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12/24 20:46:59
Name 흥선대원군
Subject [질문] 한국 민주당은 '리버럴' 정당이 맞나요?
한국 민주당이 리버럴, 그러니까 정치학적으로 현대 자유주의로 불리는 사상을 기반으로 하는 정당이 맞을까요?

민주당 소속 의원 개개인의 사상적 스펙트럼은 포괄정당의 특성상 꽤 넓어서 20대 국회 당시 '조금박해'로 불리던 소장파부터 보수주의적 성향을 보이는 이들까지 다양하죠.

그럼에도 민주당의 중심, 핵심적인 사상이 현대 자유주의라고 할 수 있다고 보시나요? 일단 위키피디아에선 그렇게 분류되는 모양인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12/24 20:59
수정 아이콘
오히려 DJ-노 시절 새정치국민회의-열린우리당이 리버럴 정당에 가깝고 지금 더민주는 리버럴이라기 보다는 좋게 말해 사민주의 정당으로 보는게 맞아보입니다.
정당의 주류라고 할 수 있는 친문계 정치 이념이 리버럴으로 보기에는 좀 무리가 많아 보여요. 자유주의 정당이라기 보다는 민주집중제 같은걸 지향하는 걸로 보입니다. 새정련에서 더민주로 당명 변경하면서 정당 강령이 많이 좌향좌하기도 했고요.
20/12/25 14:27
수정 아이콘
사민주의는 극단화된 리버럴입니다. 즉 사민주의이려면 일단 리버럴이어야 합니다. 리버럴이 아닌 민주당이 사민주의적일 수는 없습니다.
20/12/25 14:48
수정 아이콘
사민주의는 극단화된 리버럴(사회자유주의)가 아니고 매우 순한맛 사회주의죠. 그런 시각에서 보면 당내외 민주주의에 별 관심없는건 이해가 갑니다. 당명이 민주당인게 코미디지만요.
20/12/25 16:4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가 말하는 자유주의는 좁은 의미의 경제적 자유주의가 아니라 존 스튜어트 밀 등의 사상가들이 말하는 고전적 자유주의입니다. 그 자유주의는 개인들의 자유를 강조할 뿐 아니라 그 자유의 평등한 조건으로서의 복지국가 추구를, 즉 경제적 자유주의의 제한을 함축합니다. 사민주의 정도는 아니지만 나름의 복지국가 플랜을 추구하는 미국 민주당 정파를 리버럴이라고 불러왔던 것은 그런 의미에서 입니다. 실제로 그 플랜이 실행되기도 했구요. 그러나 신자유주의가 득세한 이래로 미국에서 제가 말씀드린 의미의 자유주의는 약화되었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성분으로서의 복지국가 추구가 약해지고, 흔히 PC로 불리는 평등주의/다원주의 추구가 강해졌습니다. 제가 말씀 드린, 전통적 의미의 자유주의는 일정하게 평등주의/다원주의를 함축하지만 그 자유주의는 기본적으로 개인주의입니다. PC적 평등주의/다원주의는 그 개인주의를 침해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다만 헷갈리게도 PC적 평등주의/다원주의도 자유주의로 불립니다. 따라서 자유주의는 현재 셋입니다: 고전적인 개인주의적 자유주의, PC적 자유주의 (포스트모던 자유주의), 신자유주의. 사민주의 나라들은, 제가 보기에, 미국만큼이나 PC적 평등주의/다원주의를 추구한다고 하더라도 그와 더불어 아직 복지국가가 건재한 편입니다. 그 때문에 그 나라들의 국민들 개개인은 신자유주의에 기인한 불평등 및 빈곤 심화와 PC적 평등주의/다원주의가 결합되어 있는 미국의 국민들 개개인보다 더 자유롭습니다. 이것이 사민주의가 극단화된 리버럴이라는 제 주장의 의미입니다. 물론 그 주장은 어느 정도는 과장입니다. 진짜 극단화된 리버럴은 사회주의입니다. 사회주의는 사민주의 나라들에도 건재하고 있는 자본주의 경제가 개인들의 자유를 정당화할 수 없는 방식으로 극단적으로 제한하고 있다고 보는 입장이니까요. 이런 제 개념틀에 따르면 현재 한국 민주당 정부는 도저히 리버럴하다고 할 수 없습니다. 철저히 공론장을 거쳐야 한다, 국민들의 자율에 맡겨야 할 사안을 국가가 나서는 안 된다, 공익을 명분으로 함부로 개인들의 권리를 제한해서는 안 된다, 가장 기본적인 (개)인권(리)의 보장을 사회적 인식 운운하며 미뤄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동성결혼 합법화) - 이런 식의 가장 기본적인 자유주의적 태도를 안 보이는 정부를 리버럴하다고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물론 사민주의는 이런 리버럴한 정치문화/제도의 일정한 강화이니 리버럴하지조차 않은 민주당 정권을, 공익을 중시하는 폼을 잡으며 시장에 개입하고자 한다는 이유만으로, 사민주의적이라고 하는 것은 말이 안 됩니다.
