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8/05 14:34:34
Name Restar
Subject [질문] 전세 이사날은 절차가 어떻게될까요..
신혼집 전세에서 살다가, 이제 새로운 전세집으로 이사가야 합니다.
그런데 아무래도 첫 이사고 그러다보니까 절차를 어떻게 진행해야 할지 의문입니다.

특히, '부동산을 언제 방문해서, 잔금처리를 어느 시점에서 해야하는지'를 잘 모르겠네요.

일단 현재 디딤돌 전세대출인가 뭔가가 있고.. 이걸 현 전세 보증금 받아서 메꾼다음에, 은행에 연락해서 새로운 전세자금대출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고요.
은행에서는 기존 전세대출 갚은다음에 연락주면, 바로 새로 들어갈 집주인 통장으로 입금해준다고 하네요.


그럼 일반적으로 이사라는게..

오전에 이삿짐센터를 불러서 포장하고 짐싸고, 차에다 다 실은 다음에 떠나는건데..
차에다 다 싣고 난 다음에 부동산에 들려서 집주인과 잔금처리하면 되는건가요?

새로 들어갈 집에 도착해서 마찬가지로 짐을 풀고 이삿짐으로 옮기고 그래야하는데..
그때도 빈집이 되어있으면 알아서 짐 풀고 이사하고 다 끝난다음에 잔금처리와 복비를 부동산에게 주면 되는걸까요?

부동산을 '이사의 어느 시점에서' 방문해야 하는지 좀 차근차근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집을 뺄때 / 들어갈때 두 타이밍 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lcohol bear
20/08/05 14:39
수정 아이콘
이용하시는 부동산에 전화해서 물어보시면 됩니다
20/08/05 14:45
수정 아이콘
넵. 일단 흐름은 대충 파악했으니, 이제 부동산하고 협의해서 결정지으면 되겠네요!!
20/08/05 14:39
수정 아이콘
보편적으로 말씀하신 게 맞습니다. 나올 때는 오전에 짐을 빼고, 집주인이 짐 뺀 뒤 한 번 둘러보고 전세금 빼주고
들어갈 때는 짐 들어가고, 부동산 가서 잔금 치르고.. 그런데 이런 건 그냥 부동산에 물어보면 더 잘 알려줍니다. 특히 나올 때야 모르겠지만 들어갈 때요.
20/08/05 14:45
수정 아이콘
아, 제가 생각 못한게 집주인이 한번 둘러보는 과정이군요. (....)
짐빼고 집주인이 둘러보고, 전세금 빼주면서 잔금 치루면 되는거겠고...

들어갈때는 일단 짐부터 다 집어넣으면 되는거네요.
넵. 나머지는 부동산하고 상의해보겠습니다.

첨부터 부동산에 물어보자니, 너무 모르는 티 날거같아서.. (....)
20/08/05 14:49
수정 아이콘
저는 이사만 8번 했는데 그냥 매번 물어봅니다.;;
애초에 그런 거 좀 잘 단도리해서 문제없이 해주고 일반인이 잘 모르는 절차 같은 거 알아서 해달라고 집주인이나 세입자가 그 비싼 복비 다 치르는건데요. 부담갖지 마시고 헷갈리거나 궁금한 거 있으시면 꼼꼼히 물어보시고 챙기세요.
20/08/05 14:55
수정 아이콘
넵. 안그래도 다른 문제는 계속 부동산 찾아가서 물어보고 그러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첫 이사고, 큰돈이 은행껴서 계속 왔다갔다하는걸 처음 경험하다보니 괜히 불안불안해서 계속 물어보고 다니게 되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방과후티타임
20/08/05 14:41
수정 아이콘
일반적으로는 집 다 비운 다음 잔금 받기,
이동해서 잔금 내고 이삿짐 내리기인데, 케이스가 많아서 양쪽 부동산하고 다 협의 하셔야 해요
20/08/05 14:47
수정 아이콘
잔금을 내고 이삿짐을 내리기도 하는군요??
잔금 내는 순서는 그냥 부동산/집주인과 협의하는게 제일 정확하겠네요.

