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11/20 15:56
code를 적어놓고 한번에 실행하는 방법이 있고, (= test.py라고 만든담에 python test.py하면 주르륵 실행)
대화형으로 실행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python을 먼저치고 prompt를 실행한뒤에 대화형으로 차례차례 내가 적어넣으면서 실행)
21/11/20 15:59
첨언하자면 사진에서 왼쪽은 대화형이라 입력한 명령마다 일일이 print()를 하지 않아도 결과값을 보여주는 거구요,
오른쪽은 코드를 파일에 저장해놓고 실행하는 거라서 중간 결과값들을 전부 다 보여주지 않기 때문에 화면에 보여주고 싶은 내용은 print()로 직접 출력해야 됩니다.
21/11/20 16:20
질문이 잘 이해가 안가는데
print(len(a))라고 하시거나 print(index(list_name))하시면 원하시는걸 출력하실수 있는것 아닌가요? 대화형에서는 len(a)라는 함수가 리턴하는걸 바로 출력해주지만, 코드를 실행하면 그 리턴을 받아서 출력해주는 명령(print)가 추가로 필요합니다.
21/11/20 19:37
답변 달아주신분들 감사합니다
일일이 print 를 사용해서 값을 출력하는것 저도 알아서 5개중에 3개는 됬는데 len 이랑 또 하나가 잘되서 질문드렸습니다 ( )밖에 또 ( )를 쓸수있는지 몰랐네요 저는 계속 [ ] 나 { }를 써서그런지 오류가 났거든요 ㅠ
21/11/20 20:48
파이썬에서 []를 사용할때 대표적으로 배열(array)을 사용합니다.
arr = [] # 빈 배열 생성 arr = [1, 2, 3, 4] # 배열 1, 2, 3, 4 값 print(arr[3]) # 배열은 0번부터 카운트 되기때문에 4 출력됩니다. 그리고 튜플(tuple)을 사용하는 경우 tupleTest = () # 빈 튜플 생성 tupleTest = (1, 2, 3, 4) # 1 2 3 4 원소 생성 print(tupleTest[3]) # 0번부터 카운트 되기때문에 4가 출력됩니다. 마지막으로 딕셔너리(Dictionary)를 사용하는 경우 key : value로 대칭됩니다. dictionary = {} #빈 딕셔너리 생성 dictionary = {"apple" : 3, "tomato" : 5} dictionary["apple"] # key("apple")에 대응하는 value(3)에 접근할 때 사용 dictionary["banana"] = 1 # key("banana")에 대한 value(1) 생성 print(dictionary) # {'banana': 1, 'apple': 3, 'tomato': 5} 출력 파이썬은 이렇게 세가지 경우가 있으니 알아두셔야 합니다 !!
21/11/21 02:14
(수정됨) 리스트의 항목을 전부 지우실 때 python 3.2 이상부터는 del 대신에 list.clear()를 쓰셔도 됩니다. 성능상 차이는 없지만요.
그리고 del과 clear로 전부 다 지우는건 사이즈가 클수록 시간이 오래 걸리니 굳이 인스턴스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면 그냥 새로 만드시는게 빠릅니다. 리스트를 새로 만드실 때는 []로 만드시는게 list()로 만드는 것보다 더 빠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