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5/19 16:58:23
Name 핑크솔져
File #1 17476404860050.jpeg (100.1 KB), Download : 63
출처 MLB파크
Subject [유머] 부자되는 부부 특징.jpg


오호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5/19 16:59
수정 아이콘
- 자녀가 없음
참치등살간장절임
25/05/19 17:00
수정 아이콘
젊을때 경제적자유를 획득해서 은퇴하고 놀면서 살겠다 할 거 아닌 이상 알뜰함 +자기개발은 합당한 보상을 준다고 생각합니다
쵸젠뇽밍
25/05/19 17:02
수정 아이콘
제가 부부가 아니라서 이해가 안가는 건가, 저기 적힌 것들 대부분이 하는 것 아닌가요? 저걸로 10%는 힘들 것 같은데.
상위 10%가 되는 방법은 수입이 상위 10%가 되는 거죠.
타츠야
25/05/19 17:08
수정 아이콘
정답입니다 크크
김퐁퐁
25/05/19 17:37
수정 아이콘
댓글 추천 기능 없나요?
25/05/19 17:58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
25/05/19 18:51
수정 아이콘
우문현답
25/05/19 19:13
수정 아이콘
대부분이 하는 건지는 잘 모르겠지만 제 주변 한정하면 대부분의 부부들은 하지 않습니다. 심지어 많이 벌 때는 그만큼 많이 써버리는..
뭐 저도 결혼은 하지 않았지만 3년전까지만 해도 돈에 대한 별 생각 없이 있으면 쓰고 없으면 안쓰고라는 마음으로 살아왔어서..
알게 돼도 늘려 놓은 소비를 줄인다는 걸 엄청 힘들어 하더군요.
육십칠키로
25/05/19 19:46
수정 아이콘
제가 어디서 본 내용인데 부자가 되는 데 필요한 요소를 판단함에 있어 1. 돈을 버는 능력 2. 돈을 지키는 능력 3. 돈을 불리는 능력을 구분할 줄 알아야 한다고 하더라고요, 따라서 본문의 내용은 상위 10프로가 됨에 있어 충분조건은 못되어도 필요조건은 되어보입니다. 하나하나 보면 별 것 아닌것 같아도 교집합으로 생각하면 최소한 저는 엄두가 안 나기도 하고요.
평온한 냐옹이
25/05/19 19:57
수정 아이콘
상위 10%처럼 벌면서 상위 50%처럼 쓰기
나른한오후
25/05/19 17:04
수정 아이콘
거의 대부분 부부들이 저거 하지 않나요??? 특별한게 전혀 없는데??? 주식부동산 하다가 말아먹는게 더 많...
누구세요
25/05/19 17:04
수정 아이콘
4번째부터 나랑 너무 안맞네....
안군시대
25/05/19 17:04
수정 아이콘
애초에 상위 10% 어쩌고가 소득 기준일텐데 아끼고 사는거랑 무슨 상관??
시드라
25/05/19 17:05
수정 아이콘
적금 안함, 주식 몰빵 <- 저도 주식하지만 이건 조금만 잘못되도 망하는 지름길이죠
완전연소
25/05/19 17:06
수정 아이콘
원래부터 양가가 부자라 결혼 때 한몫 받거나,
부부가 모두 전문직이라 쌍끌이 억대 이상 연봉인 경우가 많죠. 흐흐
25/05/19 17:09
수정 아이콘
[주식, 부동산 공부 후 돈을 굴림]
이게 알파이자 오메가네요
이오니
25/05/19 17:10
수정 아이콘
역시 부지런해야...
25/05/19 17:11
수정 아이콘
경제유투버에서 탈락
25/05/19 17:11
수정 아이콘
다른거는 의지대로 실천 가능한데 5번이 의지대로 가능하니..?
5번만 잘해도 부자됨 크크
정대만
25/05/19 17:11
수정 아이콘
수입이 많음이 빠졌습니다 
Betelgeuse
25/05/19 17:13
수정 아이콘
싱위10퍼면 알뜰폰 안쓰고 외제차 몰면서 화제의 쇼츠나 보면서 도파민 찾으러 다니고 있을꺼 같은데요…?
