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7/21 14:42:49
Name 하나
Subject [질문] 2종 자동 > 1종 보통 변경방법(승용차 수동 난이도 관련) (수정됨)
안녕하세요.
벨로스터n이 너무 사고싶습니다.
당장 돈이없습니다..만
기회는 준비된자에게 온다하여 1종보통을 취득하려합니다.

검색해보니 도로주행만하면되는것같더라구요.

연수비가 30가까이 되던데 연수가 필수인가요? 아니면 그냥 바로 시험을 봐도 무방한가요?

지금 수동변속차량 운전은 이론으로 열심히 배워놨는데 승용차의 경우 클러치가 차량마다 다르고 민감하다 들었습니다. 뇌내망상으로 연습하고 실제연습해보면 백이면백 시동 꺼먹나요?

운전경력은 햇수로 9년, 키로수는 십만정도, 아주머니가 들이받은거 빼고는 무사고입니다.

정리하자면,

1. 도로주행 연수 필수인가요
2. 자동변속차량 운전이 익숙해도 뇌내연습후 주행하면 시동 꺼트리고 애먹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7/21 14:48
수정 아이콘
10년 무사고? 면 1종으로 바꿔주던데요...
18/07/21 14:58
수정 아이콘
2종 자동도 해당되나요??
18/07/21 14:59
수정 아이콘
2종 보통이었는데 올해 1종 보통으로 바꿔줬습니다 흐흐
18/07/21 15:00
수정 아이콘
2종 보통이라하시는거면 2종 수동아니신가요? ㅠ 2종 자동은 안된다고 알고있어서요..
18/07/21 15:1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보통이 자동입니다.
찾아보니 7년이라는 얘기도 있던데 한번 알아보시죠
저도 몰랐는데 면허 갱신하러가니 왜 1종으로 안바꾸냐 알려줘서 그때 바꿨습니다
18/07/21 15:23
수정 아이콘
헉 2종 자동 수동 따로있는줄알았네요
감사합니다
18/07/21 15:26
수정 아이콘

http://dl.koroad.or.kr/PAGE_license/view.jsp?code=100743

2종 자동수동이 구분되어있고 자동은 갱신안되나봐요
셧업말포이
18/07/21 15:56
수정 아이콘
보통이면 수동이에요.
18/07/21 16:19
수정 아이콘
보통이 자동 아닌가요???
저 수동 태어나서 단 한번도 몰아본 적이 없는데????
페이건즈
18/07/21 19:31
수정 아이콘
수동이나 자동 둘다 2종 보통으로 들어가고요
대신 자동의 경우에는 면허증에 조건 : A 라고 써있던가 그럴거에요
안써있으면 2종 수동입니다
18/07/21 14:51
수정 아이콘
무사고 10년이면 바꿔준다는데 기다리시는게..
페이건즈
18/07/21 15:32
수정 아이콘
수동 차량 한번도 운전 안해보셨으면 연수받으시는게 나을겁니다.
변속하면서 핸들조작하는게 처음해보면 당황할때도 있거든요.
클러치 신경쓰면서 기어신경도 써야하고 핸들도 조작하려고 하면
자동에 비해선 엄청 신경써야 할것이 많습니다
18/07/21 15:37
수정 아이콘
글쿤요.. 열심히 영상보면서 발목 까딱까딱하면서 열심히 망상을 했는데 역시 실전은 다르겠죠.흐흐 감사합니다
화염투척사
18/07/21 15:38
수정 아이콘
1종 보통이면 트럭아닙니까? 크크
여튼 연수는 필요하다고 봅니다. 수동은 많이 달라서.
18/07/21 15:51
수정 아이콘
저는 비슷한 이유로 2종 오토에서 2종 수동을 땄는데요. 시험은 엄청 쉬웠습니다... 그냥 100미터 직진... (떨어질 수가 없음)
처음에 그래서 자동 몰다가 무턱대고 수동 (가솔린 N/A) 중고차를 샀는데.. 끌고 오는데 진짜 무서웠습니다만.. 무사히 왔구요.. 하루 이틀만에 적응 다 했습니다. (언덕 출발 제외)

왼발과 오른발을 얼마나 마이크로 컨트롤 할 수 있냐의 문제라서... 그게 생각과 실전은 꽤 다르더군요...
필요한 실력(?)이라면 악셀을 내가 원하는 알피엠이 되도록 밟을 수 있어야 하고, 클러치도 마찬가지로 미세하게 컨트롤 할 수 있어야 (최소한 3단 출발 가능할 정도) 하는데,
클러치는 너무 확 떼고... 악셀은 너무 확 치니.. 힘들었습니다.

