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3/08/22 14:58:19
Name 복제자
Subject [질문] 군대에서 준위가 원사급 대우를 받나요?
친구랑 술먹다가 군대얘기가 나왔는데, 어쩌다가 계급과 준위이야기가 나왔습니다.

육군으로 군생활한 사람이지만 멀리 구석탱이 독립부대에서 군생활을해서 군생활동안 한번도 준위계급의 간부를 본적이 없어서 저는 노란 다이아몬드 때문에 그냥 신입장교같은 개념인 줄 알았고 친구랑 격렬한 배틀을 뜬뒤 집에 돌아와서 검색해보니 장교가 아니라 뭔가 전문적인 부사관같은 거더라구요.;; 조금 분하지만 제가 잘 모르고 좀 우겼다가 버로우 탈 분위기인데,  친구도 준위를 직접 본적은 없다고 하는데 짬은 원사 상사보다 낮아도 원사급 존재로 취급받는다고 했습니다.  

실제 준위의 짬밥 대우(?)는 어느정도인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설탕가루인형
13/08/22 15:00
수정 아이콘
준위는 기술직이기 때문에(물론 어느 정도의 짬은 필요하겠지만요) 짬 대우는
원사에 많이 부족하지 않나요?
이호철
13/08/22 15:00
수정 아이콘
짬되는 중사 혹은 상사 이상이 특수한 진급시험을 봐서 준위로 올라가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저희 대대의 병기관이 상사에서 시험보고 준위가 되어서 돌아왔었는데, 뭐 그래도 짬 차이 때문인지 주임원사님한테는 여전히 설설 기더군요. 그래도 일반 상사보다는 대우가 좋다는건 확실합니다.
어중간한 중위 근처로는 어떻게 할 수도 없죠. 최소한 대위(중대장)급은 되야 사이좋게 지낼 수준인 듯 합니다.
13/08/22 15:00
수정 아이콘
준위는 두 종류죠. 원사에서 준위가 된 사람과 기능직 준위.. 일명 준사관..

기능직은 짬밥대우 그렇게 받을 일도 별로 없을거에요. 애초에 일반 부대 부사관들이랑 별로 만날 일도 없으니. 거의 군무원 취급 했었던거 같습니다.

반면 짬으로 준위되신 분은.. 원사도 머리를 박아야죠...
13/08/22 15:01
수정 아이콘
작은아버지가 원사에서 -> 준위 가셨는데 왠만하면 다 머리박아.......... 급 포스시더군요 덜덜..
13/08/22 15:03
수정 아이콘
왠만하면 수준이 아니라 위로는 없다시피하죠.... 오래 계신분이면 사단장도 함부로 말 못놓을겁니다.
아리아리해
13/08/22 15:02
수정 아이콘
저희 부대에 준위 두명과 원사 한 명이 있었는데요. 다른 부대는 어떤지 모르겠지만, 제가 있던 곳은 거의 동급으로 대우하더군요. 준위와 원사는 서로 존댓말하구요.
너는나의빛^^
13/08/22 15:03
수정 아이콘
보통 좀 되는 중사나 상사에서 시험보고 가더라구요.
엄밀히 말하면 부사관->준위->장교 계급순인줄로 알고 있는데.
서로 그냥 어느정도 군경력 인정해주면서 생활하더라구요.
뭐 나이좀 드신 원사한테 장교가 상호존대 하듯이요,
shadowtaki
13/08/22 15:03
수정 아이콘
실질적으로 부사관 대우, 공식적으로는 위관급 대우를 받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군생활하면서 딱 한 분 봤었는데 서로 지내는 것은 부사관들과는 그냥 짬밥순(군생활 오래한 순서)으로 말트는 것 같고 장교들과는 서로 존대말 쓰는 것 같았습니다. 아마도 직위상으로는 소위 아래로 알고 있는데 워낙 독특한 계급이라.. 이런 식으로 지내는 것 같더라구요..
써니티파니
13/08/22 15:04
수정 아이콘
제 부대에 준위분이 엄청 많으셨었는데
원사랑 준위의 관계는 보통 데면데면했습니다
원사분이 짬이 넘사벽이면 알아서 낮추고 그리 차이나지않거나 만만하면 위인척 행동하는 경우도 봤습니다
계급상 준위가 위이긴 하죠 지휘권도 있고요
준사관이라 합니다!
Rorschach
13/08/22 15:04
수정 아이콘
공군 복무하면서 준위 많이 봤는데 이 경우는 원사->준위 가신 분입니다.
짬 대우야 뭐 최상급이고 중령급 간부들과도 서로서로 존대하는 그런 정도였습니다.
프즈히
13/08/22 15:04
수정 아이콘
중앙에서 파견나온 부대라 간부 50명 정도랑 한 건물 쓰고 살았었습니다.
대령 넷 중령 둘 소령 하나 대위 하나,
준위 8 원사1 상사6 기타 등등 이런 구성이었습니다.

