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2/02 10:37:54
Name nexon
Subject [질문] 금리상승을 대비해 채권/배당주에 투자하는 것은 어떤지요...?


안녕하세요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앞으로 우리나라와 미국 모두 금리상승을 예고하고 있는데요

이에 대비해 국채가격에 연동된 etf를 매수하거나

혹은 금리가 오르면 일시적으로 전체증시에 하락이 나올 테니 이때 배당수익율이 올라가는 배당주를 매수해두는 것은 괜찮은 방법일까요...?

아니면 금리상승에 대비해 채권에 투자하는 것은 기관투자가처럼 대규모 자금을 운용하는 주체들이 헷지를 위해 하는 것이고 개인이 하는 것은 별다른 이익이 없는 것인지요...?

그리고 배당주는 금리가 낮을 때 의미가 있는 것이지 금리가 올라가면 배당주 가격은 하락할 수밖에 없는 것인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혜리
22/02/02 10:47
수정 아이콘
금리상승이예상되면채권가격은떨어질텐데 왜사쥬.
22/02/02 11:30
수정 아이콘
배당주도 딱히 메리트는 없습니다.
금리상승기에 성장주보다 안정적인 배당주가 나을거같지만제일 좋은 주식은 현금흐름좋고 매출 잘나오는 기업들입니다. 애플 마소 구글 등은 단순한 성장주가 아니라 현금이 넉넉하고 per도 높은 편이 아닙니다.
변동성이 클순 있지만 떨어질때마다 빅테크기업 사모으는게 제일이라봅니다.
RedDragon
22/02/02 11:54
수정 아이콘
주식 하락 예상될 때 배당주 사느니 그냥 현금으로 들고 있는게 낫더라구요.
22/02/02 14:08
수정 아이콘
투자 안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짧은 글이지만 뇌피셜이 굉장히 많군요... 2번째 문장까지 맞고 나머지 대부분은 맞지 않는 말입니다.
니시무라 호노카
22/02/02 14:15
수정 아이콘
기본도 모르면서 맨날 응용 질문만 하셨나요? 후덜덜
인스네어리버
22/02/02 19:38
수정 아이콘
이분 질문 봇..
22/02/02 14:37
수정 아이콘
차라리 예금에 묻어두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malliver
22/02/02 15:19
수정 아이콘
일단, 채권과 배당수익률의 기본부터 이해하시는게 좋겠어요.

채권은 이자율이 이미 찍혀있는 권리 입니다. 정해진 기간(1개월, 분기, 반기, 연) 마다 이자를 지급하는데, 그걸 쿠폰이라 불러요.
쿠폰북에서 기간마다 하나씩 뜯어다가 이자 받아간다는 그런 개념입니다. (제로쿠폰도 있습니다)
금리가 오른 뒤 발행하는 채권은 지금보다 당연히 이자율이 높으므로, 기존에 이미 발행된 채권은 가격이 더 싸집니다.
같은 돈을 가지고 투자하는데, 이자율 높은걸 사는게 더 나으므로 기존에 이미 낮은 이자율로 발행된 채권의 시세는 내려갑니다.
그래서 금리가 오르면 채권값은 떨어집니다. 금리인상 예고만으로도 채권 ETF 는 이미 줄줄이 떠내려가고 있죠.
물론 채권이라고 퉁쳐서 이야기 하긴 하지만, 채권도 워낙 다양한 형태가 있어서 복잡하고 어렵습니다.

배당수익률도 고정금리처럼 고정된게 아니라서 어디로 갈 지는 아무도 몰라요.
배당액이 고정되었다면야 주가가 내려가면 배당수익률이 오르겠지만, 배당액이 고정될리가 없으니까요.
그러므로 배당주가 유리하고 불리하다고 말하는거 자체가 의미가 없습니다.

금융주나 가치주가 금리인상에 득을 볼꺼라곤 하지만, 금리가 오르면 금융주들도 부실채권들이 늘어나는 risk가 있죠.