그래도 결론은 할 만 합니다.
Bluelight
18/07/21 17:07
수정 아이콘
자동 차량 10년 몰았다고 수동 차량 몰게 해준다는건 좀 이상하긴한데요
18/07/21 17:19
수정 아이콘
2종수동만 10년있다 바꿔주고 보통은 상관없습니다
18/07/21 17:21
수정 아이콘
저는 뭐 필요는 아니고 따고싶어서 했는데요. 운전이야 자동으로 타도 크게 다를거 없었고 오토바이탔던 경험이 있어서 클러치조작을 좀 다르지만 알고 있었고 그래서 동네 실내면허연습장 1시간타고 가서 붙었습니다. 이론만 아시는거라면 좀 헤맬 수 있는데 유투브 많이보시고 한번조작만 해보면 될거라 생각합니다
18/07/21 17:26
수정 아이콘
다들 답변 감사합니다
18/07/21 19:58
수정 아이콘
뇌내망상으로만 연습한 경우 시동이 백발백중으로 꺼지는가에 대해서는, 그렇다고 볼 수도 있고 그렇지 않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인생 처음으로 수동에 도전하는 사람이 1,000번 출발하면 그 중에 시동이 꺼지는 경우가 나오는 것은 거의 백프로인데, 그렇다고 해서 모든 출발 시도에서 무조건 시동이 꺼지는건 또 아니거든요.

수동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1년에 수만번 출발하는 경우 아마 연간 1회 정도 시동을 꺼뜨릴텐데(인기어 상태로 주차해뒀다는 것을 깜빡하고 시동 후 바로 클러치를 떼서 꺼지는 등의 일이 있기 때문에, 아무리 익숙해도 수동차를 매일 타는데 마지막으로 시동 꺼뜨린 것이 19년 전의 일이다 같은 사람은 잘 없습니다), 인생 처음 10분 구간에 있는 사람은 -개인편차가 크고, 차량마다 난이도 차이가 크기 때문에 단언할 수는 없지만, 평범한 저출력 가솔린 승용세단을 기준으로 하면- 비교적 잘 하는 축에 속하더라도 출발을 20번 시도하면 한번 쯤은 꺼질 것이고, 잘 못하는 축에 속하면 두번 트라이에 한번은 꺼질겁니다. 근데 이건 금방 늘기 때문에 경력 1시간차에만 도달해도 시동꺼질 확률이 아마 1-10% 정도로 낮아질 겁니다.

1종보통 면허시험 차량은 보통 디젤 트럭인데, 이건 (디젤 특성상) 애초에 시동이 잘 안꺼지고, 클러치가 물렁하며, 반클러치 구간이 넓은 등 거의 최고 수준으로 쉬운 수동차량이라, 난생 처음으로 수동을 접하는 경우라도 시동이 꺼질 확률이 현저히 더 낮습니다. 최고 난이도의 고출력(500+hp) 가솔린 수동에 비하면 시동이 거의 10-100배는 잘 안꺼집니다. 게다가 면허시험 평가항목 중에서는 얼마나 반클러치를 적게 쓰나 같은 것은 없기 때문에, 지인차량에서 그렇게 했으면 3초만에 운전석에서 쫓겨날만한 수준으로 반클러치를 써도 괜찮고, 또 시동이 한 번 꺼진다고 그대로 탈락시키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가솔린 저출력 수동세단에서 50%쯤 시동이 꺼지는 수준만 아니라면 아마 합격이 가능할 겁니다.