준위의 파워는 체감상 중령정도 되는것 같습니다. 원사보다는 높고요.
이사람들이 더이상 올라갈 곳도 내려갈 곳도 없는 계급인지라 대놓고 막나갑니다. 그런데 터치가 안되요.
근속 30년 넘은 준위부터 40대의 젊으신(?) 준위분들까지 준위간에 짬차이는 좀 있지만 고개 펴고 다니는건 크게 차이 안납니다.
대위는 그냥 굽실거리고 소령한테 담배빌리고 중령방 가서 바둑두고 놀고 그렇습니다.
13/08/22 15:05
수정 아이콘
원사보다 짬 높을수도 있죠.
상사에서 원사나 준위로 시험봐서 진급하는건데요.
그리고 대우도 결코 원사보다 못하진 않을겁니다.
13/08/22 15:06
수정 아이콘
준위도 짬이 얼마나 먹었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그리고 풀짬차면 준위가 돈은 훨씬 더받는걸로
Practice
13/08/22 15:06
수정 아이콘
짬 대우랑은 별개로 준위는 (저희 부대에서) 굉장히 존경 받았어요

저희도 탄약고 쪽에 계셨던 준위 분이 자기 일에 대해 지식도 굉장히 깊고 뭐든지 척척이라 진짜 멋있더라구요

그냥 짬 쌓이면 되는 게 아니라는 게...(물론 원사도 그냥 짬만 찬다고 되는 게 아니지만)
13/08/22 15:07
수정 아이콘
공군 기준으로 원사->준위 테크입니다. 보통 짬순으로 밀어주는데, 개중에 준사관 계속 탈락해서 진급 포기->준위보다 기수 높은 원사가 있기도 하지만 보편적으로 부사관의 최종테크라고 보시면 됩니다.
소녀시대김태연
13/08/22 15:07
수정 아이콘
준위 대우 엄청납니다;;정비쪽이라 유난히 준위들이많았는데 아무도 그들을 터치할수없습니다..
주임원사는 와야 어느정도 통제는되죠..
그리고 저희부대만 그런지모르겠는데..부사관들보다는 장교들과 주로 놀더군요
있어요399원
13/08/22 15:08
수정 아이콘
저희 부대에서는 원사보다 약간 더 높은 느낌이었습니다. 주임원사보다는 아니지만 기술적으로도 그렇고 여러모로 부대내에서 힘을 행사하시더군요.
Star Seeker
13/08/22 15:09
수정 아이콘
공군준위는 짬으로 다는건대 아무나 짬만 찼다고 다는건 또 아닙니다. 부사관계의 별이라고 해야되나..
원래 원사가 만랩인데 몇몇이 예외적으로 다는 느낌일정도였습니다.
되는데요. .
13/08/22 15:10
수정 아이콘
제가 있던 부대에는 준위가 3명 있었는데요, 모두 고참상사-원사급 짬이였습니다.
부사관들과 짬으로 서열정했습니다.
장교들과는 서로 어울리지 않았습니다
Epilogue
13/08/22 15:11
수정 아이콘
제가 있던 공군 대대(통신계)에는 준위가 예닐곱 명 있었는데, 짬 게이지가 MAX로 차오른 원사가 시험봐서 되는 계급…이라는 식이었습니다. 젊은 준위는 한 사람도 없었습니다. 훈련 때 권총사격하는 거 외에는 사실상 짬 많은 부사관 취급이었구요.

