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11/09 05:52:18
Name 베요네타
Subject [질문] 사소한/애매한 스포 당하면 저만 화가 나나요..
과거에 플스에서 유명했던 모 게임이 스팀으로 리메이크된다는 글에 댓글
- 주인공 부모님이 둘 다 살해당하면서 시작하는 꿈도 희망도 없는 스토리라
    암울하고 진지한 분위기 좋아하는 분들은 꼭 하셨으면 좋겠네요.

>>> 기대하던 게임이었는데, 할 마음이 싹 사라져서 결국 안함


해외에서 선 발매된 게임이 곧 한글화되어 정발 예정이라는 글에 댓글
- 전작에 나왔던 조연 케릭터들이 이번 작에서 많이 죽더라구요

>>> 누가 죽을지 뻔히 예상이 되어버려서..또는 그런 장면이 닥쳤을 때 예상이 될 것 같아서...
       등장인물이 죽는다는 걸 모르는 상태에서 겪어야 긴장감이 있을 텐데, 너무 아쉬움.


이틀 뒤에 다음회가 방영 예정인 인기 드라마 관련 글에 댓글
- 스텝이었다는 분 피셜로 이번화에 A가 옥상에서 떨어져 죽어서
    드라마에서 하차한다는데, 팬들은 많이 아쉬울 듯 하네요.

>>> 가뜩이나 글 보고 기분나빴는데, 실제로 A가 옥상에서 추락하는 것 까지 보고
       죽는 것 까지 미리 알게되어버려 긴장감이 확 떨어져버림


이런 사소한 스포나 지인 피셜 같은 것들은 규정 상 걸리는 부분도 아니라서 테클걸 여지도 없고,
일반인들이 알기 전에 미리 내용을 알 정도면 해당 작품들 팬이어서 많은 분들이 접하길 바라실 텐데,
애매하게 아는 척(?) 해서 다른 사람이 할 마음이 사라지게 하는 분들 심리는 뭘까요..
아니면 제가 너무 예민한 걸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11/09 07:30
수정 아이콘
말그대로 사소해서 이 정도는 상관없겠지 하고 올리는 거겠죠.
티모대위
21/11/09 07:35
수정 아이콘
저도 정말 화납니다. 근데 별거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너무 많아서 공감도 못받음..ㅠ
베요네타
21/11/09 09:48
수정 아이콘
ㅠㅠ 맞아요! 공감을 못 받는다는게 더 안타깝습니다ㅠㅠ
우엉징아리
21/11/09 07:49
수정 아이콘
짱시름
21/11/09 08:23
수정 아이콘
전혀 신경 안쓰는 저 같은 타입도 있습니다.
반전 자체가 핵심인걸로 유명한 식스센스, 유주얼 서스펙트, 애크로이드 살인사건 모두 사전에 알고 봤지만 명작이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만듦새가 중요하지 자잘한 스포 같은건 부차적인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21/11/09 08:29
수정 아이콘
별 거 아니라고 생각해서 그렇게 얘기하는 거죠. 뭐든 재밌는 컨텐츠를 보고 나면 남들이랑 공유하고 싶으니까..
근데 또 당하는 입장에선 충분히 화나실 수 있습니다
예시로 보자면 2,3은 그런데 1은 발매된지 오래됐고 유명하면 스포딱지 붙이기엔 좀 그렇긴 하구요
개인적으론 오히려 영화를 보거나 게임을 플레이하기 전에 스포를 찾아보는 편이라 이런 사람도 꽤 있더라구요
뭐 특정 게임 커뮤니티다 하면 아예 규정도 있고 그럴텐데 그게 아니면 알아서 관련 게시물은 조심하는 수 밖에 없죠
베요네타
21/11/09 09:50
수정 아이콘
스포가 예상되거나 스토리 관련 게시물은 피하는데도,
예상치 못한 데서 가끔 걸리네요 ㅠㅠ
샤르미에티미
21/11/09 08:38
수정 아이콘
좀 된 이야기긴 한데 WWE 프로레슬링이 그 당시 우리나라에는 3~4주 늦게 이미 현지에서 라이브로 했던 경기가 한국 해설로 방송되기 때문에 스포가 난무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저는 결과를 알고 보면 재미가 떨어진다고 생각하고 대부분 그렇기 때문에 스포일러를 싫어했는데 한 친구가 난 결과를 알고보면 어떤 과정으로 이겼나 해서 더 재밌다고 하더군요. 도저히 동감 할 수 없었지만 시간이 지나 전체 내용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생기고 나니 스포일러에 별 타격을 안 받더라고요. 여전히 스포 안 당하고 보는 게 더 재밌긴 하지만 그거에 집착하게 되면 결국 본인만 손해에 본질적 재미를 놓치게 된다고 느꼈습니다.

