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2/04 11:54:44
Name ski~
Subject [질문] 우울증과 죽음을 극복해보신 분이 계실지요.
앞으로 이어질 질문은 다소 어두운 내용일 수 있으니 밝은 대낮에 우울한 이야기를 원치 않는 분은 돌아가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생각과 고민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다가 이대로는 안되겠다싶어 가입이 되어 있는 커뮤니티인 pgr에 여쭤보고자 이렇게 글을 씁니다.

요즘 제 스스로를 우울증이라고 진단내렸습니다. 사실 꽤 오래 진행되어 왔을 수도 있습니다. 최근들어 죽음에 대해 구체적으로 생각하기에 이르렀고 환한 대낮인 지금도 이런생각을 하고 있는 스스로를 자각했습니다. 더이상 혼자 생각하고 판단하는건 시간낭비라는 생각에 용기를 냈습니다.(오프라인 지인들에게 이런이야기를 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물론 가까운 친구들은 제가 좋지 못한 상황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자살에 대해서 검색하고 찾아보면 정신적으로 죽음의 입구에 다다랐던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은 리플들만 봐도 티가 확 나더군요. 죽음에 근접해 있는 사람에 대한 이해가 굉장히 떨어져서 조언과 표현이 정말 쓸모없을 정도입니다. 아마 죽음의 문턱에 다다랐다가 벗어난 사람이 아니고서는 조언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바 설명을 주저리주저리 늘어놓을 필요도 없다고 생각되어 제 상태에 대해 가능한 간단히 적어보려 합니다.

현재 저는 태어나지 말았어야 했는데 태어난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근본적으로 계속 스스로에게 따져 묻고 들어갔더니 결국 부모로부터 파생된 문제가 나에게 전이 되었는데 처음에는 이게 단순 금전적인 문제인 줄 알았으나 더 깊숙한 곳에는 애초에 부모의 존재 자체에서 문제가 있음을 알게되었습니다. 하여 결국 나에게 많은 돈이 생긴다 한들 지금 내 정신상태를 크게 극복할 수 없겠다라는 생각에 도달해있습니다. 아무생각하지 않고 맑은 정신을 유지하기 위해 운동을 해온지 벌써 5년이 넘었습니다. 최근에는 머리쓰는 일을 피하고 일부러 몸쓰는 현장일을 선택해 낮밤이 바뀌지 않고 정상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유지하고 있습니다. 다행히 밤에 잠은 잘자고 있습니다. 제가 우울증에 걸리고 계속 안좋은 생각을 하는 이유를 객관화해서 관찰해보건데, 제 노력으로 쌓아 나아가는 성취대비 부모로부터 발생하는 안좋은 스노우볼이 더 빠르게 굴러가 저에게 20대 초반부터 작용해 왔던 것이 크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과거를 돌이켜보면 어렸을때 남들처럼 살기 위해서 참 열심히 살았었는데 매번 부모의 부정적인 영향으로 남들과는 다른 길을 걸어야만 했던, 선택의 여지가 없던 것이 정신적으로 크게 작용하는 것 같습니다. 40까지는 인생 힘들어도 열심히 살아보고 그 다음에 죽을지 말지 판단하자고 했던 계획을 수정하고 올해까지만 살기로 현재 마음 먹은 상태입니다. 열심히 살면 제가 처리할 수 있는 빚은 올해로 청산이 가능해 보이기 때문입니다. 최대한 다른 사람에게 피해는 주지말고 나 혹은 내 주변이 싼 똥은 남들에게 전가시키지 말자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생각해보니 죽는다는 것도 생각보다 꽤 번거롭고 남에게 피해를 아예 안주기는 힘든 일입니다. 그게 참 마음에 걸리고 있습니다. 1년동안은 내가 진 짐을 최선을 다해 옮기고 남에게 피해주지 않을 방법을 최대한 찾아보려합니다.  

죽는 것은 주변인을 슬프게하기 때문에 죽으면 안된다 -> 주변에 크게 슬퍼할 사람이 없으며 부모의 슬픔은 현재 제 관심사가 아닙니다. 30넘어 중반쯤 되니 각자 다들 살기 바쁩니다. 제 죽음이 그들의 인생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지지 않으며 인간사 제 주변인물들 사이에 저같은 사람이 한명 존재하는 것은 통계적으로 이상한 수치는 아닙니다. 그게 저인게 저에게 안타까운 상황일 뿐이지만요.

