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7/25 21:09
전 실생활에서 자주 쓰는데...딱히 생활에서 안쓰는 단어는 아니지 않나요? 물론 개연성이라는 단어 자체가 영화에 쓰기 좋긴 하지만. 많은 정보를 2시간 내외에 압축하는거다 보니..
14/07/25 21:13
이거 평론할 때 생각보다 많이 씁니다. 연계성이라는 뜻이 아니라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적인 측면에서
스토리 플롯에 대한 가능성이 택도 없을 때 많이 쓰는 용법입니다. 즉 스토리플룻에서 가능성이 없는 진행을 할 때 많이 나오는 용어입니다.
14/07/25 21:14
연결성?으로 생각하면 좋을거 같습니다. 그냥 가능성이라기 보다는 일이 일어나는 가능성이니, 영화에서 흔히 개연성이라고 하는 부분은 그냥 앞뒤가 맞냐 수준으로 보면 될거 같구요. 계속 액션씬만 나오다가 뜬금없이 신파가 등장한다든가 하는 경우 악비님이 말씀하신것처럼 연계성이 없으므로(=뜬금없이 신파가 나올 '가능성'이 없으므로) 개연성이 없다고 표현하는것같습니다.
14/07/25 21:21
저 경우의 개연성은 굳이 따지라면 1번 뜻이지만 본문에 없는 3번 뜻, 그러니까 문학/예술의 용어로서 개별적인 에피소드가 허구임이 명백하나(소설 혹은 영화니까) 현실성 혹은 사실성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14/07/25 21:59
영화를 이야기 할때 개연성이라는 단어가 많이 등장하는 건, 영화에서 현실에서 일어날 수 없는 일들을 다룰 수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반지의 제왕이나 해리포터같은 판타지 세상이 현실이 될 경우는 존재하지 않죠. 하지만 현실로 일어날 수 없음을 알고 있음에도 정말 일어날 수 있을 것처럼 관객들을 느끼게 만드는 요소가 있기 마련이고, 그런 요소를 통틀어 개연성이라고 부르는 겁니다. 다만 현실에는 절대 일어날 수 없는 일이기 때문에 현실성이라는 단어를 쓰지 않고 그 대신 개연성이라는 단어를 쓰는 거죠.
14/07/25 22:47
보통 서사 예술을 논할 때에는 핍진성과 비슷한 의미로 쓰이죠. 유물론적 결정성을 띠는 정도까지는 아니더라도 원인과 결과 사이의 관련이 충분해야한다는, 즉 인과성이 있어야 한다는 정도..
14/07/25 22:50
옛날에 국어선생님이 소설은 허구지만 그럼에도 개연성으로서 세상의 진실을 담아낸다고 했던가 그랬는데.
'있을만하다' 라는 뜻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이 '있을만하다' 라는 게 '비록 이 이야기 자체는 픽션이라해도 세상 어딘가에서 충분히 일어날 법하다' 라는 의미가 되지만, 좀 더 확장하면 '전체적으로는 허구일지라도 한 단면은 그럴법하다'란 뜻으로도 쓸 수 있어요. 가령 '반지의 제왕이 비록 판타지지만 사람이 욕망에 빠지면 저렇게 될 수도 있겠다는 걸 개연성있게 담아냈다' 라고도 쓰기도 하죠. '있을만 하다'는 것은 세상과 사람의 법칙, 진실을 담아냈다는 의의를 갖습니다.
14/07/25 22:52
본문의 예문은 (1)의 연장선으로 '개연성이 없다'를 '설정 붕괴' 정도로 볼 수 있지 않나 싶네요. 그러니까 꼭 단정(斷定)할 수는 없으나 특정 설정에서 대개 그러리라고 생각되는 성질(性質)에 어긋나는 것이죠. 예를 들어 무협 소설에서는 장풍이나 검강, 환골탈태, 전음, 만독불침, 색마들이 쓰는 무적의 최음제(?) 같은 것들이 있죠. 많은 무협 독자들은 특정 소설에서 만독불침인 천하제일의 여고수도 색마들이 쓰는 최음제(?)에 당해서 위기에 처하게 되면 주인공이 갑자기 등장해서 나쁜 색마를 무찌르고 여고수랑 인연을 맺는 것을 보고 개연성이 있다고 생각하는 듯합니다?
14/07/25 23:07
책이나 영화 이야기를 많이 해서 그런지 저는 실생활에서도 간혹 쓰는 단어이네요.
http://blog.naver.com/PostThumbnailView.nhn?blogId=a_lord&logNo=10144918166&categoryNo=21&parentCategoryNo= 자주 가는 영화 블로그인데 이 글이 어떤 이야기에서 개연성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특히 초반부의 드래곤볼 비유... 약간의 비속어를 감내하신다면...;
14/07/26 17:01
으음, 제가 올해 초에 관련된 글을 쓴 적이 있는데, 개연성에 대해 나름대로 꽤나 고민해보고 썼습니다.
한 번 읽어보시면 조금이나마 도움은 되실 것 같아 링크 걸어둡니다. https://ppt21.com/pb/pb.php?id=freedom&no=50893&divpage=9&sn=on&ss=on&sc=on&keyword=everla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