포켓몬 신작 스타팅 진화 과정을 미리 이미지만 올려놔도 스포라고 하는 사람들이 있고 오징어 게임에 '그 배우' 나오네요(특정하지 않고 말 그대로 그배우) 라고만 해도 스포라고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게임도 이미 십수 년 전에 나온 작품 리메이크인데도 내용 말하면 스포라고 하는 사람들이 있고 원작이 있는데도 스포라고 하는 사람들이 있죠. 심지어 역사인데도 스포라고 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저도 '반전 영화'에 반전을 넣은 것 것 자체가 스포라고 생각하는 사람이지만 스포일러든 뭐든 신경쓰지 않고 일단 보거나 해보면 생각보다 스포일러라는 게 별 게 아니라고 느껴질 수도 있다고 봅니다. 그렇게 시도 했는데도 도저히 스포 당하면 재미 없어서 못 하겠다면 인터넷 커뮤니티 이용에 스스로 제약을 거는 수밖엔 없죠. 결국 그 재미를 포기하냐 저 재미를 포기하느냐인데 스포에 무감각해지려고 하는 것이 둘 다 80~90%씩은 잡는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베요네타
21/11/09 09:54
수정 아이콘
피할수 없으면 즐기는 건가요
이미 스포를 당한 경우에는친구분 처럼 생각해보려고 해보겠네요
샤한샤
21/11/09 08:41
수정 아이콘
예민하신 것 같습니다.
별거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훨씬 많다면 그게 평균에 가까운거겠죠
예민해서 잘못이다 뭐 그런 이야기를 하려는건 아니고 본인이 예민하다는걸 인정해야 그 다음 스탭도 나올 것 같아서 말씀드리는겁니다.

참고로 저는 소설이나 드라마 보다가 설정 이해 안되면 나무위키같은거 켜서 다 읽어보고 완주하기도 하는 극도로 스포에 둔감한 사람입니다.
저는 제가 특이한 성향(글쓴분과 반대쪽 극단으로 )이라는걸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과 드라마 영화 이야기 할때 매우 조심합니다.
베요네타
21/11/09 09:51
수정 아이콘
넹..이 부분에 대해서는 좀 예민한 편인 것 같아요..ㅠ
그래도 매우 조심하신다니..제가 다 고맙네요^^
Grateful Days~
21/11/09 08:55
수정 아이콘
많이 예민하시면 커뮤니티같은걸 할수가 없어요. 사람들이 저런 정보들은 글쓰다가 툭툭나오는거라..

조금 둔감해지시는게 스스로의 정신건강상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베요네타
21/11/09 09:55
수정 아이콘
네! 엄청나게 스트레스 받고 그런건 아닌데,
님 말씀데로 별거 아닌 거에 집착하지 않도록 해봐야겠네요..
사실 사소한 내용은 알고봐도 여전히 재미있는 경우가 더 많은데..
심리적인 문제인 것 같긴합니다..ㅠ
라라 안티포바
21/11/09 08:58
수정 아이콘
전 피지알 규정 기준의 스포일러 정도면 충분하다고 봐서,
원치않게 알게되서 기분 나쁠 수 있다 -> 이건 이해합니다.
(맨 마지막 예시를 제외하고) 예시에 언급된 사람들이 잘못했다 -> 이건 이해하기가 좀 어렵습니다.
맨 마지막 예시는 피지알 규정 기준으로도 스포일러에 해당되네요. (생/본방송 이전 내용언급)
베요네타
21/11/09 10:00
수정 아이콘
맨 마지막 예시는 몇년 전에 피지알 질게에 불만을 적었더니...
디씨에 가면 지인 피셜이라는 글이 수십개씩는 돌아다니는데,
그런 글은 대부분 주작이고 그 중에 팩트는 거의 없으니 그런건 스포라고 볼수 없다
이런 댓글이 주류였어요...
상영 중인 영화에서는 확실하게 적용되는데,
지인피셜이다 이런건 스포로 안치더라구요..ㅠ