살다보면 나아질 것이다 -> 보통 예측은 과거의 데이터로 미래를 예측하게 되는데 이미 제 인생의 함수는 지금이 최대값 지점이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제 부모를 보며 왜 진작 안죽고 아직 살아있는지 의문을 품고 있는 저로서는 현재 인생 최대값일 때 익절하고 마무리하고 싶습니다. 추잡하게 그들처럼 가까운사람에게 피해주면서 살아가고 싶지 않습니다.

이 글을 올리고 저는 열심히 살기위해 운동을 갈 예정입니다. 다녀와서 댓글이 있다면 하나하나 읽고 가능하다면 되도록 좋은 방향으로 어떻게든 궤적을 바꾸려는 마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쉽진않겠지만요. 여기에는 인생 선배님들도 많을 것이고 저보다는 나이가 어리지만 먼저 저같은 경험을 했던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저에게 해주실 조언이 있다면 한말씀 부탁드리겠습니다. 혹시 피치못하게 글을 읽어 기분이 안좋아지신 분들이 있다면.. 죄송합니다. 이정도만 이기심을 내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안군-
21/02/04 12:39
수정 아이콘
정신과 진료나 상담 등은 받아보신 적이 있는지...
저도 극복을 완전히 하지는 못한 상태입니다만, 일단 정신질환도 병이고, 전문의의 진료와 치료를 받는게 필수적이라 봅니다.
10년 넘게 약에 의존해서 견뎌내고 있습니다만, 그래도 약 조차 없이 혼자 끙끙대며 버티던 시절에 비해서는 훨씬 편안하고 좋아요.
감기나 치통도 진통제 없이 버틸 수 있지만 너무 괴로운것처럼 마음이 아픈 것 또한 마찬가지라 봅니다.

그리고, 힘들고 우울하고 분노스럽고 후회스럽고...한 감정들이 나쁜게 아니에요. 몸이 아프면 열이 나는 것과 마찬가지에요.
힘내시라, 잘 극복해라, 등등의 조언은 아무 의미가 없다는 것도 잘 알고 있습니다. 벗어날 방법을 잘 찾아보시고 편안해지시길 빕니다.
SigurRos
21/02/04 12:54
수정 아이콘
혹시 정신의학과의원에 다니고 계시는지요? 가지않으셨다면 먼저 방문을 추천드립니다.
의사가 처방해주는 약이 효과가 꽤 좋습니다. 드라마틱할 정도로 기분이 나아져요.
안먹어보고는 이거 정말 모릅니다.
사람의 마음이나 감정이란것도 약 몇알이 정말 이렇게 간단하게 바꿀수있구나 저는 정말 놀라운 경험을 했어요.

운동을 자주 하신다고하니 신체는 건강하신듯하고 빚과 가족때문에 고통받으시는 것 같습니다.
올해안에 빚은 청산가능하시다고하니 약을 드시고 버티면서 우선 빚을 청산하심이 좋을듯하구요.
이후에 가족은 뭐 연을 끊으면 그만아니겠습니까? 죽을만큼 괴로운데 가족이 무슨 소용이겠습니까.

약을 드셔야합니다. 강력히 권유합니다.
자작나무
21/02/04 12:59
수정 아이콘
일단 병원에 가셔서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셔야 합니다.

그것 말고는 아무런 할 말이 없습니다.
세인트루이스
21/02/04 13:05
수정 아이콘
'살다보면 나아질 것이다'는 막연한 말이라는 의견에 동의합니다. 하지만 제가 갖고 있는 생각은 '안 살아보면 모른다'입니다.

