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11/21 20:13
없을걸요. 아마… 네이버부동산이랑 호갱노노 깔고 가격대(예산내)로 필터걸어서 몇군데 직접가보시는게 젤 낫습니다.
동네마다 단지마다 단지내에서도 조건이 케바케라 몇군데 지역별로 도시는게 젤 빠를거에요.
21/11/21 20:50
정부보조 전세대출로 신혼부부 버팀목 중소기업청년 가능하면 무조건 하는게 좋습니다.
주택담보대출도 비슷한상품이 있구요. 결혼후에는 가능한지 외벌이 기준으로 충족하는지 알아보세요.
21/11/21 21:07
매매는 보금자리론이 제일 좋은데 부부합산소득에서 걸리겠네요.
혼인신고전 매매하면 되긴 할듯.. 전세는 전세가의 80% 나오는데 시드머니를 고려할때 전세보다는 매매 추천드립니다. 월소득에서 임대도 힘들겠네요. 음..어차피 부동산은 알고 가면 좋으니 독학으로라도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기초 개념 잡기에는 서점에 나온 책도 좋습니다. 블로거중에는 구피생이님 추천하고 사이트는 아실 정도 추천..
21/11/21 21:23
어느정도 발품 및 찾아서 공부하는 과정을 피하시긴 어려울 것 같습니다.
이게 제도나 시장 상황이 빠르게 자주 바뀌다 보니 지금 시장에 100% 맞는 책이나 글 같은게 없어요. (특히 책은 출판일이 조금만 오래 됬어도 현 제도랑 안맞을 수 있습니다.) 결국 어느정도 현재 제도 및 왕도를 이해하신 후 경제 뉴스나 대통령 선거 등에 귀기울이시면서 대응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잘 정리해 보면 경우의 수가 그리 많지 않습니다. 1. 대출 해서 매수 2. 대출 해서 (민간)전세 3. 대출 해서 공공임대 4. 월세 이 중 하나를 고르시게 될 겁니다. (청약은 상황이 안되신다니 제외) 각 경우에 대해 키워드만 몇개 설명 드리니 상황에 맞게 부족한 부분 찾아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1. 매수의 경우 매수하고자 하는 지역이 규제지역인지 확인 규제 지역에 따른 대출 규제 내용 공부 ltv, dti, dsr에 대한 이해 및 자신의 가용 주담대 대출 한도 확인 영끌 한도 확인 (신용, 마통, 가족, 퇴직금, (신용의 경우 주담대와 충돌나지 않는지)) 자신에게 맞는(자격이 되는) 대출 상품 파악 (시중 은행, 회사 협약, 정부지원(적격대출, 보금자리론, 디딤돌대출)) 부동산 다니며 매물 고르는 과정은 아예 다른 얘기니 패스하겠습니다. 2. 전세의 경우 자신에게 맞는(자격이 되는) 전세 대출 상품 및 한도 확인 (시중 은행 상품, 회사지원, 정부 상품(버팀목, 중소기업)) 임대차법, 보증보험, 방공제, 확정일자 등 개념 공부 루나의 전세역전 (https://blog.naver.com/lunaparkblog/222385035969) 3. 공공임대의 경우 https://www.lh.or.kr/ 주요사업 - 공공주택사업 & 주거복지사업 을 통해 주요 제도 및 자격 요건 확인 https://apply.lh.or.kr/ 분양임대정보 - 공지사항, 사업계획, 각종 공고문, 특히 결과 발표 공지사항을 통해 현실적인 경쟁률 및 커트라인 확인 서울의 경우 sh공사에서도 비슷한 내용 확인 월세는 생략하겠습니다.
21/11/22 19:14
청약이 안된다고 단정짓지마세요. 청약통장 2년따리도 운좋으면 될수있으니까요. 전세나 월세 고려하신다면 청약도 충분히 염두에 두시길 바랍니다.
21/11/22 21:39
(수정됨) 월급쟁이 부자들 내집마련 기초반 예신이랑 같이 들었습니다.
어떤 기준으로, 어떤집을, 어떻게 사는지 부린이 입장에서 다 알려줍니다. 가능한 같이 들으시는 편이 좋습니다. 혼자서 보시면 안보시는 상대방이 답답해지고 상대방은 또 상대방대로 오히려 더 반발할수도 있어요. 저희도 내년 1월 결혼인데 전세 구하려다가 매수 했습니다. 저희보다 자금 사정이 좋으셔서 수월하실 듯 하네요. 매수 vs 임대 자기자본 여건에 맞는 집 있으시면 최대한 매수 생각하시는게 좋습니다. 전세는 집값 유지 or 하락장에 배팅하는 거라서 상승장이면 비용을 치르셔야 하구요 (2년 뒤 모은 돈보다 더 높아진 주택가격). 구매는 유지 or 상승장에 배팅하는 거라 하락장 오면 단기적으로 비용을 치르는듯 보이지만, 장기거주 하신다면 물가상승과 더불어 주택가격도 상승하기 때문에 버티면 됩니다. 수도권 공급이 물꼬 트일라면 멀었기 때문에, 떨어진다 라고 말하는 사람 말에 괜찮을 거라고 안심하지 마세요. 매수 생각하시면 서울은 무리시고, 경기권 서로 출퇴근 괜찮은 곳 정도로 생각하셔야 할듯 싶네요. 위치가 딱히 상관없으시다면 1. 전철역세권 2. 강남역 최대한 가까우면서 환승 덜하는 곳 (전철 운행 시간이 짧은 곳) 3. 빌라말고 아파트 중에 예산 범위에 있는 (대출 + 자기돈으로 구매 가능한 곳) 로 하시면 후회는 안하실 거에요. 그 중에 어떤 걸 어떻게 사야하는 지는 강의 보시면 충분히 배우실 수 있어요. 대출은 조건들 알아보시면서 맞는 걸로 찾아보시면 되구요. 얘기하신 자본이 신용대출 포함하신 거라면 월 이자 포함해서 외벌이로 감당 되실 수준 계산해보시고 선택하시면 될 듯 합니다. 지금 조건이시면 사전청약은 그냥 내 갈길 아닌걸로 아시는편이 좋습니다.
21/11/23 21:19
한큐에 해결되는 그런거 없습니다
꾸준히 책 / 유튜브 / 팟캐스트를 통해 공부하시면 몇달 안되어 기본적인 내용은 익히게 됩니다 꾸준히가 중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