는수준으로 인종차별을 받았어요
22/05/25 21:30
수정 아이콘
다른부분은 위 세 분이 잘 설명해주셨으니 조금 덧붙이자면

1. 파울콜은 nba관련 사이트들에서는 반농담으로 야오밍은 숨쉬면 파울이 불린다고들 했습니다. blm이 문제되고 pc가 많이 화제가 되는 지금 이런 식으로 파울 불었다간 당장 농구 인종차별로 이슈되었을 겁니다.

2. 사실 좀 더 롱런도 가능했던 재능이었는데, 중국 국대에서 그야말로 그 누구도 대체가 불가능한 자원이었던 관계로 국대에서 혹사를 많이 당했습니다. nba일정이 빡세기로는 전세계 스포츠에서도 거의 톱클래스 수준인데, 리그 다 뛰고 오프시즌엔 쉬지도 못하고 대표팀 불려가서 경기 다 뛰고 팀 복귀해서 또 시즌뛰는 사이클의 반복이었죠.

어지간한 미국선수들도 이렇게 한 시즌 뛰면 방전되서 그 다음 시즌 부진하거나 했는데 야오밍은 nba에서 뜨기 전부터 국대에선 핵심 취급 받았고 뜬 이후로는 그야말로 노예처럼 불러다녔습니다. 이 때문에 nba커리어에도 좀 영향을 받았다고 보고 그만큼 선수수명도 짧아지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육일남
22/05/25 22:17
수정 아이콘
생각했던거보다 훨씬 위대한 선수였군요... 댓글 감사합니다
요슈아
22/05/25 22:57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 서장훈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유없는 반칙이 불리기도 했고 당하기도 무진장 당했죠.
똑같이 국대 최장신들이라 무조건 나가야 했던것도 똑같구요.
성격이 유쾌해서 잘 넘긴것도 비슷하네요. 은퇴 이후에도 둘 다 말빨 살려서 여기저기 나오는걸 보면 말이죠 크크;
비뢰신
22/05/25 22:40
수정 아이콘
깔끔하게 느바 센터 두 손가락안에 들었습니다 최고였죠
드워프는뚜벅뚜벅
22/05/25 23:51
수정 아이콘
샤킬 오닐이 맞대결에서 '우린 서로를 막을 수 없없다' 였나...대충 이런 워딩으로 야오밍을 평했을 거예요. 물론 샤크의 전성기 때 대결을 한 건 아니지만, 리스펙 받았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3872 [질문] 고양이 양육관련 질문입니다 [17] 뵈미우스5787 22/05/27 5787
163871 [질문] 엑셀질문좀 초보적인 드립니다. [6] 크리스티아누4964 22/05/27 4964
163870 [질문] 안유명한데 괜찮은 백팩 브랜드 추천좀 부탁합니다. [21] 1025267 22/05/27 5267
163869 [질문] 혹시 리멤버에 이력서 올려보신 분 있나요? [32] 프레피5811 22/05/27 5811
163868 [질문] 혹시 차량 km별 정비 항목같은것 정리된곳 없을까요? [6] 마스쿼레이드5575 22/05/27 5575
163867 [질문] 프론트 엔드 인강 사이트 어디가 좋을까요? [2] 50b4809 22/05/27 4809
163866 [질문] 운동화 내전 외전 어떤걸 골라야 할까요 [4] Lord Be Goja5249 22/05/27 5249
163865 [질문] 도시가스 요금 떡락 [12] 호아킨5804 22/05/27 5804
163864 [질문] 차가 조금 망가졌는데 수리 안 해도 괜찮을까요? [19] monkeyD5474 22/05/27 5474
163863 [질문] 현재 가장 합리적인 삼성폰 + 구매법은 무엇일까요? [17] 깃털달린뱀7261 22/05/27 7261
163862 [질문] 원드라이브에 두 개의 하드디스크를 공유 [4] 참된깨달음4339 22/05/27 4339
163861 [질문] 가산디지털단지역 조용한 술집 추천해주세요~ [1] 보아남편4929 22/05/27 4929
163860 [질문] 지방선거 본인지역 현 당선자를 알 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7] 파란무테3657 22/05/27 3657
163859 [질문] 요즘 무선 청소기 시장은 누가 잘 나가나요? [11] egoWrappin'5488 22/05/27 5488
163858 [질문] [보드게임]언덕 위 집의 배신 어디서 구매할 수 있을까요! [4] moonland5349 22/05/27 5349
163857 [질문] 게임컴 호환성 질문드립니다. [18] IK5238 22/05/27 5238
163856 [질문] 옛날과자 제과점에서 팔던 "찹쌀과자" 이거 어디 파는곳 없을까요? [11] 아롱띠7652 22/05/26 7652
163855 [질문] 노트북 샀는데 HDMI 때문에 골칫거리네요.. [8] 스타본지7년4661 22/05/26 4661
163854 [질문] 브라질리언 왁싱이후 설사와 이상증상이 생겼었는데 [10] 한이연6851 22/05/26 6851
163853 [질문] pgrer 분들은 스타대학대전은 안보시나요? [22] 푸른피6135 22/05/26 6135
163852 [질문] 금리인상이 기존에 대출받은 사람들에게도 영향이 가나요? [8] 노익장6914 22/05/26 6914
163851 [질문] 내일 금요일에 서울에서 이천에 가려고 합니다. [6] 광개토태왕4676 22/05/26 4676
163850 [질문] 영어회화 인강이나 어플로 성공하신분 계실까요? [1] 이민들레3598 22/05/26 359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