저희 사무실의 원사가 준위보다 부사관 기수가 빨랐는데, 직책은 준위가 반장(상위)이었습니다. 그러나 원사에게 '선배님'이라고 하면서 존대말을 했죠. 원사도 극히 드문 공식석상 외에는 항상 준위에게 반말을 했습니다.
13/08/22 15:11
수정 아이콘
저희도 부대 특성상 준위가 꽤 많은 편이였는데 원사와 비교했을 때 군경력에 비교해서 대우받는듯 했습니다.
주임원사야 워낙 군경력이 길기에 준위들도 다 존칭어 써가면서 생활했지만 주임원사도 준위들을 계급에 맞게 대우해줬구요.
물론 상사와는 넘사벽.... 애초에 준위분들이 다들 군경력이 부대 상사들보다 긴탓도 있었겠지만요...

저희 부대에 있던 준위분들 모두 그 분야의 기술이 특출나셨었는데 그중에서도 특히 총포 관련 수리하시는 분은 육군내에서도 꽤 유명한 분이셔서 군생활 내내 보아왔는데 정말 지식이나 수리기술이 엄청나십니다. 소총 등은 그냥 소리만 듣고 어디가 고장났다거나 등은 당연히 아시는거 보고 정말 깜짝 놀랐었네요. 물론 그 정도는 지내다보니 약과였다는.... 대전쪽의 교육시설쪽으로 초빙이 자주와서 종종 파견가서 그 분야 관련 수리기술을 가르치실 정도였으니..
카스트로폴리스
13/08/22 15:12
수정 아이콘
독립중대 나왔는데..짬이 좀 있는 준위 있었는데.....대우 많이 해줍니다....성격 그지 같았는데..
복제자
13/08/22 15:13
수정 아이콘
보통 짬 차오른 상사 원사가 준위가 되고 간부로서는 부사관과 비슷한 대우를 받으며, 젊은 준위는 거의 없는 것이었군요.

모든분의 답변 감사드립니다.
써니티파니
13/08/22 15:17
수정 아이콘
저희부대(정비)에서 가장 빠르신 분이 34세 셨습니다 생각보단 빨리달수있어요!
거의 상사다시고 얼마안되 시험치고 다셨다고....
13/08/22 15:19
수정 아이콘
준위로 임관하는 경우와 원사에서 준위로 진급하는 경우가 좀 다르죠.

후자는 원사들도 준위 앞에서 머리 박아야 합니다. 특히 공군 준위는 부사관들의 최고봉이라는 원사 중에서도 고르고 골라서 진급되는 거라...