엉터리 같지만 주식에 비유해겠습니다. 재무재표나 회사 사정을 봤을 때 딱히 상황이 나아질 건덕지가 안 보이는 회사라면, 아무리 지금 주가가 낮아도 익절하는게 맞는 판단이겠죠. 하지만 주식을 판다는 것은, 그나마 최대한 돈을 건져서 다른 곳에 투자 혹은 사용하기 위함이겠죠. 즉 그건 투자자의 입장이죠. 글쓴 분은 현재로썬 암울해보이는 기업의 사장이신거죠. 남이 강제로 상장폐지를 시킨다면 그것은 어쩔 수 없겠죠. 근데 그게 아니라면, 내가 여기서 돈을 빼서 다른 곳에 투자할수도 없는 것이라면, 굳이 스스로 상장폐지를 할 이유가 있을까요? 이번 게임스탑 사태처럼 정말 말도 안되는 이유로 빵 터질수도 있는데?? 그냥 존버하는게 어떨까요.

수능 망친 학생이 자살 했다는 기사를 보면, 현명한 선택을 했다는 반응보다는 안타깝다는 반응이 많습니다. '내가 살아보니 수능이 인생의 전부가 아닌데', '나도 수능 망쳤지만 어떻게 길을 찾아서 지금 잘 살고 있는데', '중고등학생 때 삶에 대해 다 알았다고 생각하겠지만 그 생각이 바뀔수도 있을텐데' 등의 이유로 안타깝게-즉, 합리적이지 않은 선택을 했다- 생각하더군요. 저도 글쓴 분이랑 나이대가 비슷해서 이 나이대 이후의 삶이 어떨지 말씀드릴수는 없네요. 한번 70-80-90살까지 사신 노인분들께 여쭤보는건 어떨까요? 그때까지 살아보셨는데 혹시 제가 지금 모르는 삶의 재미/의미가 있는지를요. 죽는다는 엄청난 결정을 이성적으로 판단하시는 것이라면, 그 정도의 수고로움을 할 가치가 있다고 봅니다.

글쓴분 상황이 현재로썬 그렇지 않은 것 같지만, 본인의 삶을 희생해가면서 가족이나 소중한 사람의 삶을 도와주는 것에 삶의 의미를 찾고 사시는 분도 많이 봤습니다. 사람의 인연이라는게 정말 모르는건데, 언젠가 글쓴 분께도 도와주고 싶은 누군가가 생길 수도 있지 않을까요? 지금 그런 사람이 없다고 삶을 마무리 하셔서, 그 사람이 미래에 정말 도움을 필요로 할때 글쓴 분이 곁에 없어서 도움을 못 준다고 생각하면, 그것도 슬프지 않을까요?

주저리 주저리 말이 길었네요.
21/02/04 14:04
수정 아이콘
전체적인 생각이 저와 비슷하네요.
제가 사라져도 친구도 없고, 부모마저 기대를 버렸기에 슬퍼할 사람도 없고.
살다 보면 나아질 거란 희망도 전혀 생기지 않네요.

그래도 저보다 님이 희망적인 것은 열심히 살아가려는 생각이 있는 거네요.
저는 그것조차 없어요.
21/02/04 14:16
수정 아이콘
병원 가셔야겠네요
아말감
21/02/04 14:56
수정 아이콘
제가 비슷하진 않지만 우울증으로 힘들었던 적이 있었는데 병원도 적극적으로 가고 돈이 좀 많이 들긴 했지만 상담고 적극적으로 받았습니다.
약이 효과가 드라마틱하게 있지는 않았지만 아주 극단적인 생각이 줄어들게 되었고 의사선생님께서 약을 끊어도 된다고 말씀하시고 세달정도 더 약을 먹고 그 이후에는 자연스럽게 약이 없어도 되겠다 생각이 되어서 약도 끊었습니다.

다른것보다 지금까지 견디신것도 너무 대견하고 멋지시고 앞으로도 꼭 극복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21/02/04 14:58
수정 아이콘
몸과 마찬가지로 마음이 아프시면 의사의 도움을 받아야합니다.
상한우유
21/02/04 15:20
수정 아이콘
그냥 우울함/우울증은 상수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오래전에 병원 1년 넘게 다니고 약도 먹고 했습니다.

첨엔 당시에 좀 비싼데 50분 상담 10만원에 진단서비 따로 약값따로...몇번 가다가 의사랑 싸우고...동네 병원으로 옮겼죠. 상담은 별루였지만 약은 효과가 있어서 약타는 의미로 다녔습니다. 거긴 1만원에 약까지 주더군요...