도도갓
25/05/19 17:19
수정 아이콘
부모가 부자임이 빠진듯 크크
25/05/19 17:23
수정 아이콘
수입도 이미 상위 10%일 것 같은데
25/05/19 17:25
수정 아이콘
파워볼 1등 당첨
파프리카
25/05/19 17:25
수정 아이콘
차 주행거리 10만 빼곤 하나도 안 맞네요.. 전 부자되기 그른듯 합니다 흑흑
25/05/19 17:25
수정 아이콘
주식 부동산 공부 후 돈을 [굴림]
미네랄은행
25/05/19 17:29
수정 아이콘
저 내용의 문자 그대로를 실행하는 것보다, 저런 생활을 함께 해나가는 삶을 공유할수 있는 두 사람이 부부가 되는게 중요한거 같습니다.
알뜰하고 합리적인 판단을 하려는 의지를 갖고 있는 부부면 최소 상위 10%이상이죠.
저기서 아이가 생기면 힘들어지는게 아니라 더 열심히 살게 되고요.
VictoryFood
25/05/19 17:31
수정 아이콘
1. 소비를 줄인다 OK
3. 주식, 부동산으로 돈을 굴린다 OK

2 에 해당하는 종자돈은 어떻게 마련하죠?
소비를 줄여 남는 월 수십만원의 여유돈도 다 주식 투자하나요?
25/05/19 17:34
수정 아이콘
당연해보여도 부부모두가 절약하자에 동의하는 건 쉽지 않아보이더라고요.
그리고 목좋은 자리에 구축이라도 자가 구입하면 존버하면되는거고
탑클라우드
25/05/19 17:37
수정 아이콘
이제 고작 20여년 직장 생활했습니다만...
여전히 최고의 재테크는 적극적인 경력 개발을 통한 급여 인상과 절약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대학생 때부터 주식 투자를 해왔고,
이른 시기에 미국장에 투자했던지라 최근 10여년간은 꽤나 쏠쏠했습니다...만,
매달 꾸준히 계좌에 들어오는 월급 규모가
투자의 안정성에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일정 수준 이상의 월급이 없으면,
자꾸 욕심 부리게 되고, 우발적인 투자를 만드는 것 같아요.
25/05/19 17:50
수정 아이콘
+2
제일 좋은 재테크는 많이 버는 거죠.
비오는풍경
25/05/19 19:10
수정 아이콘
경력 개발이라는 것도 사실 사람 맘대로 되는게 아니니
평온한 냐옹이
25/05/19 20:25
수정 아이콘
제일 투자해야 할것은 본인 자신
그담은 주변의 개념과 양심이 있는 지인들
그담이 재테크인거 같습니다.
Far Niente
25/05/19 17:50
수정 아이콘
맞는 말도 있는데 전반적으로 스레드식 감성이네요
알라딘
25/05/19 17:58
수정 아이콘
누구나 답은 알죠. 못하는겁니다. 크크
라울리스타
25/05/19 18:09
수정 아이콘
예전에 대한민국 고성장 시기에는 위와 같이하면 어느정도 부유하게 은퇴하는 것이 사실이었죠.

지금과 같은 저성장 시대에는 저렇게 사는 것이 더 나아지기 위한 필요조건은 될 지 언정 충분조건은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만큼 좋은 자산과 그렇지 못한 자산, 고소득직과 기타직군들의 격차가 훨씬 더 벌어졌어요.

오히려 요즘 시기에 보통 수준의 자산과 소득으로 남들 다한다는 이유로 외제차, 명품, 해외여행, 자녀 사교육 몰빵 다 하는 사람들이 문제이지, 그들이 보통인 사람들은 아닌 시대가 왔다고 봅니다...
원시제
25/05/19 18:16
수정 아이콘
'소파에 앉아서 경제 유튜브 봄' 크크...
25/05/19 18:40
수정 아이콘
근 10년간은 절약보다는 충분한 수입을 바탕으로 주요 재화의 과감한 매수를 실천한 사람이 버는 시기였습니다. 물론 저 얘기처럼 부부가 살아가면 못해도 중간은 가죠.
25/05/19 18:43
수정 아이콘
오늘 여기저기서 이 글을 보는데 저딴걸 해서 니가 상위10%가 되겠다고? 라는 반응천지네요 상위20%로 바꾸면 어그로가 덜 끌리려나....
평범한 사람이 재테크 하려면 필수적인것들 아닌가요?
전 저 습관들이 모여서 레버리지로 작용하는걸 체험해서 공감이 가네요
그냥 막 사는 사람들은 따라하던 안하던 마음속에 담아둘 내용이라고봅니다
T.F)Byung4
25/05/19 18:45
수정 아이콘
저거 쓴 사람은 부자는 아닌 걸로 보이네요.
이혜리
25/05/19 19:06
수정 아이콘
사소한 것 안 아낄 정도로 부부합산 넉넉하게 버는 게 최고 입니다.
