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6/12 13:58:21
Name nexon
Subject [질문] 배당주에 대해 궁금한 게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예컨대 시가배당율이 10%인 주식이 있다면 현재 주가기준으로 10%가 배당금(정확히는 전년도 배당금)이라는 의미인데요

그렇다면 이 주식을 1억원 어치 갖고 있으면 매년 1천만원씩 배당금으로 받을 수 있을 텐데

아무리 시가배당율이 높아도 당기순이익과 배당성향이라는 것을 함께 봐야 한다고 해서요... @@

배당은 순이익이 나야 줄 수 있는 거고 순이익이 있어도 배당성향이 낮으면 배당금을 못 받을 수 있을 텐데

결국 아무리 시가배당율이 높아도 당기순이익이 꾸준히 나지 않거나 배당성향이 낮은 주식은 배당주로서 무의미한 것인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설사왕
21/06/12 14:05
수정 아이콘
보통 순이익이 꾸준히 나야 배당율이 높죠.
순이익이 꾸준히 나지 않는데 배당율이 높은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천일고속 정도가 생각 나네요.

그리고 배당율이 높다는 말이 곧 배당 성향이 좋다는 의미인데, 배당율이 높은데 배당 성향이 낮다는 말은 모순된 표현같네요.
아린어린이
21/06/12 14:44
수정 아이콘
배당주의 목적은 장기간 보유하면서 회사에서 주는 "배당금"이 투자의 목적이 됩니다.
당장 작년 배당이 높지만 순이익이 낮다면 이것이 일회성 배당일 가능성이 높고 지속적인 배당이 안될 가능성이 높겠죠.
(수익이 없는데 배당을 할순 없으니까요)
배당성향 이라는 건 현재 배당율이 점점 올라서 10%가 된건지 점점 줄면서 10%가 된건지 봐야 한다는 겁니다.
장기간의 투자가 기본이니 만큼 이러한 성향을 봐야 이주식을 장기간 보유할건지 판단 할수 있겠죠.
21/06/12 14:48
수정 아이콘
일단 각 단어가 정의하는바를 한 번 살펴보면

시가배당률 = 배당금 / 현재주가
배당성향 = 배당금 / 당기순이익

결국 배당이라는게 각 기업이 돈을 벌고 배당 재원이 있어야 가능한만큼
말씀하신대로 시가배당률뿐만 아니라 당기순이익 및 배당성향도 매우 중요합니다.

다만 이익을 많이 내는 기업도 배당을 전혀 진행하지 않을 수 있고,
이익이 적은 기업, 심지어 적자인 기업의 경우에도 배당 가능 재원만 있다면 배당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주가에 신경을 많이 쓰거나 주주친화적인 기업들의 경우 배당성향을 아예 공시하거나 IR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하여
투자자들에게 시가배당률에 대한 가시성을 주곤 합니다.
특히 전통적인 배당주로 분류되는 섹터 혹은 기업의 경우 더더욱 그렇게 진행하고 있구요
배당을 기대하고 들어온 투자자들에게 시가배당률은 가장 중요한 팩터이고, 이를 예상할 수 있어야 주식을 매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배당성향이 낮다면 시가배당률이 높기는 아무래도 쉽지 않겠죠
제가 위에 적은 등식을 보면 둘다 분자는 배당금이니
배당성향이 낮고 시가배당률이 높으려면,
당기순이익이 높고, 주가가 낮아야 합니다.
즉 기업의 가치가 낮게 평가되고 있을 경우에는(PER이 낮을 경우) 상대적으로 배당성향이 낮으면서도 시가배당률이 높은 것이 가능하겠죠
예시로는 건설주나 은행주 등을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기업으로 보면 동원개발, JB금융지주 등이 있겠네요
21/06/12 15:09
수정 아이콘
그래서 만약이란게 있다면,
작년 저점에 증권주 잡았다면
최고의 배당주가 되었을듯.
21/06/12 16:05
수정 아이콘
시가배당률이 높은데 향후 배당금액이 크게 증액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보인)다면 그건 정말 좋은거고, 증액이 될지 안될지 불투명할 경우라도 나름 의미는 있습니다. 주가의 하락을 제한시키고 + 확실한 일정 수익을 보장하니까요.