20/12/24 21:25
수정 아이콘
리버럴이 지금 당내 주류는 전혀 아니지요. 내놓는 법안을 봐도 그렇구요.
20/12/24 21:36
수정 아이콘
리버럴은 아닐겁니다 말은 해도 행동이 아니에요
DownTeamisDown
20/12/24 21:58
수정 아이콘
리버럴이 주류 였던적이 있었죠. 지금도 일부 남아있기는 하고요.
한국에 의미있는 리버럴 정당은 현재는 없다고 봐야.
샤카르카
20/12/24 22:15
수정 아이콘
한국에 리버럴정당이 있던적은 없습니다.
20/12/25 14:2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리버럴은 공론장 중요시, 소수자 인권 챙기기, 공익을 명분으로 개인의 권리를 함부로 제한하지 않기, 지도자를 떠받들지 않기, 사민주의 수준에는 못미치더라도 복지국가 지향 등을 특징으로 합니다. 이것들 중 두 가지 정도는 어느 정도 신경을 쓰지만 전반적으로 리버럴이라고 학기에는 함량 미달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7605 [질문] 현재 민주당은 리버럴 정당이 맞습니까? [20] 상록일기7949 22/12/02 7949
153014 [질문] [과학]기본입자 관련해서 질문드려요! [4] 흥선대원군5930 21/02/20 5930
151438 [질문] 한국 민주당은 '리버럴' 정당이 맞나요? [9] 흥선대원군5957 20/12/24 5957
142060 [질문] 시대순으로 재즈 명반 정리된 사이트 없을까요? 강미나2548 20/02/11 2548
138498 [질문] 유투브 제작시 저작권 질문입니다. [2] Thenn2375 19/10/14 2375
114235 [질문] 인텔 칩 결함 관련해서 멜트다운과 스펙터가 뭔지 알고 싶습니다 [2] 바우어마이스터2483 18/01/04 2483
95783 [질문] 빅토리아 여왕에 대한 위키피디아 서술인데 모순같은게 있어서 질문합니다. SaiNT1911 17/01/01 1911
92201 [질문] [WOW] 아레나 월챔에 관해서 질문드려요 [2] 성수1747 16/10/28 1747
91772 [질문] BJ가 무슨 뜻인가요? [28] 발틴15706 16/10/20 15706
86536 [질문] WWE & UFC 공홈 사진 사용 질문 Love.of.Tears.3024 16/07/15 3024
81927 [질문] 한국 위키피디아는 왜 이리 부실한가요? [70] ohmylove4993 16/04/25 4993
81249 [질문] 과제 레퍼런스 질문입니다. [3] 테네브리움1634 16/04/11 1634
76251 [질문] 히말라야 8000m급 14좌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제작진2420 16/01/15 2420
73976 [질문] 크롬에서 위키 사이트를 들어가면 들어가지질 않고 파일만 다운로드가 됩니다. [1] 몰아치는간지폭풍1613 15/12/10 1613
70859 [질문] 이란혁명에 대해서 나와있는 책이 있을까요?? [2] 후메참1440 15/10/24 1440
57644 [질문] 영어권에도 엔하위키 같은 사이트가 있나요? [4] 예수2477 15/04/10 2477
53090 [질문] 위키피디아 기부금도 소득공제 대상인가요? 유노윤하1134 15/02/03 1134
52921 [질문] 해외 축구 선수들의 연도별 성적을 볼 수 있는 곳 없나요? [2] 화이트데이1377 15/02/01 1377
52846 [질문] [WWE] WWE 관련 이미지 (사진) 관련 질문 Love.of.Tears.1064 15/01/30 1064
52477 [질문] 유대인 멸시의 이유? [17] ohmylove2280 15/01/25 2280
43417 [질문] ECB에 대하여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4] 민트초코우유779 14/09/27 779
43309 [질문] 09년 이후에 히트 친 라이트노벨이 어떤 게 있을까요? [13] VKRKO 1334 14/09/25 1334
43204 [질문] 로드뷰라는 단어가 원래 없었나요? [8] 베네딕트컴버배치1589 14/09/24 158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