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9/25 14:31:12
Name 윤가람
Subject [질문] 삼촌여러분 도와주세요 80년대 후반에 카세트테잎 가격이 얼마였나요?
지금 와이프랑 내기가 붙었습니다

전 천원
와이프는 3천원 얘기하고 있는데 그 당시 카세트 테잎 가격이 얼마였나요?
가수들 앨범 수록된 것요

오늘 저희 집 저녁 반찬이 걸린 중차대한 문제입니다
아시는 분이나 지나가던 삼촌 분들 답변 좀 부탁드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9/25 14:32
수정 아이콘
천원은 길거리표 아닌가요? 가수들 정규앨범은 6천원쯤 되었던 것 같은데요...
잘못된 만남 나오던 95년도쯤에요.
최종병기캐리어
17/09/25 14:44
수정 아이콘
6천원이면 LP판 가격일겁니다.. 테이프는 더 쌌던걸로 기억합니다.
톨기스
17/09/25 14:36
수정 아이콘
정규앨범 5천원, 길거리 짝퉁 3천원 기억합니다. 이후에 나온 CD가 두배인 1만원 이었구요.
어랏노군
17/09/25 14:41
수정 아이콘
저도 비슷하게 기억합니다. 정품(?) 테이프가 5천원 내외.. CD가 만원+a 정도..?
설사왕
17/09/25 14:47
수정 아이콘
저도 정확히 기억은 안 나지만 90년에 대략 3,4 천원 주고 샀던거 같습니다.
천원은 절대 아니었던 것 같네요. 결론적으로 아마 님의 패배?
17/09/25 14:48
수정 아이콘
90년도 후반 기준 문방구에서 팔던 짭이 천~2천원이었던 거 같아요
윤가람
17/09/25 14:48
수정 아이콘
이런................
ㅠㅠ
답변주신 분들 감사드립니다!!
전 오늘 저녁 반찬을 준비해야겠네요.....
ㅠㅠㅠㅠㅠㅠ
최종병기캐리어
17/09/25 14: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신문기사에서 85년도에 정식음반이 1800~2500원이라고 하네요.. 3000원정도가 맞다고 봐야겠네요.
17/09/25 15:03
수정 아이콘
80년대 후반엔 팝 앨범이 2800원 3000원 정도 했고 테잎이 2000원 정도 했던것 같아요
가요는 조금 더 저렴했던것 같기도 하구요
천원은 절대 아닙니다
와이프분 승.
17/09/25 15:06
수정 아이콘
90년대 정규앨범 3~5천원요
박현준
17/09/25 15:14
수정 아이콘
삼천원이 맞습니다. 이문세 등 몇몇가수는 몇백원 더 비쌌던 기억이 있네요. 변진섭 1집 이문세 야생마가 있던 앨범 등등 구입했었습니다. 88 년 정도요.
17/09/25 15:14
수정 아이콘
공테이프 오륙백원 했는데 노래 들어있는 테이프가 천원일리가
여자친구
17/09/25 15:18
수정 아이콘
알이에프 찬란한사랑이 있는 테이프가 당시 5천원이었습니다. 초딩때 태어나 처음산 앨범이라 기억이니네요 크크
대니얼
17/09/25 15:23
수정 아이콘
맛있는 저녁준비 하시길 크크크
forangel
17/09/25 15:23
수정 아이콘
확실한 기억중 하나가 변진섭2집이 대구 길거리 리어카에사 500원 주고 샀던 기억이 나네요.
그때가 89년이었던듯...
그러면 1000원에서 1500원이 아니었을까 싶은데..

90년 사랑과영혼 언체인드멜로디 일때 길거리가 1000원 이었고 91년에 친구 생일 선물로 락 음악 ld판 줬는데 ld가 4000-5000원 했었던 기억도 있구요.
opxdwwnoaqewu
17/09/25 15:28
수정 아이콘
리어카 짝퉁은 1500원정도 했죠
준우만세
17/09/25 15:35
수정 아이콘
이승환 1집이 1989년도 발매인데 생일 선물로 준것 같은데 그때 가격이..3500원에서 4000원 사이였습니다. (정품)
리어카는 1,000원~1,500원
이쥴레이
17/09/25 16:04
수정 아이콘
짝퉁 저는 시대 지나간것은 천원, 그리고 최대 비싼거는 5천원 하고 그랬어요.