결론은..
1. 국채 etf 매수 : 아니요
2. 배당주 매수 : 글쎄요
3. 채권 투자 : 잘 할 수만 있다면야
4. 배당주와 금리 : 직접적인 관계는 없습니다
이오니
22/02/02 18:17
수정 아이콘
어설프게 대응하기보다...
처음에 세운 원칙을 지키는 게 돈을 지키는 길 입니다.
주식 6, 채권 4 포트폴리오가 깨진 상황에서... 잘 모르는데 채권 가는 건... 솔직히 도박이죠.
22/02/02 21:49
수정 아이콘
@@ 감사합니다...!
워3팬..
22/02/02 22:20
수정 아이콘
배당주는 은행권 주식 추천합니다. 금리 상승기에 주식 상승을 기대할수 있고, 예상대로 금리 상승 안 될때는 배당으로 헷지 가능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1509 [질문] 전기 면도기 구입하려고 하는데 둘 중에 어떤 게 좋을까요? [10] 세종4825 22/02/04 4825
161508 [질문] 갑자기 플스5 듀얼센스 연결이 안됩니다. [2] 엄마 사랑해요10457 22/02/04 10457
161506 [질문] 만화책한번도 안본사람에게 입문작 추천하고싶습니다 [48] Secundo5775 22/02/04 5775
161505 [질문] 삼성, 애플 모두 호환되는 스마트기기 고속 충전기 문의 [3] 예루리5471 22/02/04 5471
161504 [질문] 연말정산 관련해서 여쭤보겠습니다. [7] 나무늘보4747 22/02/04 4747
161503 [질문] 미국 박사 학생분 계신가요? 세금환급 관련 [5] 휵스5507 22/02/04 5507
161502 [질문] 좀 생각없이 걷기에 좋은 국내 여행지 있을까요? [24] 아야나미레이5781 22/02/04 5781
161501 [질문] 전기 면도기 저렴한건 좀 별로일까요? [11] 시무룩5092 22/02/04 5092
161500 [질문] 시계 등 안 쓰는 전자기기 정기적으로 충전 등 관리를 하시는지요...? [4] nexon4720 22/02/03 4720
161499 [질문] 소개팅전이었는데 멍하네요.. [44] 방탄노년단8341 22/02/03 8341
161498 [삭제예정] 병원에서 임산부에게 잘못된 주사를 놓은듯합니다.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요? [8] 삭제됨5433 22/02/03 5433
161497 [질문] 핸드폰에서 pc로 사진백업 앱 질문 [1] Jane6327 22/02/03 6327
161496 [질문] 청약통장을 묵혀두었었습니다. [3] 픽킹하리스6773 22/02/03 6773
161494 [질문] 회사에서 쓸 카메라 [6] possible6674 22/02/03 6674
161493 [질문]  s20 울트라 108mp모드 촬영시 초점문제 [11] Lord Be Goja6548 22/02/03 6548
161492 [삭제예정] 아기를 장모님(친정엄마) or 시어머니가 봐주시는 거 vs 시터 쓰는거 어느쪽이 나을까요? [21] 삭제됨6937 22/02/03 6937
161491 [질문] TV 넷플릭스 소리끊김 문제 해결법 [1] 노련한곰탱이8226 22/02/03 8226
161490 [질문] 자신 혹은 주변인이 정신질환을 갖었던 분 계신가요 [13] 욱상이7019 22/02/03 7019
161489 [질문] 포켓몬 좋아하시는 분들께 여쭙고 싶습니다 [4] 及時雨6897 22/02/03 6897
161488 [질문] DDR4 RAM 구매하려는데 그냥 제일 싼거 사도 되나요? [4] 요한나5809 22/02/03 5809
161487 [질문] 냉장고 질문입니다(캠핑용 자동차 냉장고) EZrock4599 22/02/03 4599
161486 [질문] 주린이 해외 etf 적립식 구매 질문입니다 [8] klunak5938 22/02/03 5938
161485 [질문] 글자가 적고 직관적인 모바일 퍼즐게임을 추천해주세요 [4] EpicSide5765 22/02/03 576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