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1/29 16:53:41
Name Red Key
Subject [질문] 도시 가스 보일러 어떤 방식으로 사용중이신가요. 온도유지? 키고 끄고?
아파트 거주 많이들 하시니까 도시 가스 보일러 기준입니다.

강추위로 그다지 많이 틀지 않은 것 같은데 가스비가 12만원 나왔네요.

보통 댁에서 보일러 어떤 방식으로 사용 중이신가요?

1. 실내 온도를 21~25도 사이에 맞춰 두고 하루 종일 켜둠.

2. 외출로 해뒀다고 춥다 싶으면 보일러 틀고 적당하다 싶으면 다시 외출로 해둠.

우리집에는 2번 방식으로 사용 중인데 항상 가스비가 납득하기 어렵네요. 크크 그닥 켜지도 않은 거 같은데 뭐만 하면 십만원이래.

독하게 하면 2번 방식이 훨씬 절약되기는 한데 (아예 안틀면 되니까) 독하게 할 마음은 없고 뜨시게 지내고 싶네요.
차라리 1번 방식이 더 절약이 될까요?

여름에 전기세 걱정, 겨울에 가스비 걱정안하고 살고 잡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싸우지마세요
21/01/29 16:56
수정 아이콘
저희집은 예약으로 4시간 걸어두고 씁니다
그럼 4시간 마다 일정 시간 틀고 다시 꺼지는 방식인데 개인적으론 외출보다 이게 덜 나온다고 느꼈어요
추울 때는 예약 시간 간격을 줄이거나 아니면 잠깐 켜고 다시 끄는 식으로!
(이러나 저러나 난방비 많이 나가는 건 함정... )
노지선
21/01/29 16:59
수정 아이콘
저도 위에분과 같은 예약으로 3~4 시간 정도 걸어놓고 사용하고 있어요
해질녁주세요
21/01/29 16:59
수정 아이콘
뉴스같은데 보면 2번 방식이 가스비 더 많이 나온다고 하더라구요.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둘다 비슷하게 나오는데 1번 방식이 항상 따뜻해서 더 이득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타협해서 요며칠 바깥 날씨가 따뜻할 땐 2번. 오늘처럼 아주 추운 영하날씨엔 1번 틀어놓습니다.
근데 이론상은 그런데 실제로는 집집마다 다른 것 같아요. 둘다 해보시고 선택해야할 듯.
21/01/29 17:01
수정 아이콘
20분 돌고, 1시간 휴식 사이클로 하루종일 돌려요.
그리 따뜻하진 않고요. 실내온도는 외부온도에 영향을 받는편인데 오늘같은 날은 20도 정도 유지하는것 같네요.
아 가스요금은 한달에 15~16만원 나옵니다.
21/01/29 17:29
수정 아이콘
에어컨과 보일러는 '기본적으로 킬때가 돈이 가장 많이 나옵니다'..

'본인이 괜찮다고 생각하는 온도를 정한다음에.. 그 온도가 안맞으면 알아서 켜지게 하는게 일반적으로 가장 저렴합니다.

춥다고 느꼈을때 / 덥다고 느꼈을 때. 괜찮은 수준까지 가동하는데 에너지 손실이 꽤 큰...


25평에 20도~22도 유지만 해주세요~ 로 하니 한달에 6~9만원 사이 나옵니다. 내려가면 알아서 돌고. 높으면 알아서 꺼지는..
21/01/29 18:11
수정 아이콘
저도 그얘기 주어듣고 해봤었는데 결론은 에어컨이든 보일러든 1이요
시험삼아해봤었는데 오래되서 기억은 안나는데 얼마 차이안나더라구요
내가 그 조금 아끼려고 추위나 더위에 시달릴필요가없는 가격으로 나왔습니다
21/01/29 18:44
수정 아이콘
요번에 보일러 바꿨는데 1번 방식으로 해도 가스비 예전보다 적게 나오더군요.
에어콘처럼 최신형 보일러는 가스절감 기술이 있는게 아닌가 싶어요.
21/01/29 20:12
수정 아이콘
질문에 답변 주신 모든분들께 감사드립니다.
21/01/29 20:31
수정 아이콘
1인데 5만원 나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2509 [질문] 시스템에어컨질문입니다 [4] 나이스후니4988 21/01/31 4988
152508 [질문] 임산부 혼자서 병원에서 할만한거... [8] 제니6316 21/01/31 6316
152507 [질문] 조금 현실적인 히어로물 추천부탁드려요 [12] Januzaj6828 21/01/31 6828
152506 [질문] [가테]교통정리 [4] 기껏5437 21/01/31 5437
152505 [질문] 귀멸의칼날 보려고 하는데 [18] Quantum216271 21/01/31 6271
152504 [질문] "이세돌은 중국인이다" 라는 제목의 기사를 찾습니다. 모아5072 21/01/31 5072
152503 [질문] 슬레이 더 스파이어 ios에서 구입했는데.. [1] 험블5780 21/01/31 5780
152502 [질문] 고전게임 녹화할때 전체 화면으로 안됩니다. [10] 이런이런이런8457 21/01/31 8457
152501 [질문] 몰아보기 좋은 드라마 추천 부탁드립니다! [25] 다리기6912 21/01/31 6912
152500 [질문] 토마호크 스테이크 질문입니다 [4] 담원20롤드컵우승4411 21/01/31 4411
152499 [질문] 컴퓨터 견적 질문드립니다. [2] 다미7368 21/01/31 7368
152498 [질문] 블루투스 스피커 구입에 관한 질문입니다. (가격 20~35만원대) [4] 몽쉘통통6875 21/01/31 6875
152497 [질문] 헤지펀드들이 게임스탑 계속 공매도 치면 어떻게 될까요? [2] VictoryFood5903 21/01/31 5903
152496 [질문] 텔루라이드 vs. GV80 [5] 쭈니6555 21/01/31 6555
152494 [질문] 이정도에서 롤이나 오버워치 돌아갈까요? [4] 공염불6751 21/01/31 6751
152493 [질문] [컴퓨터 사양 질문] 교육용 PC 스펙이나 적합한 PC 추천 부탁드립니다. [4] IU7464 21/01/31 7464
152491 [질문] 석사 관련 질문입니다. 모찌피치모찌피치6240 21/01/31 6240
152490 [질문] 요기보 쿠션 세척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2] 눈짐승6878 21/01/31 6878
152489 [질문] PT없는 초보자 헬스(몸만들기)에 대해서. [20] 아츠푸7718 21/01/31 7718
152488 [질문] 리클라이너에서 독서 하시는 분들 [8] F.Nietzsche8196 21/01/31 8196
152487 [질문] 자면서 하품 [8] 醉翁之意不在酒7118 21/01/30 7118
152486 [질문] 귀멸의 칼날 극장판 보려면 애니 어디까지 봐야하나요? [8] 어디쯤에6014 21/01/30 6014
152485 [질문] 30대 아재들끼리 할 쉬운 멀티게임추천좀! [26] 주여름9972 21/01/30 997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