한 1년정도 다녔나? 평소에는 저만 있었는데 그날따라 3명의 환자분이 대기중이시더라고요...근데 그분들은 어캐 표현해야 좋을지 모르겠지만 병색이 완연해보여서 누가봐도 병원 가야겠다 라는 느낌이...그 날 이후로 병원 끊었습니다....;;
21/02/04 15:39
수정 아이콘
우울증에 빠져 있다면 한 지점에 생각이 골몰돼 중용적인 판단을 내리기 어렵습니다.
본인 입장에서는 한없이 이성적이고 정확한 판단이니까 계속 거기에 빠지고, 더 굴 파고 내려가고, 타인고 멀어지고... 악순환이죠.
이 방면의 전문가인 의사를 믿고 의지하세요. 그리고 좁고 작은 문제에서 시선을 거두는 연습을 해보세요...
지금 당장 바다를 보러 가시는 것도 좋고, 평소에 안 해본 것들을 충동적으로 질러 보세요.
21/02/04 15:39
수정 아이콘
쪽지 확인부탁드려요~
백년지기
21/02/04 15:52
수정 아이콘
우울증과 우울감은 완전히 다른 영역입니다. 반드시 병원에 가서 진단을 받으세요..
우울증이라면 약부터 처방받아야하고, 단순히 우울감이라면 기분을 바꿔줄 무언가를 통해 당장 내일이라도 사라질 수 있습니다.
해결을 위해선 무엇인 문제인지 정확히 아는 것부터 시작이에요.
물론 여기 글 적으신 목적이 공감과 응원이라면 다행이지만..
21/02/04 16:15
수정 아이콘
꼭 정신과 상담을 받으시고 필요시 약물의 도움 받으시길 권해드립니다. 경험상 정말 많이 나아집니다.
시비르
21/02/04 16:29
수정 아이콘
저도 우울증으로 3년 넘게 상담을 받았고 그 뒤에 우울증이 좀 괜찮아지니 공황이 찾아와서 공황으로 또 한 1년 치료 받았습니다.
지금은 많이 괜찮아졌고 약이나 상담없이 살아갈정도의 상태는 되는 것 같습니다. 저랑 비슷한 나이에 비슷한 경험을 하시는 것 같아서
댓글 남깁니다.

우울증이 심하던 시절에 저도 죽음을 생각한 적이 있었는데 그때 제가 죽으면 주변인이 슬퍼한다거나 살다보면 나아진다거나 이보다 더 힘든 사람도 많다 이런 말들은 전혀 극복에 도움되지 않았고 스스로를 더 우울하게 만들었던 것 같습니다. 약도 보조적인것이었고 결정적이지 않았구 상담이 도움이 되긴 했는데 그것만으로 나아지지는 않았구요. 다른 사람의 인생, 조언이 제 우울증에 크게 도움이 되진 않았습니다.