제가 이거 질문한게.. 어떤 글에서는 집빼거나 부동산 협의가 제대로 안이루어지면, 잔금 받을때까지 이삿짐 안빼고 뭐 이런말이 있었어가지고요... 뭔가 잔금을 이상한 시점에 주면 위험할수도 있겠다 싶어서 질문드린거였습니다. (물론 이번에는 그럴일은 없을것 같지만요)
20/08/05 15:27
수정 아이콘
보통 전세 이사가 물리고 물리는지라, 그런 경우도 있습니다. 제가 그랬... 그래서 사전에 잔금 문제를 확실히 해놔야 합니다.
20/08/05 16:17
수정 아이콘
네.. 전세이사를 처음 해보려니까, 진짜로 물고물리고가 심각하더라고요. (...) 진짜로 날짜 맞춰지는게 용했 ;;;;;
어쨌든 최소한의 대처방안 정도는 알아야 할것 같아서 질문을 드렸었습니다.
사전에 잔금문제를 확실히 해놓는게 확실히 중요하겠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Je ne sais quoi
20/08/05 19:20
수정 아이콘
전세금에 비하면 작은 돈이지만, 각종 공과금 처리(낼 것), 가스 및 전기, 장기수선충당금(돌려받을 것)도 잘 챙기세요
20/08/07 06:35
수정 아이콘
8시 이사차 도착. 짐뺌
11시 다뺌. 부동산 방문. 잔금받기

11시 이사아저씨들 점심먹으러 감

12시 새집도착. 짐 올리기 시작
12시 나는 부동산 방문. 잔금치르기
13시 주민센터. 전입신고.확정일자받기

16시 이사 끝.

시간은 예시일뿐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14326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7410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7654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20985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73673
182082 [질문] 차이파이류 이어폰? 중에 추천할만한거있나요? [2] 포커페쑤1385 25/11/04 1385
182081 [질문] 11월말 국내 여행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8] 이리세2034 25/11/03 2034
182080 [질문] 이사가야하는데 세달정도 살곳이 없는데요... [12] 오렌지망고3435 25/11/03 3435
182079 [질문] 월즈 우승점수를 12점이라고 가정했을때 msi 점수는 몇점일까요? [39] Sorento4203 25/11/03 4203
182078 [질문] 롤 역전세계 lpl에 리쌍혁 있다면 [29] 삭제됨7043 25/11/03 7043
182077 [질문] [스팀]셰이프오브드림 초보의 간단 질문 [6] Mindow2785 25/11/03 2785
182076 [질문] 롤렉스 시계 줄 질문입니다 [9] 제니2811 25/11/02 2811
182075 [질문] 모니터 구매 추천 및 특가 타이밍 질문드립니다 [6] 닉을대체왜바꿈2368 25/11/02 2368
182074 [질문] 상속은 당연한 건가요? [55] 마지막승부3907 25/11/02 3907
182073 [질문] 마그네슘 영양제 추천 부탁드립니다. [8] LoveBoxeR1796 25/11/02 1796
182072 [질문] '하우스 오브 다이너마이트' 보고 궁금한 게.. [3] 정글러산군1114 25/11/02 1114
182071 [질문] 롤알못의 페이커 아타칸 킬 질문 [5] 스핔스핔1441 25/11/02 1441
182070 [질문] 안드로이드로 외부 기기 전력 전달 문제 [1] 참룡객909 25/11/02 909
182069 [질문] 생성형 AI로 기타타브 악보 조옮김 할수 있을까요? [7] NoWayOut1005 25/11/02 1005
182068 [질문] 서울 단풍 절정기 아직 안왔나요? [4] beloved1378 25/11/02 1378
182067 [질문] 체크카드 부정사용 신고 질문입니다. Alfine1165 25/11/02 1165
182066 [질문] 차 앞문이 안닦여요 [3] K-11248 25/11/02 1248
182065 [질문] 오리지널 워크래프트 III 키로 워크래프트 III: 리포지드의 이용 권한을 획득해야 합니다. 라고 뜨던데 [2] 지수1102 25/11/02 110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