부부합산 700만원 정도까지는 중고차, 배달음식, 택시와 같은 것을 좀 아껴야 한다고 생각해요,
25/05/19 19:06
수정 아이콘
검소함이 부자가 되는 미덕은 맞죠 
디스커버리
25/05/19 20:55
수정 아이콘
입지 좋은 구축 매매부터 시작점이 다른거 같은데요
너T야?
25/05/19 21:01
수정 아이콘
거의 대부분 하는데 난 왜...
그 닉네임
25/05/19 21:57
수정 아이콘
저렇게 안하는 사람들은
일단 커뮤니티 사이트에 잘 안들어올거같긴합니다
25/05/19 21:58
수정 아이콘
부동산이랑 주식에 물려서 돈 많은 사람이 와서 살려줘 하는 글같은데.. 더 부자 라는 것 부터 이미 돈 있는 사람 대상인게..
이민들레
+ 25/05/19 22:14
수정 아이콘
입지 좋은 구축을 어떻게 살 수 있는건데..
+ 25/05/19 23:34
수정 아이콘
절약은 하방이 있지만 높은 수입은 상방이 없기 때문에 후자가 더 유효하죠
나이스후니
+ 25/05/19 23:56
수정 아이콘
소득이 더 중요하죠. 특히 생활비의 측면에서 보면, 극도로 낭비하지 않는 이상 생활비의 Max는 어느정도 조절 가능합니다. 한달에 200은 부족해보이지만, 조금 외식하고 여유있게 써도 500은 안넘길수 있습니다.
결국, 저렇게 높아진 생활비에 소득이 영향을 받지 않는 수준이 되면 부자의 길에 접어드는 걸로 보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수정잠금 댓글잠금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게시글 및 댓글 처리 강화 안내 (23.04.19) 더스번 칼파랑 23/04/19 149707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574410
공지 [유머] [공지] 타 게시판 (겜게, 스연게) 대용 게시물 처리 안내 [23] 더스번 칼파랑 19/10/17 578730
공지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공지사항(2017.05.11.) [2] 여자친구 17/05/11 992389
515486 [음식] 현실적인 자취안주 [16] roqur2882 25/05/19 2882
515485 [유머] 일본 쌀값 안잡히는 이유 중 하나 [11] 인간흑인대머리남캐2727 25/05/19 2727
515484 [게임] 도로시 피규어들을 사면 같이 딸려온다는 것 [5] 묻고 더블로 가!2060 25/05/19 2060
515483 [유머] 호불호 갈리는 회사 분위기.jpg [23] 김치찌개3228 25/05/19 3228
515482 [유머] 중국집가서 짜장1개, 짬뽕1개 먹기 가능.jpg [21] 김치찌개2206 25/05/19 2206
515481 [유머] 여기다 매장을 내려한다. 업종은 학원 vs 분식집 [12] 김치찌개1791 25/05/19 1791
515480 [유머] 어릴때 인성 안좋았던 사람 [5] 김아무개1799 25/05/19 1799
515479 [유머] 아재들은 안다는 오락실 해킹 장비.jpg [4] 김치찌개1632 25/05/19 1632
515478 [유머] 지금까지 밥 말아 먹어본 음식은?.jpg [13] 김치찌개1272 25/05/19 1272
515477 [유머] 난 누가봐도 30대 넘는 여자가 술담배 사도 신분증 요구함 [5] 껌정3736 25/05/19 3736
515476 [유머] 신이 인정한 거지.jpg [8] VictoryFood3939 25/05/19 3939
515475 [유머] 카카오톡 선물하기 하겐다즈 케이크 후기 근황.jpg [30] VictoryFood4567 25/05/19 4567
515474 [유머] 선생님 진도가 너무 빠릅니다. [2] 어강됴리3626 25/05/19 3626
515473 [기타] 21세기 인도 최고 명문가 집안이 한순간에 몰살 당한 이유 (혐주의) [3] 홍검3901 25/05/19 3901
515472 [유머] 스위스의 미쳐버린 외식 물가 [33] 홍검4625 25/05/19 4625
515471 [게임] 스파6 제황 [7] STEAM1699 25/05/19 1699
515470 [유머] 장애아들을 괴롭히며 키운 아빠 [6] 인간흑인대머리남캐5070 25/05/19 5070
515469 [음식] 옛날식 탕수육과 간짜장 [30] roqur4967 25/05/19 4967
515468 [기타] 국산 캐리어 가나요?? 네 갑니다 [10] Lord Be Goja4047 25/05/19 404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