사실 1,2번 예시는 저도 이성적으로는 사람들이 그닥 잘못을 한건 아니라고 생각되는데,
원망하는 마음이 생기는건 어쩔수가 없더라구요...ㅠ
21/11/09 09:01
수정 아이콘
사실 이정도 스포일러가 걱정되시면 아예 커뮤니티를 안하시는게 낫다고 봐요.
어떤식으로든지 테러 당할수 있는게 인터넷세상이라...
베요네타
21/11/09 09:52
수정 아이콘
크....맞는 말씀이신데..현실적으로 커뮤니티를 안한다는 선택지는 선택할 수가 없슴다..ㅠ
21/11/09 22:42
수정 아이콘
@베요네타
그럼 참으시는 수 밖에요.
21/11/09 09:33
수정 아이콘
저도 스포일러 질색하는 입장에서 공감합니다. 당장 얼마 전에도 유머게시판 댓글로 어떤 캐릭터의 정체를 스포일러당해서 오징어 게임 후반부를 김 빠진 상태로 봤고요… 다만 말할 자유의 보장도 중요한 것이다보니 PGR의 선은 꽤 합리적이라 생각하며, 동시에 어디나 선 타는 사람은 나타나기 마련이라 생각하기에 나를 위해 방어적으로, 흥미가 있는 작품에 관해서는 관련글 근처도 안 가는 게 낫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일반상대성이론
21/11/09 09:35
수정 아이콘
예고편이나 인트로에 나오는 수준이면 그러려니 합니다
리얼월드
21/11/09 09:40
수정 아이콘
예민한 사람들이 있죠 뭐...
잘못된건 아니지만 예민한것 또한 맞긴 맞죠...
메타몽
21/11/09 09:53
수정 아이콘
짜증은 나긴 하는데 사소한 스포까지 뭐라하기엔 좀 그렇고

대신 영화관에서 아직 영화가 상영 중인데 핵심 스포 하는 사람은 주먹을 날리고 싶습니다
꿈꾸는사나이
21/11/09 10:00
수정 아이콘
저는 상관 없긴해요.
결말 알아도 어떻게 그 결말에 이르는 걸까? 가 더 궁금해져서
21/11/09 10:07
수정 아이콘
중요한 내용이 아니면 별로 신경 안쓰는 편입니다. 본문 기준으로는 2번째거만 살짝 거슬리네요.
21/11/09 10:12
수정 아이콘
전 듣는건 상관없지만 남한테는 얘기 안합니다
아이폰텐
21/11/09 10:37
수정 아이콘
근데 영상이나 게임이나 하여간 많이 보다보면 결국엔 좀 덜 민감해지는게 있긴합니다.
어차피 대중성 있고 쉽게 읽히는 많은 영상들은 100% 클리셰 다량 함유물이라... 예측이 안될수가 없기도하고 그런 사소한 설정이나 스포사항 안다고해서 딱히 재미가 극적으로 올라가지도 않긴해요.

윗분이 좋은 예시를 써주셨는데 가량 유주얼 서스펙트 같은 작품, 당연히 그 시대에 스포없이 극장에서 본게 최고긴한데, 애초에 이럴려면 천운이 따라야하죠. 잘 알지도 못하는 배우들 나오는 외국 영화를 그 시대에 초창기에 노스포로 그냥 본다? 확률적으로 얼마나 낮겠습니까. 지금이야 명작으로 회자되니 이름도 들어서 알고 유명한 작품인것도 알아서 볼 유인이 생기는거죠.
근데 저런 작품들은 대충 내용 알고봐도 재밌어요. 잘 만들었으니까요. 그래서 뭐 저는 별로 신경 안쓰긴합니다.
본문에 적어주신것도 [초반에] 부모님이 살해당하고 시작한다 이러면 뭐 별로 신경 안쓰는데 [마지막에 부모님 살해당하고 복수를 다짐하고 끝]나면 좀 그렇긴하죠 크크
포도씨
21/11/09 10:39
수정 아이콘
전 방대한 내용이나 복잡한 설정의 영화같은경우에는 줄거리를 미리 찾아보는 스타일이어서 스포일러에 민감하신 분을 이해한다고 말하기 힘든 입장이긴하지만 민감한 사람들을 위한 배려는 당연히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단, 내가 피곤하지 않은 선에서요. 조연 누구 매력 쩔더라 조차도 얘기 못하게 하는 분들이 가끔 있는데 이 정도면 제 주변에 나타나지 말았으면해요.
지은아이유
21/11/09 12:10
수정 아이콘
스포 정말 싫어하는데요 그중에 최악은 가짜 스포였습니다.
주요 인물중에 누가 죽는다고 해서 그부분을 계속 신경쓰면서 봤는데 결국 안죽더라구요

[난 스포한게 아닌데?]라고 할까봐 따지지도 못했어요 크크
소믈리에
21/11/09 13:17
수정 아이콘
저도 꽤 민감한 편입니다
어벤저스 엔드게임이라든지 이런 대흥행있거나
중요 스포츠경기 라이브를 못보게 될때는