부대 체육대회 하는데 족구도 엄청 잘하는건 덤이더군요.
一切唯心造
13/08/22 15:26
수정 아이콘
제가 속한 곳의 원사님이 공군통틀어서 부사관 최고짬이셨습니다
항공특기에 준위분들이 많았는데 그분들보다 군경력이 더 오래되서 병들 간에 알력생기면 이분이 다 해결을 해주셨네요 흐흐 덕분에 제초작업은 거의 안나갔습니다
준위는 일부러 달지 안으셨다고 하셨는데 이유는 모르겠네요
13/08/22 21:02
수정 아이콘
그럴리가...어차피 정년도 같고 오히려 명예+돈 이기 때문에 준사관을 허투루 보는 분은 없을텐데요.
다만 공군 준위는 인맥관리+기술+특기빨 등 운적인 요소도 많기 때문에 그런것에 신경쓰며 말년을 보내고 싶지 않으셨을 수는 있겠네요.
설탕가루인형형
13/08/22 15:41
수정 아이콘
특전사 암호병이었는데, 암호장교가 준위라서 매일 함께 있었습니다.
대대장인 중령이 작업지시해도 암호병은 그런거 나가면 안된다고 맨날 짱박아주셨죠 크크.
부대에 원사들도 많았는데 주임원사급이랑은 기수차이가 많이 나서 비교적 고분고분하셨고, 나머지 원사들이랑은 별로 상관을 안하셨던거 같네요. 상사에서인가 시험봐서 준위 된걸로 알고 있습니다.
TheWeaVer
13/08/22 16:51
수정 아이콘
엌... 1744 반갑습니다 크크크
핸드레이크
13/08/22 15:45
수정 아이콘
공군준위는 원사에서 준위 달고 올라가는거지 중간에 못 올라가죠..
준위 진급 못하는 원사야 부사관 기수로 따지니까 준위도 함부로 못하고..
hyunman00
13/08/22 15:53
수정 아이콘
일반적으로 원사에서 준위 다는경우가 많지않나요??원사보다 짬밥도 대체적으로 위일 가능성이 높구요
sisipipi
13/08/22 17:26
수정 아이콘
원사에서 준위 다는 경우가 많은가요? 상사에서 준위 다는 경우는 많던데... 해병대라서 그런가..?! 저희는 원사 달면 준위로 잘 안가는 분위기던데요.
13/08/22 17:37
수정 아이콘
저희부대는 수송관이 준위였는데 거의 깡패수준이었던것 같네요. 뭐 대다장이 시켜도 자기맘에 안들면 안하는건 예사였고 주임원사는 나이가 많으니 딱히 부딪치는 관계는 아니었고요. 뭐 상사나원사인 행보관은 걍 무시하는 정도였던것 같네요.
밀가리
13/08/22 17:39
수정 아이콘
준위면, 부사관단에서도 못 건드리고, 장교들도 못 건들이고. 그리고 대부분 보직이 어느정도 권력?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스페샬리스트다보니.
쥬니요
13/08/22 17:39
수정 아이콘
공군 장교 출신인데, 교육받을 때는 계급은 상사<원사<준위<소위 순으로 배웠는데,
(이대로 하면 개념없는 소위듣기 딱입니다.)
준위분들..주로 감독관분들이 많으시죠. 군대는 진짜 경력이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사족없이 한마디 일화 말씀드리면,
비행단장(준장)이 비행작전에 관해, 정비감독관(준위)이 비행정비 확인없이 지시함부로 못합니다.
육군의 경우, 헬기조종특기 경우에 중사에서 준위로 가는 경우가 있다고 하지만, 예외적인 경우입니다.
13/08/22 20:22
수정 아이콘
공군에서도 중사에서 준위로 넘어가는 케이스가 없진 않아요. 방공포의 경우라던가... 정비쪽에도 없진 않죠
sprezzatura
13/08/22 18:32
수정 아이콘
상원사와도 존대, 대대장(중령) 작전과장(소령)과도 존대,
뭐랄까 짬되는 독고다이 이미지로 남아있네요. 적어도 상사 이상의 대우는 받았죠.