대체로 3천원인거 같았습니다. 정규(?) 음반에서 파는거는 음질 좋다고 5천원대부터 시작이었고요. 크크
네가있던풍경
17/09/25 16:31
수정 아이콘
90년대 중반 테이프가 4500원 정도 했던 것 같은데요. 80년대는 잘 모르겠네요. 리플을 보니 가격이 많이 오르진 않았군요.
doberman
17/09/25 17:16
수정 아이콘
91년도 조용필, 변진섭, 이문세 CD가 14,000원쯤 했던건 정확하게 기억합니다.
아버지가 일본에서 CDP를 사오셨는데 왠만한 대형 가수들 빼고는 음반을 CD로 내놓질 않은 분위기..
이 당시 카세트 테이프는 레코드방에서 4000원 가량 했던것 같구요.
17/09/25 17:35
수정 아이콘
제가 음반 처음 샀던 92년에는 길보드가 1000~2000원, 정품이 4000원에서 플러스 마이너스 되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이혜리
17/09/25 18:06
수정 아이콘
제가 1992년인가에 처음으로 용돈모아서 산 서태지 1집 정규앨범이 3000원이었구요. 1995년인가 6년에 산 터보 1집이 4000원으로 정확하게 기억합니다. 1천원은 길바닥에서 스티커만 붙은 짭퉁이죠
17/09/25 18:19
수정 아이콘
88년~91년선까지 한동안 2500원 유지하다가 92년 이후로 가격 상승하여 3천원 이상, LP판은 그 두배선이었고, 이후 시디가 나오자 다시 LP판의 두배선이었던 것 같네요.
93년정도가 테입, LP, 시디가 공존하던 시기였는데 3000원, 6000원, 만원 정도 였던 것 같습니다.
윗분들이 말씀하신대로 공테이프가 5백원, 길거리 해적테입은 천원 정도 였습니다.
틀림과 다름
17/09/25 18:31
수정 아이콘
길거리 노점상에서 파는건 1천원
내가 희망하는 노래 넣어서 레코드 가게 가서 해달라고 하면 3천원
90년대 중반쯤으로 기억합니다
진모씨
17/09/25 18:35
수정 아이콘
80년 후반 LP말고 테이프는 2500원 이었던걸로 기억합니다. 그런데 이문세씨가 새로운 음반 내면서 2800원인가로 올려 받아서 불매운동 비슷하게 일어났던걸로 기억하고 그 이후부터 92년대 초반까지는 2800원~3000원 사이 였던거 같습니다. 그 이후는 안사봐서 모르겠습니다.
17/09/25 19:04
수정 아이콘
정품 4500원, 짝퉁 1500원으로 기억합니다.
연벽제
17/09/25 22:41
수정 아이콘
5,000원즈음으로 기억합니다
거침없는삽질
17/09/26 12:07
수정 아이콘
서태지 3집 이전에는 3500원정도였고,
서태지 3집 이후로 4100원이였던걸로 기억합니다.
비싼건 4600원정도에 샀던 기억이 나고, 마지막으로 구입한 테이프가 5200원 정도 였던거 같습니다.
그리고 CD로 넘어와서 ses1집이 7500~7900원 정도 했던거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08904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1859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1204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4234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6076
180476 [질문] 아이패드 모델 선택 [10] 無欲則剛469 25/04/30 469
180475 [질문] 가열식 가습기 추천부탁드립니다. [14] 유니꽃1243 25/04/30 1243
180474 [질문] 헬스장에서 운동 딱 3개만 한다면 뭐가 좋을까요? [8] 슬래쉬1680 25/04/29 1680
180472 [질문] 고딩 딸 아이패드 에어 선물, 펜슬 & 키보드 커버 가성비 좋은 제품 추천 부탁드려요! [9] 똥꼬쪼으기2057 25/04/29 2057
180471 [질문] 롤 교차 대전 mmr 정상이신가요? [2] 너T야?1825 25/04/29 1825
180470 [질문] 셀프 법인 해산 청산 질문 BISANG1746 25/04/29 1746
180469 [질문] sk사태 통신사만 바꿔도 괜찮을까요? [8] 튤립닭발1641 25/04/29 1641
180468 [질문] 이런 기구를 찾습니다 [4] 늅늅이1262 25/04/29 1262
180467 [질문] FRP PE 재질에 알맞는 본드/프라이머/테이프 추천 부탁드립니다 DogSound-_-*441 25/04/29 441
180466 [질문] 아빠가 스미싱 문자를 받으신거 같아요. [8] 콩순이1062 25/04/29 1062
180465 [질문] 노트북 대강 사려고 하는데 갤럭시북/LG그램 어떤거 사면 될까요? [4] 김유라924 25/04/29 924
180464 [질문] 건조기 선반을 만들려고 하는데요 [2] 쿠라1010 25/04/29 1010
180463 [질문] 게임 소울라이크 장르에 대한 질문 [6] 샤르미에티미973 25/04/29 973
180462 [질문] 제가 쓰던 번호를 다른 사람이 갖게되면 카톡은 어떻게 되나요? [4] 주여름2616 25/04/28 2616
180461 [질문] 스크린골프 관련 질문 [5] 無欲則剛2186 25/04/28 2186
180460 [질문] 카니발 하브 vs 가솔린 어떤걸 골라야할까요? [11] 총사령관2668 25/04/28 2668
180459 [질문] 노인 발목수술에 조언 부탁드립니다 [2] 인간흑인대머리남캐2172 25/04/28 2172
180458 [질문] sk 해킹 대처방안이 궁금합니다. [4] APONO3062 25/04/28 306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