그냥 제 경험을 말씀드리면 저는 그때 이렇게 죽기 너무 억울하다는 생각을 했던 것 같습니다. 우울한 마음 때문에 (가정환경과 여러가지 이유로) 이렇게 아무것도 못하고 죽는게 너무 억울하다 이런 생각이 들어서 죽지 않고 다시 살았던 것 같습니다. 음 그리고.. 도움이 된게 있다면 생각보다 더 주변 사람들은 저에게 더 관심이 없다는 걸 깨달은게 중요했던 것 같습니다. 제가 우울증이 심할때 저는 약점을 감추고 감정을 감추고 우울증이 아닌척 살았는데 오히려 우울증은 더 심해졌습니다. 반대로 제가 나아질때 저는 감정을 드러내고 약점을 다른 사람들에게 노출하고 '나'의 행복을 우선 순위에 두고 행동 했습니다. 제가 약점을 드러내면 사람들이 꺼려할거라 생각했는데 별 신경쓰지 않더라구요. 감정을 드러내는게 남에게 민폐가 되기보단 별 영향이 없었고 저에게는 도움이 되었습니다. 글을 읽었을 때 남에게 피해를 주지 말자는 말에서 비슷한 억눌림이 느껴지는데 주변 사람은 생각보다 나를 거의 신경 쓰지 않으므로 '나'를 우선으로 생각하시고 스스로의 아픔과 감정을 조금씩 드러내면서 사는게 나아지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물론 갑자기 가능한건 아니고 오랜 시간에 걸쳐 천천히 가능하구요.
21/02/04 16:43
수정 아이콘
주변에 우울증있는 분들 몇 계셨는데 한 분은 정말 힘드셨는지 자진해서 병원에 입원하시더라구요. 그런 방법도 찾아보겠다 하면서 직장도 아예 그만두시고 장기로 계셨습니다. 또 다른 친구는 지속적 주 1회씩 상담을 받았는데 울고 웃고 많은 감정선을 느끼고 온다고 하더라구요. 약물치료까지 하진 않았지만 약물 치료 권유도 계속 받았다고 합니다.
이런식으로 어려움을 헤쳐나가는 분들이 계시니 글쓴이분들도 댓글의 많은 도움 받으셔서 힘내시길 바랍니다.
21/02/04 17:14
수정 아이콘
댓글 주신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일일이 답글을 달까 하다가 비슷한 내용도 많이 주시고 하셔서 그냥 이렇게 답글드립니다.
병원을 고려해보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근본이 바뀌지 않는데 해결이 가능할까 싶은 의문이 드는 것은 사실입니다.
근본적인 문제의 원인을 이미 알고 있고 그것을 일부 해결할 방법도 알고 있지만 인간들은 보통 그런 행위를 패륜이라 정의하기때문에 실행에 옮기고 있지 않습니다. 제 노력으로 저항이 더이상 불가능하다고 여겨지고 계획을 더 당겨야겠다는 생각이 들면 병원을 찾아가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하다는 말씀드립니다.
This-Plus
21/02/04 17:54
수정 아이콘
연을 끊는 걸론 부족할까요?
21/02/05 10:01
수정 아이콘
대한민국에서는 부모자식사이에 실질적으로 연을 끊는 것이 마냥 쉽지 않습니다.
치뤄야 할 대가가 있고 뭐 하나 아쉽고 부족한 상태로 계속 살아가야 할 가능성이 큽니다.
연을 끊는 방법을 좀 고차원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피곤한 일입니다.
그리고 최근에 느낀건데 처음에는 물리적 거리를 두는 것 만으로도 도움이 크게 되나, 그들의 업이 저에게 전이된 이상 저는 정신적으로 계속 불안정한 상태를 살아가게 됩니다. 약간 태생적 한계같은 느낌입니다.
21/02/04 17:28
수정 아이콘
우울해서 일상생활을 못하실 정도로 힘드시면 병원을 찾으시고, 그 정도는 아니시면 제가 생각하기에 도움이 될 것들은 이 두 가지네요
1. 자기를 힘들게 만드는 생각은 의식적으로 피하세요.