정비과장이 준위였는데 누구 눈치도 안보고 괄괄했던.. 그양반이 당직사관 서면 천국이던 기억이 나네요.
"새벽에 TV를 보든 라면을 쳐먹든 담배피러 나가든 위병소 담장만 넘지 마!"
LotteGiants
13/08/22 19:59
수정 아이콘
오오 멋진데요. 크크
애매한 포지션
13/08/22 19:08
수정 아이콘
저도 파견부대에서 근무해서 병사 10 준위 2 (기술직) 상사 2 이렇게 지냈었는데, 본부에서 위관급이 와도 서로 깍듯이 대하고 그러던데요.
영관급 와도 서로 존중존중 하고..
13/08/22 19:18
수정 아이콘
작은 아버지께서 40대에 헌병대 준위가 되셨는데 그냥 승진하셨는가보다... 했는데 대단하신건가 보네요...
13/08/22 20:20
수정 아이콘
부사관 거친 준위는 그냥 부사관 기수로 따지는걸로. 물론 존대를 안하는건 아닙니다만
13/08/22 21:07
수정 아이콘
공군의 경우, 원사->준위 테크라서 그냥 본래 기수로 따집니다. 준사관 기수로 한번 세탁이 되긴 하지만 그 정도 군생활 한 사람들끼리 좁은 바닥에서 모를수가 없죠. 특기별 TO가 너무나도 달라서 기수로는 A >>>>>> B 여도 A가 상사, B가 준위 이런 경우가 많습니다. 소위가 원사보다 계급높다고 반말하면 비웃듯이 기수낮은 준위가 선배 기수 원사한테 반말하면 결코 좋은 소리 못듣겠죠.
다만 공식석상에서는 위관 > 준사관 > 부사관 입니다.
수호르
13/08/23 11:20
수정 아이콘
그쵸 육군은 모르겠는데..
공군 (특히 제가 근무했던 부대정비대대) 에서는 준위의 경우 원사에서 시험보고 진급하죠.
대부분 작업반장들은 준위가 맡고 준위가 없으면 원사가 맡죠.
당연히 그러다보니.. 준위들이 일반 원사들보다 짬들이 기본적으로 훨 있는 편이라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10859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3846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3527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6635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8532
181088 [질문] 내몽골이 중국이었다니!! 중국 로밍하신 분 내몽골에서 카드 사용법 좀 여쭤봅니다 콩순이75 25/07/09 75
181087 [질문] 네이버 멤버십 / 엑박 게임패스 쓰는 분들께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2] 단다니 쿨쿨61 25/07/09 61
181086 [질문] 부모님 노후. Voo&Qqq vs 제피&제큐 [5] wish buRn619 25/07/09 619
181085 [질문] 포항 숙소 질문 [1] 김리프582 25/07/09 582
181084 [질문] 급한 서울 여행을 위한 식당 추천 문의드립니다. [16] 어린녹차잎1181 25/07/09 1181
181083 [질문] 야알못이 질문이 있습니다 [2] 오언타트블고1079 25/07/09 1079
181082 [질문] 갑작스레 컴퓨터 본체가 부팅이 안 돼요 [13] Mindow1641 25/07/08 1641
181081 [질문] 스팀 여름세일 살만한 거 뭐 있을까요 [6] TAEYEON1535 25/07/08 1535
181080 [질문] LG OLED TV 구매 고려 중입니다. [2] Rei1284 25/07/08 1284
181079 [질문] 회사에서 연차사용촉진을 공지하면서 사용계획동의서를 받을 때 하기 내용은 위법의 소지가 있을까요? [20] 경마장9번마1926 25/07/08 1926
181078 [질문] 하스스톤 악마사냥꾼 정규전에서 박살내는 덱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9] Carliot2286 25/07/08 2286
181077 [질문] 근로계약서 미작성 상태에서의 권고사직.. [8] 유아린4605 25/07/07 4605
181076 [삭제예정] 충수염 수술 후 10일 경과했는데 웨이트 해도 될까요 [17] 되지가돼자3786 25/07/07 3786
181075 [질문] 설빙,요아정보다 맛있는 디저트가 있을까요? [21] 윤성호4093 25/07/07 4093
181074 [질문] 포장이사 및 창고 보관 관련 질문 좀 드리려고 합니다! [10] 공염불2927 25/07/07 2927
181073 [질문] 학교 교사분들 (혹은 법 관련 전문가)께 학교 시험중 시험지 오배포 관련 문의드립니다. [13] 호텔아프리카2786 25/07/07 2786
181072 [질문] 알뜰폰+인터넷 쓰시는 분들 질문좀 드릴게요! [4] 테오도르1061 25/07/07 1061
181071 [질문] 운전자보험 변경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2] 욱쓰827 25/07/07 82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