그런데 평지출발은 10-20분 정도 해보면 원래 다들 어느 정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적응에 다소 시간이 걸리는 것은 급경사 출발인데, 코스에 급경사로에 정차했다가 재출발해야 하는 구간이 얼마나 많은가는 시험장마다 다릅니다. 급경사로에 자주 정차해야 하는 코스라면 차량이 제일 쉬운 축에 속한다 하더라도 난생 처음 도전하는 사람에게는 다소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18/07/21 20:16
수정 아이콘
상세한답변감사합니당!
뽕뽕이
18/07/21 20:14
수정 아이콘
2종자동을 10년무사고라고 1종보통으로 바꿔주나요?
2종보통만 1종보통으로 바꿔주는거 아닙니까? 이상하네요..
그리고 난이도는 1종보통이 오히려 2종보통보다 쉽습니다.
클러치 감도가 트럭이 훨씬 쉬워요.
18/07/21 20:17
수정 아이콘
글쿤요 일종보통으로...감사합니다!
뽕뽕이
18/07/21 20:25
수정 아이콘
화이팅 하세요.
저도 작년에 대형면허 따볼까해서 유투브 트레이닝 몇일하고 세번떨어지고 합격했네요.
18/07/21 20:28
수정 아이콘
벨엔 사고싶네요 ㅠ흑흑
살다살다 수동면허따려할줄은 몰랐습니다
뽕뽕이
18/07/21 20:36
수정 아이콘
승용차수동 어렵습니다.
지하주차장 출구 언덕램프에서 밀릴경우 지옥을 경험하실수도 있어요.
연습 많이 하셔야 해요..
18/07/21 20:50
수정 아이콘
나름 자동은 마스터고 발컨도좋다고생각해서 잘적응할거라 스스로믿고있스비다.흐흐 감사합니다
모모이 하루코
18/07/21 20:23
수정 아이콘
2종오토는 7년무사고일시 트럭으로 장내시험통과하면 1종으로 바꿔주고요
2종수동은 그냥 바꿔줘요
일단 유튜브로 마인드 트래이닝 하신 후 시험 몇번 떨어질거 각오하시고 시험장 차로 여러번 시험 보면서 연습하세요
18/07/21 20:29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업무량 줄어들면 바로 도전해야겠네요
누렁쓰
18/07/21 20:34
수정 아이콘
제가 스타렉스를 몰아야해서 2종 자동에서 1종 보통을 땄는데, 어지간하시면 그냥 큰 학원에서 연수를 하시고 따시는게 속편합니다.
Bluelight
18/07/21 21:08
수정 아이콘
벨로스터N DCT모델(자동변속기) 내년도에 나온다는데 기다려 봐도 괜찮을 듯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2408 [질문] GTX 1050으로 왠만한 게임은 돌릴수있을까요? [12] 하나의꿈9754 19/04/16 9754
132016 [질문] 데이터 사용시엔 gif파일 안뜨게 할수없나요? [2] 하나의꿈3336 19/04/04 3336
131928 [질문] 집에 cctv설치하신분있나요? [8] 하나2941 19/04/02 2941
131845 [질문] 후쿠시마산 수산물을 수입하지않는게 왜 국제무역법을 어기는건가요? [6] 하나의꿈3271 19/03/31 3271
131617 [질문] 닌텐도 스위치 한글판 요새 재밌는게임있나요? [4] 하나3221 19/03/24 3221
130992 [질문] 공기청정기 추천부탁드려요! [5] 하나3150 19/03/05 3150
130737 [질문] 인터넷에서 돌아다니는 월급 실수령액표는 부정확한가요? [4] 하나3007 19/02/26 3007
129964 [질문] FM을 아예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이 새로시작할수있을까요 [10] 하나의꿈2499 19/02/04 2499
129939 [질문] (뻘질문) 동성애가 유전적요인이 강한가요? [7] 하나3321 19/02/03 3321
129908 [질문] 같은 영하 30도인데 차이가 이렇게 극명한 까닭은 뭘까요 [13] 하나의꿈4235 19/02/02 4235
129729 [질문] 3중 추돌에서 가운데 차가 과실이 가장 높을 수 있나요? [6] 하나3860 19/01/28 3860
128820 [질문]  업무용 컴퓨터 업글하려합니다.. 뭘해야할까요 [20] 하나2307 19/01/02 2307
126489 [질문] 삼성 임직원몰에서 갤놋9를 사려는데.. 공기계처리에 관해 [8] 하나2830 18/10/31 2830
125838 [질문] 의미없는 글 올리는 네이버카페... [1] 하나1976 18/10/15 1976
125513 [질문] 노래 질문 합니다. (예전 싸이월드시대 노래) [3] 하나1616 18/10/06 1616
125355 [질문] [이미지 첨부] 아파트 조망권관련.. 이정도면 하늘이 안보일 정도일까요?+ 기타 걱정 [2] 하나1833 18/10/02 1833
125281 [질문] 혹시 대전에 수동차량 개인연수 해주는곳있나요? 하나1451 18/09/30 1451
125040 [질문] 혹시 아이코스 수리받으신분 중 이벤트 당첨되신분? [2] 하나1827 18/09/23 1827
123159 [질문] 인터넷 업체 이동(변경?) 관련 궁금한 게 있습니다. [2] 우리는 하나의 빛1414 18/08/05 1414
122600 [질문] 2종 자동 > 1종 보통 변경방법(승용차 수동 난이도 관련) [31] 하나8412 18/07/21 8412
122213 [질문] 장과 위에 탈이 났는데 카페인이 안 좋은 편인가요? [17] 하나2144 18/07/10 2144
120827 [질문] 선거홍보물 받아서 확인해보신분들 있나요? 공약관련.. [34] 하나4169 18/06/04 4169
120729 [질문] 이선희 리메이크 앨범.. [13] 하나3773 18/06/01 377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