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11/28 19:09:31
Name Aiurr
Subject [질문] 사이버대학교 편입학(for게임 개발) 문의드립니다. (수정됨)
방통대에 편입학했는데, 어느덧 마지막 학기입니닷, 흐흐.
졸업하면 시간이 다시 비게 되는 셈이라,
대학원 진학(이것도 방통대 대학원 생각하고 있습니다.)과 방통대 3학년 편입학을 고민하고 있는데요 '  ')...

그중 취미 단계에서의 게임 개발을 목적으로 한 컴퓨터과학과 편입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1.
아래가 해당 학과의 개설 전공과목입니다.
https://cs1.knou.ac.kr/cs1/4805/subview.do?epTicket=ST-3765858-fnVDk9gEkxl0AGfoSoluKbGskCgQ3dcgC0T-14

* 컴퓨터의 이해
* C프로그래밍
* 인터넷과 정보사회
* 유비쿼터스 컴퓨팅 개론
* 멀티미디어 시스템
* C++프로그래밍
* 컴퓨터과학 개론
* Visual C++ 프로그래밍
* 이산수학
* Java 프로그래밍
* 선형대수
* 프로그래밍언어론
* 자료구조
* 운영체제
* 디지털논리회로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알고리즘
* HTML 웹프로그래밍
* UNIX 시스템
* 컴퓨터구조
* 컴파일러구성
* 시뮬레이션
* JSP 프로그래밍
* 컴퓨터그래픽스
* 정보통신망
* 소프트웨어
* 모바일앱 프로그래밍
* 컴퓨터보안
* HTML5
* 인공지능
* 클라우드 컴퓨팅


2.
컴퓨터과학과 진학을 통한 개인적인 목표는
ⓐ 모바일게임 <모험가 이야기>류의 텍스트 어드벤쳐 개발
ⓑ PC/모바일게임 <판타지 마스터즈>류의 온라인 TCG 개발.
이 두 가지입니다만,
1번의 전공교과목 중 20과목을 수강하여 위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여쭙습니다.

더하여,
목표 달성이 불가하다면 어떤 부분에 대한 공부가 추가적으로 필요할지,
목표 달성이 가능하다면 어떤 교과목들이 핵심이 될지도 여쭙습니다.(c++이 필수라고는 듣긴 했습니다만은...)


3.
어제 서점에서 관련하여 책을 찾아봤습니다만... 유니티 파와 언리얼 파로 나뉠 수 있다고 하더라고요.
<모험가 이야기>는 유니티 엔진을 통해 개발되었다고 하던데, 공대생 출신이지만 프로그래밍은 찍먹도 못 해본 제가 다루기에도 유니티가 더 나을지요?


답변 달아주실 분들께 미리 고개 숙여 감사 인사 올립니다.
모쪼록 평안한 한 주의 마무리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나혼자만레벨업
21/11/28 21:15
수정 아이콘
프로그래밍은 어떤 식으로든 배우면 좋긴합니다만... 전공 과목들은 기본기를 탄탄하게 해줄 수 있겠지만 저걸 배운다고 해서 유니티나 언리얼을 바로 쓸 수 있거나 하진 않습니다. 어쨌든 안하는 것보단 하는 게 좋긴 하고... 더 빠른 방법이 있느냐는 또 다시 고민해봐야 할 문제고요.
21/11/28 21:41
수정 아이콘
으으... 학문적 기초만 닦는 정도인가보군요 ㅠ.ㅜ... 말씀 감사드립니다.
21/11/29 05:29
수정 아이콘
윗분 말씀대로 텍스트 어드벤처와 온라인 TCG를 위해 컴공을 배우는건 좀 돌아가는 길이긴 합니다만 앞으로 유지보수나 추가적인 게임개발을 목표로 하신다면 배워두시는게 좋습니다.
텍스트 어드벤처와 TCG는 기획과 밸런싱이 어렵지 상대적으로 개발 난이도가 높다고 보긴 힘듭니다만, 처음에 기초를 탄탄히 하시는건 당연히 좋죠.
그것보다는 본인의 학습 성향에 따라 선택하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어떤 사람은 그냥 C#+유니티로 된 튜토리얼 보고 계속 헤딩하면서 어떻게든 돌아가는걸 만들어내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물론 코드 퀄리티나 효율성은 개판이겠지만), 처음엔 좀 느리더라도 기초를 탄탄히 하면 나중에 막히는게 있어도 기존에 배운 지식을 토대로 쉽게 적응할 수 있는 사람이 있기도 합니다.
저는 후자에 해당해서 컴공 재입학해서 4년을 통으로 새로 배웠지만 어떤 사람들은 학원 나와서도 잘 하기도 하는 것처럼요.
그리고 저 20과목이 다른 학부들처럼 5과목 * 4학기로 배울거라는 생각은 안하시는게 좋습니다. 물론 저 과목들의 세부 커리큘럼은 모르고 각 과목이 얼마나 많은 진도를 포괄할지는 모르지만 제 경우 학기당 3과목이 한계였습니다. 그 이상 들으면 수료는 할지언정 제대로 이해를 하기 힘들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만약 빠르게 프로토타이핑을 만들어내고 싶다면
1. C#의 기본 문법
2. OOP
3. 자료구조/알고리즘
4. 네트워크
정도가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기초 지식에 해당될 것이고,

5. 데이터베이스
6. AWS를 통한 서버 구축
7. 유니티
8. 애플/안드로이드 앱 배포
등 부가적인 툴에 대한 공부를 하셔야 할거구요.

