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4/07/25 21:06:10
Name 악비
Subject [질문] 개연성이라는 단어에 대해서
개연성이라는 말 대화할 때 많이 쓰시나요?

전 한번도 대화하면서 써본 적도 없고 들어본 적도 없어요.

그런데 인터넷에서는 특히 영화 얘기할 때 개연성이라는 단어를 많이 쓰더라구요.

그런데 이 개연성이라는 단어 뜻이 사전에는

①꼭 단정(斷定)할 수는 없으나 대개 그러리라고 생각되는 성질(性質)

②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可能性)

영어로는

probability


다른 사이트에서 댓글 중 하나를 예시로 보면요.

"저는 영화를 분석하면서 보는 스타일이라서 앞뒤가 너무 [개연성]이 없으면 짜증내는 성격이라 더 그렇게 느꼈어요."

여기서 개연성을 가능성으로 치환 하면 말이 안되는데요, 제 생각에는 연계성을 혼동해서 쓴 것 같아요.


실제로 개연성이 연계성과 뜻이 비슷한 것인지?
그것이 아니라면 개연성이라는 단어를 영화 얘기 할 때 많이 쓰게 된 이유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피로링
14/07/25 21:09
수정 아이콘
전 실생활에서 자주 쓰는데...딱히 생활에서 안쓰는 단어는 아니지 않나요? 물론 개연성이라는 단어 자체가 영화에 쓰기 좋긴 하지만. 많은 정보를 2시간 내외에 압축하는거다 보니..
피로링
14/07/25 21:11
수정 아이콘
그리고 예시의 개연성은 1에 가깝죠. 관객이 공감할 수 있는 짐작에서 벗어난 영화라는 뜻이니까요.
류지나
14/07/25 21:10
수정 아이콘
영화 뿐만 아니라 만화, 소설, 애니 등 플롯이 있는 작품을 설명할때 광범위하게 잘 씁니다.
14/07/25 21:13
수정 아이콘
저도 자주 쓰는데... probability보다는 probable이 더 적합한 표현인거 같아요.(실제로 사용되는 용례 상)
14/07/25 21:13
수정 아이콘
이거 평론할 때 생각보다 많이 씁니다. 연계성이라는 뜻이 아니라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적인 측면에서
스토리 플롯에 대한 가능성이 택도 없을 때 많이 쓰는 용법입니다. 즉 스토리플룻에서 가능성이 없는 진행을 할 때 많이 나오는 용어입니다.
ChojjAReacH
14/07/25 21:14
수정 아이콘
연결성?으로 생각하면 좋을거 같습니다. 그냥 가능성이라기 보다는 일이 일어나는 가능성이니, 영화에서 흔히 개연성이라고 하는 부분은 그냥 앞뒤가 맞냐 수준으로 보면 될거 같구요. 계속 액션씬만 나오다가 뜬금없이 신파가 등장한다든가 하는 경우 악비님이 말씀하신것처럼 연계성이 없으므로(=뜬금없이 신파가 나올 '가능성'이 없으므로) 개연성이 없다고 표현하는것같습니다.
레지엔
14/07/25 21:21
수정 아이콘
저 경우의 개연성은 굳이 따지라면 1번 뜻이지만 본문에 없는 3번 뜻, 그러니까 문학/예술의 용어로서 개별적인 에피소드가 허구임이 명백하나(소설 혹은 영화니까) 현실성 혹은 사실성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STARSEEKER
14/07/25 21:27
수정 아이콘
사건진행이 그럴듯하다. 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최소한의 설득력이 있는 가능성 정도..?-.-;;
iAndroid
14/07/25 21:59
수정 아이콘
영화를 이야기 할때 개연성이라는 단어가 많이 등장하는 건, 영화에서 현실에서 일어날 수 없는 일들을 다룰 수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반지의 제왕이나 해리포터같은 판타지 세상이 현실이 될 경우는 존재하지 않죠.
하지만 현실로 일어날 수 없음을 알고 있음에도 정말 일어날 수 있을 것처럼 관객들을 느끼게 만드는 요소가 있기 마련이고, 그런 요소를 통틀어 개연성이라고 부르는 겁니다.
다만 현실에는 절대 일어날 수 없는 일이기 때문에 현실성이라는 단어를 쓰지 않고 그 대신 개연성이라는 단어를 쓰는 거죠.
김여유
14/07/25 22:26
수정 아이콘
국문과 다중전공했는데, 개연성이라는 말이 낯설지 않습니다. 친숙한 이야기네요
구밀복검
14/07/25 22:47
수정 아이콘
보통 서사 예술을 논할 때에는 핍진성과 비슷한 의미로 쓰이죠. 유물론적 결정성을 띠는 정도까지는 아니더라도 원인과 결과 사이의 관련이 충분해야한다는, 즉 인과성이 있어야 한다는 정도..
14/07/25 22:54
수정 아이콘
저도 여기에 한 표. 사실 인터넷에서 보는 개연성이라는 말을 인과성이라는 말로 전부 치환해도 말이 됩니다.
Acecracker
14/07/25 22:50
수정 아이콘
옛날에 국어선생님이 소설은 허구지만 그럼에도 개연성으로서 세상의 진실을 담아낸다고 했던가 그랬는데.
'있을만하다' 라는 뜻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이 '있을만하다' 라는 게 '비록 이 이야기 자체는 픽션이라해도 세상 어딘가에서 충분히 일어날 법하다' 라는 의미가 되지만, 좀 더 확장하면 '전체적으로는 허구일지라도 한 단면은 그럴법하다'란 뜻으로도 쓸 수 있어요.
가령 '반지의 제왕이 비록 판타지지만 사람이 욕망에 빠지면 저렇게 될 수도 있겠다는 걸 개연성있게 담아냈다' 라고도 쓰기도 하죠.
'있을만 하다'는 것은 세상과 사람의 법칙, 진실을 담아냈다는 의의를 갖습니다.
14/07/25 22:52
수정 아이콘
본문의 예문은 (1)의 연장선으로 '개연성이 없다'를 '설정 붕괴' 정도로 볼 수 있지 않나 싶네요. 그러니까 꼭 단정(斷定)할 수는 없으나 특정 설정에서 대개 그러리라고 생각되는 성질(性質)에 어긋나는 것이죠. 예를 들어 무협 소설에서는 장풍이나 검강, 환골탈태, 전음, 만독불침, 색마들이 쓰는 무적의 최음제(?) 같은 것들이 있죠. 많은 무협 독자들은 특정 소설에서 만독불침인 천하제일의 여고수도 색마들이 쓰는 최음제(?)에 당해서 위기에 처하게 되면 주인공이 갑자기 등장해서 나쁜 색마를 무찌르고 여고수랑 인연을 맺는 것을 보고 개연성이 있다고 생각하는 듯합니다?
오쇼 라즈니쉬
14/07/25 23:07
수정 아이콘
책이나 영화 이야기를 많이 해서 그런지 저는 실생활에서도 간혹 쓰는 단어이네요.
http://blog.naver.com/PostThumbnailView.nhn?blogId=a_lord&logNo=10144918166&categoryNo=21&parentCategoryNo=
자주 가는 영화 블로그인데 이 글이 어떤 이야기에서 개연성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특히 초반부의 드래곤볼 비유...
약간의 비속어를 감내하신다면...;
인간실격
14/07/26 01:45
수정 아이콘
말로도 쓰는 단어입니다
14/07/26 17:01
수정 아이콘
으음, 제가 올해 초에 관련된 글을 쓴 적이 있는데, 개연성에 대해 나름대로 꽤나 고민해보고 썼습니다.
한 번 읽어보시면 조금이나마 도움은 되실 것 같아 링크 걸어둡니다.

