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11/27 00:19:34
Name 새강이
Subject [질문] 의사선생님들 계신가요? 뇌출혈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엄마가 통화에서는 주말에 내려오라고만 하시고 목소리만 조금 안 좋으셔서 무슨 일 있나? 했었는데..

친척분들하고 말씀 나누는 밴드 들어가보니 아버지가 뇌출혈로 입원하신걸 방금 알았습니다.

고혈압성 뇌내출혈 이라는 병이고

뇌에 있는 시상하고 기저핵이라는 부분에서 출혈이 되었고

양은 5~6cc 정도라고 써있네요

이게 어느정도 심각한 건지 궁금합니다..ㅠㅠㅠㅠ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줄리엣
19/11/27 00:41
수정 아이콘
아... 공부가 부족하여 출혈량에 따른 건 잘 모르겠으나..
시상과 기저핵이라면 컴퓨터로 치면 cpu나 메인보드에 비유할수 있을것 같네요.. 거의 제일 중요한 부분들중 하나지요...
대략적으로 우리몸은 호르몬으로 조절이 되는데 시상하부(시상의 아래쪽부분)와 뇌하수체가 거의 모든 호르몬 작용이 출발하는 지점이라고 생각할수 있습니다.
부위야 그렇지만 일단 출혈후에 얼마나 빨리 처치를 하였느냐도 중요하고, 영상소견도 중요할테니...
새강이
19/11/27 01:09
수정 아이콘
늦은 시간에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평안한 밤 되세요
metaljet
19/11/27 00:48
수정 아이콘
출혈량이 적어 생명을 위협하는 정도는 아닌 것으로 보이지만 팔과 다리의 운동기능에는 영구적 장애가 남을 수도 있습니다.
새강이
19/11/27 01:10
수정 아이콘
생명에 위협이 없다니 정말 다행이네요..늦은 시간에 답변 감사드려요
19/11/27 00:55
수정 아이콘
의사는 아니지만 현직 작업치료사로 근무중이고 제가 보는 대부분의 환자들은 뇌혈관질환 환자입니다.
사실 엄청난 출혈이 있어도 출혈 즉시 처치가 가능했다면 후유증이 많이 안남습니다.
결론은 실제로 뇌에 얼마나 손상이 있느냐가 제일 중요합니다.
시상은 쉽게 얘기하자면 설계도에서 얼기설기 얽혀진 전선에 가깝습니다. 이부분 손상이 오면 결국 제대로 된 신경전도가 일어나지 않아 신경학적인
증상이 생길수 있습니다. 기저핵은 수의운동이라고 하여 의식적인 움직임을 시작하는데 관여를 많이 합니다. 그래서 어떠한 움직임을 시작하거나 전환등을
할때 부자연스럽거나 또는 느리게 이행되는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새강이
19/11/27 01:10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상세한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평안한 밤 되시길 바랍니다
루키럭키
19/11/27 13:48
수정 아이콘
추가적 출혈이 없고, 5~6 cc에서 멈춘다면 생명에 지장은 없습니다. 출혈 후 기저핵 주변의 뇌 손상 혹은 뇌 부종으로 인한 좌반신 혹은 우반신 근력 저하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재출혈이 일어나는 것이 가장 걱정되는 상황이며 근력 저하는 현재로서는 평가가 어렵고, 재활 차료 후 6개월 후에 어느 정도 후유증이 남는지 알 수 있겠습니다. 대개 저정도 양이면 수술은 하지 않고, 뇌압을 낮추는 약물을 투여하며 경과 관찰 하게됩니다.
루키럭키
19/11/27 13:49
수정 아이콘
출혈 즉시 처치가 되었더라도 후유증은 남을 수 있으며, 부위에 따라 후유증은 다릅니다.
새강이
19/11/27 13:56
수정 아이콘
선생님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오늘 다행히 통화가 되었는데 일단 발생 즉시 병원에 가셔서 처치는 하신 거 같고
말씀도 곧잘 하시더라고요 다만 걱정되는건 왼쪽 뇌 쪽에 손상이 있어서 오른쪽에 감각이나 운동 쪽에 문제가 있을 것 같습니다.
답변 정말 고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9899 [질문] LOL 롤 계정 아이디 바꾸라고 하는데 이거 어떻게 해야 하나요;; [9] Breguet4091 19/11/27 4091
139897 [질문] 카니발 반자율주행 어느수준일까요? [6] 큐브큐브6162 19/11/27 6162
139896 [질문] [LOL] 이즈리얼 장점이 있나요? [61] 삭제됨5599 19/11/27 5599
139895 [질문] 전현무씨가 얼굴전체 제모한건가요? [12] 비가오는새벽7864 19/11/27 7864
139894 [질문] 모친께서 쥐가 너무 자주 나십니다. [10] 버드맨3321 19/11/27 3321
139893 [질문] 중고나라 사기 관련 궁금한게 있습니다(티켓 관련) [6] RaymondCattell3879 19/11/27 3879
139892 [질문] 겨울왕국2 어디서 볼까요? [7] 좋구먼3366 19/11/27 3366
139891 [질문] 백혈병 관련 질문입니다. [2] 끄누2274 19/11/27 2274
139890 [질문] Fiio라는 회사의 헤드폰 살만할까요? [3] 52779 19/11/27 2779
139889 [질문] 스마트폰과 tv를 케이블로 연결했는데 화질이 안 좋습니다. [6] 귀여운호랑이3842 19/11/27 3842
139888 [질문] 파엠 풍화설월 질문입니다 [13] 열씨미6103 19/11/27 6103
139887 [질문] 부산 수영구, 남구 쪽에 1인당 5~10만 원 사이에 식사할 곳 추천해주세요. [8] 약쟁이3649 19/11/27 3649
139886 [질문] 최수종씨가 입고 있는 조끼 어느 브랜드 제품인지 알수있을까요? Klopp3458 19/11/27 3458
139885 [질문] 중고차 처음 정비하려고 하는데 아무데나 가도 되나요? [3] 슬라임4124 19/11/27 4124
139884 [질문] [LOL] 17롤드컵 뱅에 대해서 [32] carpedieem6805 19/11/27 6805
139883 [질문] 포켓몬 소드, 실드중 선택 [2] Purple3523 19/11/27 3523
139882 [질문] 뚜벅이들이 여행하기 좋은 도시가 어디일까요? [15] Equalright4171 19/11/27 4171
139881 [질문] 아기 앞으로 적금 들려고 하는데 어떤 방법이 좋을까요? [37] 비싼치킨5383 19/11/27 5383
139880 [질문] 할머님께서 이따금씩 손이 떨리시고 온 몸이 아프시다는데 [2] bifrost3395 19/11/27 3395
139879 [질문] 50대 여성 명품가방 추천 [16] 부처10794 19/11/27 10794
139878 [질문] 경기장이 크면 skt경기의 평균관중은 어느정도될까요? [9] 달달합니다3990 19/11/27 3990
139877 [질문] 외국인 친구가 삼겹살을 좋아하려나요 [25] 이름짓기어렵쏘5612 19/11/27 5612
139875 [질문] (꿈 해몽) 개 줍는 꿈 [2] 코왕3990 19/11/27 399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