2. 좋은 효과가 있는 일을 매일 더 하려고 해보세요. 취미가 있으면 꾸준히 해보시고, 이러저러 생각도 해보시고 시간에 여유가 있으면 자기성찰을 해보시는 것도 도움이 될 겁니다. 고전이라던가 하는 것들이요. 물론 유의하실 것은 자기성찰으로 우울에 더 깊게 빠질 수 있으니 그 점은 경계하시고 그 쪽으로 생각을 하는 건 피하시구요.
아린어린이
21/02/04 18:00
수정 아이콘
모든 병은 초기에 치료하는데 쉽고 빠릅니다.
저항이 불가능 하다고 여겨지는 단계가 되면 지금처럼 이성적인 판단이 어렵고 감정적인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금 바로 병원 진료를 받아 보시길 권유드립니다.
라라 안티포바
21/02/04 18:50
수정 아이콘
병원 권해드립니다.
비전문가 입장에서 이러쿵 저러쿵 얘기해봤자 글쓴분께는 공허하게 들릴거에요.
가보고 판단하셔도 늦지 않습니다.
21/02/04 19:40
수정 아이콘
운동을 꾸준히 하실정도면 자기 컨트롤이나 건강은 잘챙기실것 같고..
사람에게 생긴 상처는 사람으로 해결하는게 좋지 않을까요? 부모님과 연을 끊고 연애를 해보세요
21/02/04 23:5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전 우울하면 바로 일그만두고 여행다니거나 쉬었고 그중 스페인 순례길 한달간 걸었던게 나름 도움됐습니다. 죽기전 해보고 싶은 버킷리스트 만들어서 해보세요. 코로나 끝나면 네팔이나 칠레 도보여행갈 생각으로 준비중이네요. 병원은 그렇게 도움되진 않았지만 사람마다 달라서ᆢ
우울해 죽을것같은 순간을 넘긴다 해도 인생은 계속 어느정도 우울하고 참고 견디며 살아야해서 살아야할 이유를 만들어보시길 바랍니다. 화이팅입니다
사나없이사나마나
21/02/04 20:33
수정 아이콘
농담삼아 얘기해보자면 죽음을 극복하면 예수...
21/02/04 22:06
수정 아이콘
항우울제라는게 신기하지만 원인이 해결되지 않아도 어느 정도 개선이 됩니다. 상상해보기엔 그럴리가 없겠다고 생각이 들고 고작 약 따위에? 라는 생각에 자존심이 상할 수도 있고 원인은 그대로인데 나 자신이나 삶의 태도가 좋아질리가 없다고 생각이 들 수도 있지만 바뀝니다. 병원을 믿으라고도 하지 않겠습니다. 그냥 조금 도움받는다 생각하고 일단 다녀보세요.
Faker Senpai
21/02/04 22:48
수정 아이콘
한 5번 썼다 지웠네요. 후 암튼 전 스스로 극복했으니 님도 가능하다는걸 알려드리고 자러갑니다.
묵리이장
21/02/05 01:23
수정 아이콘
자살을 생각하는게 우울증인가? 라는 생각을 많이 합니다.
즐겁지 않은데 살아가는게 의미가 있나라는 생각을 하죠.
즐거움을 찾아도 찾아도 안생기면 그게 무슨 인생일까요.
하루하루가 힘든데 다른 사람 생각까지 하며 그런 사람들때문에 연명하는 인생은 아닌거 같습니다.
내 의지와 상관없이 태어났으니 맘대로 갈 권리정도는 있지 않을까요?
저는 와이프와도 두명 다 더이상 즐거움이 없다면 같이 목숨을 끊자고도 이야기 해두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사실 저도 부모님 중 한분을 엄청나게 미워하는데 외국에서 사는 동안은 참 좋더라고요. 안보고 연락도 안하니.
아닌밤
21/02/05 05:10
수정 아이콘
이야기 꺼내기 힘든 문제 이렇게 글을 쓰는 선택을 해주셔서 참 감사합니다. 저는 제가 죽음을 깊이 고민해볼 만큼 삶의 큰 고통을 겪었다고 생각되지 않아 ski~님의 힘듦을 다 이해하거나 공감할 수 없겠지만 글에 적어놓으신 것으로 짐작하기에도 여러가지 복잡한 상황으로 정신적으로 힘든 상황을 참 오래 겪으신 것 같습니다.