https://ppt21.com/pb/pb.php?id=freedom&no=50893&divpage=9&sn=on&ss=on&sc=on&keyword=everlas
14/07/26 18:48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이해가 됐습니다~ (__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11916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4951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4798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7897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9885
181404 [질문] 10월 중순~말 일본여행 질문드립니다! 피를마시는새581 25/08/14 581
181403 [질문] 디스크 0과 디스크1 [5] 단맛912 25/08/14 912
181402 [질문] 카카오톡 대화 복원 방법(톡서랍 플러스는 이미 이용중입니다) 유티엠비1636 25/08/14 1636
181401 [질문] 주담대 갚기 vs 타미당 투자하기 [29] 기술적트레이더2531 25/08/14 2531
181400 [삭제예정] 핸드폰 교체시 라인- 카톡 데이터 백업 [7] 오하이오2318 25/08/14 2318
181399 [질문] 영유아 실비보험 질문입니다 [11] 돼지붕붕이2054 25/08/14 2054
181398 [질문] 차량 핸들 조향 시 뚝뚝 소리가 납니다(차량 하부 사진 첨부) [13] 이화3492 25/08/13 3492
181397 [질문] 롤 유튜버중 탑 라인 주로 하는 사람 추천좀 해주세요!! [11] 골드쉽2501 25/08/13 2501
181396 [질문] 드디어 저도 탈모 진단을 받아야 할 때가 온 것 같습니다...... [16] bifrost2675 25/08/13 2675
181395 [질문] 위고비 고민이됩니다. [20] 방탄노년단3302 25/08/13 3302
181394 [질문] 혹시 강남역 안과 추천해 주실수 있을까요? [17] 깔끔하게2370 25/08/13 2370
181393 [삭제예정] 당뇨, 고도비만이 GLP-1 비만치료제? 당뇨약? 처방 [11] 깃털달린뱀1718 25/08/13 1718
181392 [질문] 어플들 알람 안오시는 분 계신가요? [17] 지수2922 25/08/13 2922
181391 [질문] 혹시 부산에 우산 수리점이 있나요? [1] 키토2963 25/08/12 2963
181390 [질문] 7차교육과정 인강들을수있는곳은 없겟죠? [7] 안희정3389 25/08/12 3389
181389 [질문] 남자화장실, 소변기 좌변기 질문(설문) [13] 똥꼬쪼으기3271 25/08/12 3271
181388 [질문] 조건에 맞는 게이밍 마우스패드 추천 좀 해주세요 [1] 쏘군2539 25/08/12 2539
181387 [질문] 빨리 진료 원하면 빨리 다른 병원 가라는 안내문 짤 찾고 있습니다. [2] Timeless2506 25/08/12 250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