사용하던 단톡방도 나가고 했어요
커뮤니티는 아예 안들어감...
메타몽
21/11/09 13:44
수정 아이콘
엔드게임 쯤 되면 얘기가 다르죠 크크크

클라이막스 부분을 풀로 만든 영화니까요
소믈리에
21/11/09 13:46
수정 아이콘
그렇지만 국밥먹고 영화관 들어가려고 했는데 국밥집 옆테이블한테 스포당했......
메타몽
21/11/09 13:50
수정 아이콘
영화관 근처 식당, 영화관 엘리베이터 등에서는 조심해야 합니다 ㅠㅠ

저도 기억이 안나는 무슨 영화 보러갔다가 엘베 타고 내려오는 남자 두명이 얘기하다가 치명적인 스포를 당했죠 ㅠㅠㅠㅠ
Rorschach
21/11/09 14:04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전 제가 먼저 본 입장일 때, 극장에서 바로 내려가는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에서는 영화 이야기 자체를 잘 안 합니다 크크
엔드게임 같은 기대작 개봉 땐, 개봉일 쯤 봤으면 웬만하면 지하철이나 버스에서도 이야기 안해요 크크
메타몽
21/11/09 14:08
수정 아이콘
제가 당하기 전에는 영하관 내려오면서 사람들 없을 때 저런 얘기 했는데 요즘은 거의 안합니다 ㅠ
The)UnderTaker
21/11/09 13:50
수정 아이콘
스포하는걸 재미로 사는사람들이 많기때문에 스스로 조심해야합니다 어쩔수없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1829 [질문] 플스5용 HDMI to DP 케이블을 찾습니다 [4] 회전목마8243 22/02/17 8243
161688 [질문] 70인치 tv로 콘솔 게임 하려면 엑스박스 시리즈S로는 안되나요? [7] 오렌지망고4737 22/02/11 4737
161583 [질문] 40대 남성 생일선물 뭐가 좋을까요? [58] 모나크모나크6798 22/02/06 6798
161508 [질문] 갑자기 플스5 듀얼센스 연결이 안됩니다. [2] 엄마 사랑해요9026 22/02/04 9026
161414 [질문] 노트북 추천 부탁드립니다. [2] 찬양자4653 22/01/29 4653
161165 [질문] 모니터 단자 종류 많은 것 질문 [4] 허느4510 22/01/17 4510
160923 [질문] ps3 용 한글판 2d rpg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5] 귀여운호랑이5215 22/01/06 5215
160908 [질문] 플스 게임 추천 받습니다. [16] 원장5029 22/01/05 5029
160896 [질문] 플스 듀얼쇼크 수리 질문 [2] 원장5144 22/01/05 5144
160680 [질문] 드래곤퀘스트 11 플스 or 스위치 [7] Gotetz6916 21/12/28 6916
160647 [질문] 닌텐도 스위치 포켓몬스터 질문입니다. [5] Jane6146 21/12/26 6146
160581 [질문] 플스5 타이틀 추천좀해주세요 [16] 쥬리6589 21/12/24 6589
160537 [질문] PS store 질문드립니다 [2] 생선가게 고양이7359 21/12/22 7359
160136 [질문] (플스 스팀불문) 2인 or 4인게임 추천부탁드립니다!! [10] EnzZ7673 21/12/04 7673
160013 [질문] 나룻티밋스톰 4 살려는데 질문이요 [4] 원장8652 21/11/28 8652
159972 [질문] 스팀 게임 세일 리스트 중에 이건 진짜 해봐야 된다 할만한 게임 있을까요? [8] 너의 모든 것9257 21/11/26 9257
159652 [질문] 모니터(TV용)으로 삼성 S43AM700 괜찮을까요? [7] 회전목마7571 21/11/12 7571
159574 [질문] 사소한/애매한 스포 당하면 저만 화가 나나요.. [35] 베요네타10884 21/11/09 10884
159550 [질문] PS5 한글판 안나온 게임을 지금 사서 추후에 한글판이 나오면 한글로 할 수 있나요? [6] 유나 크로포드7466 21/11/07 7466
159519 [질문] 닌텐도 스위치 계정 질문 드립니다. 산밑의왕7574 21/11/06 7574
159328 [질문] 블러드본 플레이스테이션히트와 dlc질문입니다. [3] 찬양자9708 21/10/29 9708
159234 [질문] 슈로대 30 스위치판 예약구매 질문입니다. [2] Naked Star8460 21/10/26 8460
159210 [질문] 인터넷 가입을 어떻게 할지 고민입니다. [6] 그냥가끔7020 21/10/25 702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