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6/18 13:39
말씀하신대로 영어권에서는 3자리로 끊어읽는게 편하니까... 무역 등이랑 관련된 문제이다보니 국내용 규칙을 따로 만드는 것도 불편하다고 생각합니다.
17/06/18 13:42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020410
이런 기사도 있는거보면 자주나오는 비판인거 같긴합니다. 해당 논의가 어느정도 수준까지 진행되었는지에 대해선 정확히 알지못합니다.
17/06/18 13:57
이제와서 바꾸기엔 좀 늦은감이 있을거같긴 하네요 왜 대한민국의 시작부터 안 했던건지 궁금하네요
매번 줄줄줄줄 글 잙읽다가 큰숫자 나온순간 그거 변환해서 읽는다고 시간잡아먹는게 너무 싫었어가지고 궁금했습니다
17/06/18 13:59
대한민국 시작이라고 해도 1900년 혹은 1950년입니다. 오히려 숫자 단위쪽으로 갈라파고스가 되었겠죠. 그러면 지금쯤 반대로 왜 천단위로 하지않고 쓸데없이 만단위로 해서 혼란을 가져왔냐며 통일안 주장이 거셌을거고...
17/06/18 14:14
큰단위숫자를 자주접하는 사람이 아니면 만단위로 끊는게 훨씬 편할것이고
시작부터 만단위 콤마를 사용했다면 여전히 근,평,돈을 사용하듯이 만단위콤마가 일상적이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천단위 통일을 안해서 혼란을 가져왔냐며 통일안 주장보다는 일상적으로는 만단위 콤마가 널리 사용되되 해외송금이나 무역쪽에서만 콤마를 만단위에서 천단위로 바꾸자는 이야기가 나오지 않았을까 싶어요 결국에는 관련분야 내부에서만 천단위로 끊어서 사용하게 됬을거구요
17/06/18 14:28
1. 국제적으로 더 보편적이다.
2. 전문분야에서는 더더욱 국제표준과 맞춰야 편하다 3. 이런 숫자가 나오는 경우는 전문분야가 더 많다. 4. 일반인이 이런 숫자를 접할때의 불편함을 덜어주는 목적만으로 표기법의 혼란을 가져올 필요가 없다. 5. 정 불편하다면 신문같은데서 450,000,000을 4억5천만이라고 표기를 해주면 될일 6. 그걸 안해준다는건 그정도로 불편함이 크지않다 혹은 불편함을 호소하는 사람이 적기때문이다.
17/06/18 15:01
우리나라만 만단위로 끊으면 편하겠죠. 힘의 논리도 무시할 수 없는 이유 중에 하나일테구요. 반세기 넘게 쭉 써왔고 금융 등 전문 분야에선 이미 익숙해졌기 때문에 굳이 큰 혼란과 경제적인 손해를 감수해나가며 (굳이 이제 와서) 우리나라만 적용하기는 불가할 겁니다. 꼬우면 나중에 높은 자리 올라가셔서 이슈화 시켜보시는게 흐흐
17/06/18 15:41
숫자와 기호는 세계표준을 따르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2만7000원 할 때, 27천원, 2.7만원 이런 말은 좀 보기 싫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