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9/26 18:07
1. 클러치는 엔진의 동력을 바퀴에 전달할 지 안할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클러치를 밟으면 바퀴는 자유자재로 도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일반 평지에서는 멈출 수 있지만 경사가 지면 중력 때문에 내리막 방향으로 차는 움직입니다. 2. 클러치 안밟고 브레이크만 밟아서 차를 세울 순 있습니다만, 엔진이 꺼지겠죠. 차를 사랑하신다면 브레이크 밟을 때 클러치 밟아주는 게 좋습니다. 3. 시동이 꺼질 보통의 경우는 브레이크를 밟았는데 클러치를 같이 안밟아줄 때죠. 4. 맞습니다. 상황에 따라 사이드 브레이크 작동은 풋브레이크로 대체하시거나 빼셔도 됩니다. 5. S자 코스에서 핸들 돌리는 건 감으로 익히시는 수 밖엔 없겠네요.
14/09/26 18:08
1. 아니오. 클러치는 동력을 바퀴에 연결시켜주는 스위치라고 보시면 되는데 굴러가던 차에 동력을 차단시킨다고 가던게 멈추지는 않습니다. 관성에 의해서 계속 굴러가죠.
2. 아니오. 바퀴에 동력이 전달되는데 브레이크를 밟아 바퀴가 구르지 못하게 하면 엔진이 멈춥니다. 즉, 시동이 꺼집니다. 3. 2번의 질문과 같은 상황입니다. 기어를 넣고 클러치를 놨는데 브레이크를 밟고 있으면 시동이 꺼집니다. 4. 네. 사이드 브레이크는 생략하셔도 무방합니다. 시동걸 때 클러치와 브레이크를 동시에 밟고 있어야 해서 보통 시동이 꺼지면 브레이크와 클러치 밟고 기어중립, 시동걸고, 기어넣고 클러치와 브레이크 떼면서 엑셀 밟고 출발하시면 됩니다. 5. 돌려야 하는 시점은 차량몸체의 길이의 절반이 통과하려는 시점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고 얼마나 돌려야 하는지는 감이라.. 설명이 힘드네요..
14/09/26 18:12
요샌 고등학교에서 차량 구조 안가르쳐주나보죠.. 아님 여성분?
클러치는 엔진과 변속기 이하 구동계의 연결을 끊었다(밟았을 때) 이었다(떼었을 때) 해주는 장치입니다. 1. 처음 출발할 때 클러치를 밟고 있으면 엔진과 바퀴가 연결이 안된 상태이니 당연히 안갑니다. 달리고 있을 때 클러치를 밟으면 엔진과 바퀴가 분리되니 추가적으로 (엔진에 의한) 가속은 안되겠지만 달리던 힘(관성)으로 계속 굴러가겠죠? 2. 브레이크만 차를 세우는 겁니다. 다만 감속으로 인해 일정한 지속주행을 위해 일정한 토크 이상이 필요한 상태가 되면 클러치를 밟아서 엔진과의 연결을 끊어주지 않으면 시동이 꺼집니다. 엔진은 돌아가는데 바퀴는 서니까 엔진이라도 세워야죠. 클러치를 밟은 후에 더 낮은 기어로 변속하든지, 아니면 중립으로 변속해주던지, 아니면 클러치 계속 밟고 있어야죠. 현재 속도에서 차를 구동할 수 있을만한 토크가 나오도록 낮은 기어를 물리지 않으면 엔진이 감당할 수 없는 범위가 되므로 시동이 꺼져요. 3. 차가 속도가 거의 설 정도로 속도가 떨어졌는데 클러치를 밟아주지 않았기 때문이겠죠? (2. 참조) 4. 사이드는 올릴 필요 없습니다. 아주 초보때 심한 오르막인 경우 아니면요. 5. 이건 곧 선생님이 가르쳐주실겁니다.
14/09/26 18:19
저 수동 몰고 있는데 윗분들 께서 설명 잘 해주셨네요.
피지알 유게게시물 중에 gif로 수동기어시스템 설명한 것이 있었는데 그거 한번 찾아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