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9/28 00:11:10
Name 아니그게아니고
Subject [질문] 오버헤드 스쿼트는 왜 난이도가 높은걸까요?
오버헤드 스쿼트는 일반 스쿼트에 비해 난이도가 높은 것으로 알고있는데요

궁금한 건 난이도가 높은 이유가 바벨의 무게가 머리 위로 올라가면서
1. 하체에 가해지는 중량이 늘어나서
2. 무게중심이 위로 올라갔기 때문에 밸런스를 잡기 어려워서
둘 중에 어느 부분이 더 클까요?



헬스장 가면 70~80kg정도로 스쿼트 하는데
홈트할 때 20kg로 오버헤드 스쿼트로 하니까 하체에도 은근 자극이 오더라구요.
근데 이게 초반에 밸런스가 안잡혀있어서 자극이 느껴진건지, 아니면 원래 오버헤드스쿼트는 낮은 무게로도 하체에 큰 자극을 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어바웃타임
21/09/28 00:24
수정 아이콘
중심잡기가 힘들어서
팔에 더 무리가 가서

헬알못이 그냥 직관적으로 써봅니다
21/09/28 00:35
수정 아이콘
밸런스 잡기가 어마무시하게 힘듭니다. 크로스핏 하면서 오버헤드 스쿼트 처음 한 날을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하는데 너무 어려워서 멘탈이 터졌었거든요.
아니그게아니고
21/09/28 00:46
수정 아이콘
80kg까지 들엇던 사람이 처음에 20kg 오버헤드 프레스가 힘들순 있어도 나중에 익숙해지면 하체에 큰 자극안 못줄까요?
크로스핏 하실땐 어떠셨나요?
21/09/28 00:53
수정 아이콘
오버헤드 스퀏은 하체보다 코어,전신 밸런스가 주인 운동이지 하체 자극하려고 하는 운동 아닙니다;; 하체가 목표시면 걍 백스퀏이나 프론트 스퀏 하세요.
아니그게아니고
21/09/28 00:58
수정 아이콘
홈트라서 20kg밖에 없네요..
헬스장은 임신한 아내때문에 걱정돼서 못가겠어서요ㅜㅜ
21/09/28 01:02
수정 아이콘
아... 그러시면 오버헤드 스쿼트 한다고 백스쿼트에 비해 하체를 더 많이 쓴다던지(=부하가 걸린다던지) 하는건 아닙니다. 걍 난이도가 더 어려우니 일시적으로 그렇게 느끼시는거라 추측되고, 20kg라고 하셨으니 빈봉인데 사실 말씀하신 중량 치시면 이정도 무게의 오버헤드 스쿼트는 금방 적응하실겁니다.
태연­
21/09/28 00:36
수정 아이콘
전 2에 한표
하우두유두
21/09/28 00:37
수정 아이콘
증심에서 멀어졌기때문이 클겁니다. 몸통무게중심에서 멀어질수록 힘들어져요. 쌀포대를 가슴으로 안아서 드는것과 팔을 쭉뻗어서 드는거를 비교해보시면 될듯요
아니그게아니고
21/09/28 00:46
수정 아이콘
하체에 가는 자극은 비슷하겠네요.
21/09/28 00:39
수정 아이콘
2번인데 중심에서 벗어나면 벗어날수록 평형을 이루기가 어렵..
피플스_스터너
21/09/28 00:49
수정 아이콘
모멘트암이 길어지면서 같은 무게라도 느껴지는 것은 상상 이상으로 무겁죠. 게다가 보통 코어가 약해도 어찌저찌 스쿼트 고중량까지도 칠 수 있지만 코어가 약하면 오버헤드스쿼트는 빈봉도 힘들게 느껴집니다. 실제로 만세하고 스쿼트 해보면 이상하게 제대로 앉았다 일어날 수가 없습니다. 어마어마하게 길어진 모멘트암을 팔이나 하체로 잡는게 아니라 코어로 잡아야 하는데 이건 평소에 스쿼트 할 때 느껴지는 코어의 힘과는 차원이 다르거든요.
오르캄
21/09/28 00:57
수정 아이콘
2번. 밸런스를 잡기 위해 유연성과 발바닥 접지, 코어 안정성이 더 필요하다고 배울때 듣긴 들은 것 같은데...선생님 죄송합니다
리얼월드
21/09/28 01:00
수정 아이콘
하체에 가는 데미지는 무게가 같으면 같습니다.
더 어려운 이유는 기존 스쿼트에서 안쓰는 능력을 써야해서이지, 하체 자극은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8574 [질문] 금일 패치 후 나아갈 방향에 대해 로스트아크 고수님들의 고견을 여쭙습니다. [7] 유연정11067 21/09/29 11067
158573 [질문] 디아블로2 스킬 찍어보고 스킬 인게임 영상 볼 수 있는곳이있나요? [1] 라리10274 21/09/29 10274
158572 [질문] 실비 및 종합 보험 가입관련 질문입니다. [9] The Normal One13227 21/09/29 13227
158571 [질문] 파주 데이트 코스 추천부탁드립니다. [9] monkeyD10804 21/09/29 10804
158570 [질문] 삼성컴퓨터같은 브랜드PC는 어디서 구매하나요? [5] 리얼리스트가7411 21/09/29 7411
158569 [질문] 서울에서는 깍두기라 불렀는데 다른 지역은? [18] 쏘군10051 21/09/29 10051
158568 [질문] 디아2 레저렉션에서 버그 고쳐졌나요? [2] Quantum2110118 21/09/29 10118
158567 [질문] 경주 차 없이 여행 가능할까요 [18] 及時雨15445 21/09/29 15445
158566 [질문] 궁금한게 있습니다. 이번에 폴드3를 skt에서 구매 했는데요. [6] 배두나9002 21/09/29 9002
158565 [질문] (정치) 김현미 기사관련 이거 가짜 뉴스인가요? [4] 분란유도자10539 21/09/29 10539
158564 [질문] [디아2] 레저렉션용 조립PC 사려고 하는데요 [11] Mraz7217 21/09/29 7217
158563 [질문] 3가지 상황 모두 우측깜빡이인가요? [23] 파란무테15074 21/09/29 15074
158562 [질문] 강철의 연금술사를 보는 최적의 순서는? [18] Quantum2111945 21/09/29 11945
158561 [질문] [LOL] 리위안하오 밈? [3] foraiur10352 21/09/29 10352
158560 [삭제예정] 피쟐에 NFT 하시는분? [10] 삭제됨9833 21/09/29 9833
158559 [질문] 건축에 대한 서적 추천 받고싶습니다. [4] 김정각6787 21/09/29 6787
158558 [질문] 남양주/구리 횟집이나 오마카세 추천 부탁드립니다. [3] 이리세8505 21/09/29 8505
158557 [질문] [디아2] 맨땅 팔라딘 육성 [6] 중상주의16583 21/09/29 16583
158556 [질문] 디아블로2 완전초보 궁금한거 물어볼께요. [18] 서리풀11763 21/09/29 11763
158555 [질문] 갤21 원래 발열 심하나요? [15] 롯토12944 21/09/29 12944
158554 [질문] 전세보증금을 돌려주기 위한 대출 가능한가요? [3] 콩탕망탕9266 21/09/29 9266
158553 [질문] 부모님이 교통사고 및 폭행을 당하셨습니다. [34] FRONTIER SETTER11899 21/09/29 11899
158552 [질문] 운전석 발 위치 질문입니다. [6] 탄야7985 21/09/29 798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