9.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테스팅, 리팩토링, 클린 코드, 협업)
을 모르고 진행하면 갈수록 커지고 꼬이는 코드를 관리하는데 애로사항이 클겁니다.

1, 2, 3, 4가 기초지식이라고 하지만 여기에 추가로 이산수학이나 컴퓨터 시스템 같은 로우레벨에서 어떻게 돌아가는 지에 대한 이해가 있으면 좀더 잘 하실 수 있고, 4로 퉁친 네트워크만 해도 단순히 튜토리얼만 따라가는지, 각종 레이어와 프로토콜에 대한 공부를 추가로 하는지에 따라 훨씬 방대해질 수 있어요. 개인적으로는 처음부터 저 게임을 개발할 것이 아니라 하나하나씩 배워가면서 그 수준에 맞는 게임을 개발해보시는걸 추천합니다. 혹은 이미 존재하는 심플한 게임을 클론코딩하면서 계속 업그레이드하는 방식도 있구요.
21/11/29 10:40
수정 아이콘
아이고... 2년이 좀 빠듯하긴 할 것 같았는데, 아예 여유롭게 3년 정도로 잡는 게 낫겠군요...
상세한 말씀 감사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0060 [질문] 편하고 질 괜찮고 무난한 신발 브랜드 뭐 있을까요? [21] 깃털달린뱀10144 21/11/30 10144
160059 [질문] 음식물처리기(싱크리더vs싱크케어) 사용하시는 분 제품 추천 부탁드립니다. [7] 모아찐11432 21/11/30 11432
160058 [질문] 리테일,홈쇼핑 같이 운영하는 회사에서는 전산프로그램 어떤거 쓰나요? [3] 일정7388 21/11/30 7388
160057 [질문] 닌텐도 스위치 질문입니다. [21] 톰 요크12031 21/11/30 12031
160056 [질문] 4인가족 기준 보험비 어느정도 나오시나요 [7] longtimenosee11338 21/11/30 11338
160055 [질문] 경상도쪽 천문대 갈만한곳 있을까요? [9] 은하관제9277 21/11/30 9277
160054 [질문] 노트북 화면이 자꾸 꺼집니다. [2] monkeyD8050 21/11/30 8050
160053 [질문] 중고차 사려는데 골라주세요 [30] 달달합니다8275 21/11/30 8275
160052 [질문] 벽지대신 집에 페인트 칠하면 인테리어 비용이 많이 나오나요? [9] LG의심장박용택9750 21/11/30 9750
160051 [질문] 엑셀 함수 질문드립니다. [12] 김리프4886 21/11/30 4886
160050 [질문] 비상장기업의 신용등급 확인방법? [1] 흰둥7319 21/11/30 7319
160049 [질문] 비규제지역 분양권 2개일 경우, 일시적 2주택 관련 질문드립니다. [5] 개떵이다8821 21/11/30 8821
160048 [삭제예정] . [9] 삭제됨9545 21/11/30 9545
160047 [질문] 디아2 그러면 육성 난이도가 엄청 높은 캐릭은 뭐가 있을까요? [14] 고무고무냥냥펀치10297 21/11/30 10297
160046 [질문] 연금 저축에 관한 질문입니다! [5] no.3459201 21/11/30 9201
160045 [질문] 갑자기 노트북에서 스2가 끊깁니다 [5] 세인트루이스7610 21/11/30 7610
160044 [질문] 인터넷 공유기 사용중입니다 와이파이는 잘되는데 데스크탑 컴퓨터 인터넷은 안되는이유가 뭘까요? [5] 무언가8480 21/11/30 8480
160043 [질문] 원신 처음해보는데 리세계 질문입니다 [14] 키모이맨13528 21/11/30 13528
160041 [질문] 스타워즈 잘 아시는 분들께 아앰유어파더 장면 질문해요 [7] valewalker8526 21/11/29 8526
160040 [질문] 피의 게임 1화 엔딩 음악 질문 [2] 실제상황입니다7885 21/11/29 7885
160039 [질문] 카카오 내비 사용중 통화시 길안내가 음소거 되는거 해제 안될까요? 카서스9740 21/11/29 9740
160038 [질문] 간단하게 유튜브에서 싫어요를 줄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을까요? [5] 이연진7041 21/11/29 7041
160037 [삭제예정] 고발취하 관련 문의드립니다. [4] 삭제됨7681 21/11/29 768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