저는 가까운 사람의 가족이 자살을 선택해 가까운 사람이 크게 고통스러워하고 그로 인해 자살 충동을 느끼는 것을 옆에서 바라보아야 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자살을 직접 고민하는 사람이 겪는 만큼의 고통은 아니었겠지만 그것도 참 고통스러운 경험이었습니다.

자살 사고를 하는 사람에게 어떤 말로도 그 생각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그래도 그것으로부터 잘 버티어내시고 견디어내시면 좋겠습니다.

위에서 다른 분들이 전문적 도움으로 정신과 치료를 이야기하셨는데 자살 자체에 대한 직접적인 도움 기관으로 자살예방센터도 살펴보시면 어떨까 싶습니다. 여기가 보통의 정신과보다 자살문제와 관련된 전문성이 더 높고 장기적인 상담프로그램도 제공하고 정신과 치료를 받는 것도 지원해 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글을 보면 이미 많은 것들을 찾아보신 듯 하여 여기에 대해서도 알고 계실 수도 있겠지만 혹시나 해서 적습니다.

우리가 알 수 없는 삶의 우연들 속에서 ski~님의 삶의 문제들도, 마음의 고통도 나아질 길이 찾아질 수 있기를 깊이 바라겠습니다.
21/02/05 09:58
수정 아이콘
좋은 이야기가 아니라서 별로 댓글이 안달릴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달아주셔서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 글을 올린 어제와 그제는 정신적으로 끊임없이 공격을 받아서 너무 힘들었던 상황이었습니다.
진심어린 댓글들을 받아서 그런지 오늘 아침은 어제보다 훨씬 나은 상태입니다.
두통도 없고 머리가 맑아서 기분이 좋습니다.
아무생각없이 오늘 하루도 열심히 지내도록 하겠습니다.
저에게 고마운 댓글을 주신 분들도 항상 평안하시길 기원합니다.
21/02/05 18:05
수정 아이콘
진심으로 병원 추천드립니다.
가벼운 우울감이면 상담으로도 개선될 수 있고 약은 먹어도 그만 안 먹어도 그만이지만, 죽음에 대한 막연한 동경이 아니라 구체적인 방식에 대해 계획을 세우실 정도면 반드시 치료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치료는 반드시 약물로 해야 합니다.
몸 아픈 사람이 좋은 말씀, 희망적인 조언 듣는다고 병이 낫는 것이 아니듯, 죽음을 구체적이고 심각하게 계획할 정도에 이른 우울증이라면 상담이나 의지로는 극복이 안 됩니다.

나는 병이다, 이러다 아파서 죽을 수도 있다, 생각하시고 꼭 병원 가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약이 완치를 장담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해 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꼭 병원 가서 약 드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6010 [질문] 유튜브 뮤직에서 Killing in the Name이 재생되지 않습니다. [4] 1475 24/04/30 1475
175540 [질문] 러닝 고수들께 질문 올립니다. [8] 리스 제임스2446 24/03/29 2446
174658 [질문] 노래 제목 찾습니다. 발라드 [6] 틀림과 다름4875 24/01/29 4875
173587 [질문] 드라마 '최악의 악' 마지막 내용 질문있습니다 (당연히 스포) [8] 삼성전자5870 23/11/17 5870
172317 [질문] 정신과 관련.. 인격장애? 성향? 기질? [4] kissandcry4763 23/08/28 4763
170499 [질문] 영화제목이 기억이 안 납니다(국내 전쟁 영화) 개망이6357 23/05/07 6357
170302 [질문] 영화 패왕별희 관련 질문입니다. (스포O) [1] 아스라이6153 23/04/25 6153
167905 [질문] 정신과 치료 효과가 있나요? [18] 레너블8879 22/12/19 8879
167203 [질문] 양조주 내 메탄올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5] 회색사과6812 22/11/12 6812
161140 [질문] [강스포] 영화 파워오브도그 질문입니다. [9] 밐하4406 22/01/16 4406
160466 [질문] 웹소설 기억나는 명장면? [17] 한겨울8344 21/12/19 8344
160258 [질문] 선택적 자살 vs 긴시간 고통 [3] 나른한오후7626 21/12/10 7626
159828 [질문] 정말 쬬는 순욱한테 알아서 죽으라고 빈 반합을 보낸건가요? [7] Cand10449 21/11/19 10449
158506 [질문] [강스포] 오징어게임 질문 [21] 비밀친구9032 21/09/27 9032
153668 [질문] 징후가 없는 자살...? [22] Unicorn10781 21/03/18 10781
152623 [질문] 우울증과 죽음을 극복해보신 분이 계실지요. [30] ski~7099 21/02/04 7099
151812 [질문] 현시각 도로상태 질문입니다. [10] 찬양자5711 21/01/07 5711
151312 [질문] 소설 제목 찾고있습니다 [1] 포프의대모험5206 20/12/20 5206
151148 [질문] 가짜 뉴스 유투브 게시물 좀 찾아주세요. [2] 동네노는아이5874 20/12/15 5874
150800 [질문] x-japan에 대해 잘아시는분? [6] 뵈미우스6316 20/12/04 6316
148845 [질문] 찡찡대는 사람 어떻게 대하시나요? [32] 똥꾼10404 20/09/28 10404
148612 [질문] 신지드 영상보는데 요즘은 E평 일부러 안쓰나요 [7] 나데시코5512 20/09/20 5512
147334 [질문] 왜 한국은 임의탈퇴 제도를 쓰고 있나요? [10] 류지나5844 20/08/06 584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