한국시장 및 한국시장에 속한 기업들 대부분은 경기에 민감하기 때문에 꾸준히 증액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이익과 배당이 상당기간 정체되다가 특정 시점을 지나야 증액이 시작되는 싸이클을 가지죠. 그 점에서 보면 가장 근본적으로 중요한 것은 배당보다는 이익과 주가의 방향(타이밍보다는 가격이 좀 더 중요)이고, 배당은 약간 부수입 비슷한 느낌으로 보는게 정석이겠습니다.
그 부수입에 어느정도 비중을 부여할 것인지는 각자 사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어디 이자가 꾸준히 나갈 일이 있어 현금흐름이 중요하다면 계좌의 배당수익률을 높이는 것은 꽤 중요해지겠죠.
21/06/13 12:07
수정 아이콘
@@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5896 [질문] 게임에서 마우스를 아예 조작에서 제외하고 싶습니다. [1] 스물다섯대째뺨8334 21/06/13 8334
155895 [질문] 젤다 야숨에 비하면 스카이워드 소드는 어느 정도 난이도인가요? [3] 8525 21/06/13 8525
155894 [질문] 얀센접종 72시간 경과러 분들 컨디션 어떠십니까? [20] Euphoria7653 21/06/13 7653
155893 [질문] 대구공고 근처에 주차할만 곳 있나요? [1] will9374 21/06/13 9374
155892 [질문] 수압상승 샤워헤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4] Demi7428 21/06/13 7428
155891 [삭제예정] 훌훌 털고 잊는 것도 훈련이 될까요? [8] 삭제됨8856 21/06/13 8856
155890 [질문] 스포티파이 만족도 어떠신가요? [9] TranceDJ8499 21/06/13 8499
155889 [질문] 백신 접종 관련 질문입니다.(신분증) [10] 남자답게8349 21/06/13 8349
155888 [질문] 전세보증보험 관련 질문입니다! [3] 곰비6546 21/06/12 6546
155887 [질문] 유로 결승까지 볼라면은 내일 결제 해야되죠? [3] 키토7501 21/06/12 7501
155886 [질문] 경찰분들의 도로 검문은 어떤 경우 이루어지나요? [2] 갈릭반핫양념반10018 21/06/12 10018
155885 [질문] 웹소설 플랫폼 별 특징이 있을까요 [2] 올해는다르다9091 21/06/12 9091
155884 [질문] 안마의자 바디프렌즈 vs 코지마 추천좀 해주세요 [2] 시은9170 21/06/12 9170
155883 [질문] 하 배달 음식 도난 당했네요 [8] 교대가즈아8975 21/06/12 8975
155882 [질문] 얀센 접종 후 알러지약 복용가능할까요 [6] FalltoFly後10048 21/06/12 10048
155881 [질문] 갤럭시 버즈 프로 재생버튼 질문입니다! [2] no.3457285 21/06/12 7285
155880 [질문] 자동차 정비 잘 아시는 분 계신가요? [2] 저무는오후5705 21/06/12 5705
155879 [질문] 대출 상환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오이자왕6582 21/06/12 6582
155878 [질문] 스타벅스 프리퀀시 [4] 쭈루룩쭈루룩6781 21/06/12 6781
155877 [삭제예정] 우주에서 속력?속도?에 대한 질문 [11] 치카치카9221 21/06/12 9221
155876 [질문] 얀센 접종자 분들 증 아프신 분들 바로 타이레놀 드셨나요? [17] 닭강정9628 21/06/12 9628
155875 [질문] 사진을 공유하기 쉬운 방법 질문드립니다. [8] 바나나맛슈터11303 21/06/12 11303
155874 [질문] 6인끼리 1박2일이나 2박3일 갈만한데있을가요 [4] 롯토9787 21/06/12 978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